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Acquisiton Methods of Theater Collections

연극기록물의 수집방안 연구

  • 정은진 (명지대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기록관리전공)
  • Published : 2011.07.30

Abstract

This study is intended to recommend for acquisition methods of the theatre collection. Theatre activities is representative of the performing arts, and the Korea theatre history start from the modern history of Korea. In the meantime, theatre collections has already been lost by a lack of effort and management, and scattered most of the collections. In particular, a one-off nature and volatility of theatrical performances make future generations to enjoy the performances and to study should consult the relevant records. Therefore, collecting records can be very serious mission. In this study, theatre collections of the country which aims to collect and analyze the characteristics and type of theatre collections. Based on this information, collection scope, targets, priorities, acquisition level, method of collecting are proposed the following. First, collection scope is defined for the theatre related collections which was performed nationwide in the 1900s, the times that modern theatre was begun. The object includes related information of planning, administration, drama (script), directing, stage design, public relations, production, evaluation, personal records, biographical data, group data and space data. Second, the theatre collections are divided into records and historical records. Priority of collections object is determined by the historical value and the theatre performed by the support of public organization. Third, the acquisition level is divided into archived, mirrored, web linked and database, which is proposed by the determined levels of mandatory, recommend and discretion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 of performance. Fourth, acquisition methods are suggested by the general acquisition methods of transfer, donation and purchase as well as the methods of copy, production, legal deposit, entry and web link etc. The acquisition of theatre collections is executed on digital-based environment, and a centralized authority control should be establishmented. And through the development of network with theatre's stakeholders and the cooperation of related organizations, theatre collections acquisition is feasible.

연극은 공연예술을 대표하는 분야로 우리나라의 근대의 시작과 역사를 함께하고 있다. 그러나 그 동안 연극기록물을 관리하고자 했던 노력이 부족해 이미 유실되고 흩어져버린 기록물이 대부분이다. 특히 연극이라는 공연예술의 특성에 따라 작품 자체는 일회로 공연되고 사라져버리는 것이므로, 후대가 공연을 향유하고 연구하기 위해서는 관련 기록을 통해 흔적을 찾아볼 수밖에 없는 현실에서 연극 기록물을 수집하는 것은 매우 중대한 과제라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당대에 행해지는 연극행위에 따른 기록물을 수집하는 것을 목적으로 기록물의 종류와 특성을 분석하고, 이 분석한 내용을 기반으로 수집범위, 대상, 우선순위, 수집 수준, 수집 방법을 제안하였다. 수집의 범위는 우리나라의 근대극이 시작된 1900년대 이후에 전국적으로 행해진 연극 관련 기록물로, 기획행정 희곡(대본) 연출 무대디자인 홍보 공연 평가 개인 기록물 외에 개인정보와 단체정보, 공간정보의 관련정보 기록물을 그 대상에 포함한다. 기록물은 일반기록물과 역사기록물로 구분하여 역사적 가치가 있고 공공기관의 지원에 의해 공연된 연극을 우선적인 수집 대상으로 정한다. 다양한 기록물의 수집 수준을 결정하기 위해 '원본수집', '사본수집', '웹 링크', '데이터베이스'로 구분하고 공연의 성격에 따라 '필수', '권장', 재량'의 정도를 정해 수준을 제안하고 이관, 기증, 기탁, 구입의 일반적인 수집 방법과 복사, 제작, 납본, 입력, 웹 링크 연결 등의 방법으로 기록물을 수집할 수 있다. 이러한 수집 방안의 실행을 위해서는 수집의 수행과 기록물의 활용은 디지털 기반 환경에서 통합적으로 이루어져야 하고, 통합 관리를 위한 중앙 집중형 기관 설립을 전제로 해야 하며, 연극의 이해관계자와 유관기관 간의 협력을 필요로 할 것이다.

Keywords

Cited by

  1. 민간 디지털 아카이브 수집정책 연구 vol.53, pp.None, 2017, https://doi.org/10.20923/kjas.2017.53.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