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sign and Running of a Surveying Ship for Bathymetry of The Manned and Unmanned Control System

유.무인운용 가능한 수심측량을 위한 측량선 설계 및 구현

  • 최현 (경남대학교 토목공학과)
  • Received : 2010.10.18
  • Accepted : 2010.11.13
  • Published : 2011.01.31

Abstract

Bathymetry which is mainly used on the earth or the sea can be surveyed directly by a person who is on a surveying ship or in a way one estimates the target through a surveying ship. However, the surveying ship which is being used now is divided into a manned and unmanned system and it's difficult to deal with it appropriately according to the water depth or the condition of weather. Therefore, this study will invent the surveying ship that can measure the water depth with the unmanned remote control system in the place where it's difficult to for man access because of a bad weather or a vast area. There are two methods in the control system of the manned and unmanned surveying ship which has been developed in this study. One is an automatic control which moves on the path set by the user in advance and the other is the optimized passive control in which the control station can manage the direction and speed of a surveying ship directly.

지상 또는 해상에서 주로 이루어지고 있는 수심측량은 측량선을 타고 사람이 직접 측량하거나 측량선을 이용하여 목표지점을 측정하는 방법 등이 주로 이용된다. 그러나 현재 이용되는 측량선은 유인과 무인시스템으로 나누어져 있어 수심의 상태 또는 기상상태에 따라 능동적인 대처가 어려웠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악천후나 광활한 지역과 같이 접근성이 어려운 곳은 무인 원격제어를 이용하여 수심 측정이 가능한 측량선을 구현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유 무인 측량선의 제어시스템은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한 경로대로 움직이는 자동제어방식과 제어국에서 직접 측량선의 방향과 속도 등을 제어 할 수 있는 최적화 된 수동제어방식의 측량이 가능하게 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천영, 2002, GPS와 Echo Sounder조합에 의한 하구하상 모니터링, 박사학위논문, 동아대학교.
  2. 이종출, 서정훈, 서동주, 2002, "GPS와 음향측심기의 조합에 의한 저수용량 산정",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 제 10권 제1호, pp.27- 35.
  3. 최병길, 조광희, 2003, "GPS와 Echosounder 데이터의 통합처리에 관한 연구", 2003년 대한토목학회학술발표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pp.4328 -4330.
  4. 홍정수, 2006, GPS 부이 관측데이터를 이용한 해양기준면 결정, 박사학위논문, 동아대학교.
  5. 최병길, 2005, 무선인터넷과 DGPS를 이용한 원격측정로봇선개발, 보고서, 건설교통부.
  6. 최병길, 조광희, 2008, "수중정보 획득을 위한 무인원격선체 개발",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 제 16권 제 3호, pp.65-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