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교육용 기록정보콘텐츠 개발 절차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ing procedures of an archival contents for education

  • 이은영 (명지대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 발행 : 2011.07.30

초록

교육과정에 기반한 교육용 기록정보콘텐츠는 역사적 사고력 함양에 가장 효과적인 교수 학습 도구라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교육용 기록정보콘텐츠의 개발 방법론을 제안함으로써 국립 기관인 국가기록원이 본격적인 교육용 기록정보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 이론적 지침이 되고자 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교육용 기록정보콘텐츠의 개발 절차는 e-러닝 콘텐츠의 개발 단계인 '기획-분석-설계-개발-평가'의 단계를 거친다. 구체적으로는 교육용 기록정보콘텐츠로서의 특성을 띤 교육과정 분석과 컬렉션 분석, 교수 학습 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구조화된 형태로 설계하기 위한 세부 단계를 거친다. 교육과정 분석에선 일차 사료를 활용한 학습이 가능한 주제 항목을 설정하고 이를 검색을 위한 키워드로 도출하는 절차와 일차 사료별 교수 학습 활동에 적용할 수 있는 교수 학습 방법을 분석하였다. 컬렉션 분석에선 키워드별로 기록 검색을 실시한 뒤 일차 사료의 선별 기준에 따라 최종적인 기록을 선정하는 과정을 제안하였다. 분석의 결과를 토대로 설계 단계에서는 콘텐츠의 제목 및 내용 구조를 결정하고, 학습 흐름도를 기반으로 스토리보드를 작성하여야 한다. 개발 시엔 일차 사료의 질감을 원본에 최대한 가깝게 제작하는 것이 핵심이며, 평가 단계에선 콘텐츠의 교수 학습 내용이 학습 목표를 효과적으로 성취할 수 있도록 개발되었는지를 평가하고 실제 콘텐츠 서비스 운영 후 이용자 만족도 조사에 의한 평가 결과를 새로운 콘텐츠 개발이나 콘텐츠 업데이트에 반영하도록 하였다.

Standards-curriculum based archival contents for education is the best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units for historical thinking abilities. This paper purposes a developing procedures of an archival contents for education that is theoretical instructions of developing an archival contents for education by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 This paper can be used of the theoretical bases for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 by proposing the methodology of development of an archival contents for education. The developing procedures of an archival contents for education is the same with the procedures of developing an e-learning contents that has planning, analyzing, designing, developing and assessing steps but it is characterized by an archival contents for education that is curriculum standards analysis, collection analysis, and detailed design for structured formats in effective-accomplishments for teaching-learning objectives. I propose the procedures for determining teaching-learning subjects that enable the development of an archival contents for education by curriculum standards analysis. I also propose the procedures for deriving the key words from the teaching-learning subjects. Collection analysis methods analyze key records that correspond to the learning subjects according to the selection criteria of primary sources. In the steps of designing, titles of contents and contents structures have to be determined and storyboards based on flowchart of learning have to be made of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nalyses. In the steps of developing contents, making a copy of primary sources like a original is the key points. And also in the steps of assessment, products of teaching-learning contents to effectively achieve the teaching-learning objectives have to be estimated by the appraisal board. Finally I propose that user's survey research after the services have to be reflected on contents updates and new developments of contents.

키워드

피인용 문헌

  1. 왜 다시 기록관리 혁신인가? 소통, 기술, 협치를 향해 vol.55, pp.None, 2011, https://doi.org/10.20923/kjas.2018.55.1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