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Contents Reorganization for Self-Directed Learning

자기주도적 학습을 위한 콘텐츠 재구성에 대한 연구

  • 허선영 (한국기술교육대학교) ;
  • 김은경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컴퓨터공학부)
  • Received : 2010.08.16
  • Accepted : 2010.09.06
  • Published : 2011.01.31

Abstract

Most of the online learning systems provide information that is based on the item difficulty what is custumized to learner. And the same learning process is performing to the same learning level learners. But, the degree of understanding of the same learning contents can be different even if the learner's level is same.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represent an effective learning experience because the learning is progressed by the determined difficulty of learning and the learning process even thought the provided content is difficult to understand. So we can control the learning difficulty during learning in order to escape from a uniform learning that online learning is provided. In this paper, we proposed a contents reorganization method for Self-Directed Learning. In this way, learners can understand their own level and customize the difficulty of learning. And then we expect the higher learning effect and satisfaction degree.

대부분의 온라인 교육 시스템들은 기존의 설정된 문항난이도를 기반으로 학습자에게 학습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며, 동일한 수준의 학습자는 모두 동일한 학습과정에 따라 학습을 수행하고 있다. 하지만 동일한 수준의 학습자라 할지라도 학습 내용을 이해하는 정도는 서로 다를 수 있다. 따라서 제공된 콘텐츠를 이해하기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정해진 난이도와 학습과정에 따라 획일적으로 학습이 진행되는 방법은 효율적인 학습효과를 나타내기 어렵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온라인 학습이 제공하는 획일적 학습에서 벗어나 학습자가 학습 도중 학습 콘텐츠의 난이도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자기주도적 학습을 지원하기 위한 콘텐츠 재구성 방법을 제시하였다. 학습자는 학습 도중 제시된 콘텐츠가 이해하기 어렵거나 쉽다고 판단되는 경우, 현재 제시된 학습 콘텐츠의 수준을 변경할 수 있다. 이때 변경된 학습 콘텐츠의 수준은 콘텐츠 재구성 모듈로 전달된다. 변경된 수준을 전달받은 콘텐츠 재구성 모듈은 전달된 학습자의 수준에 적합한 콘텐츠 및 퀴즈 문항을 추출하고, 추출한 콘텐츠와 퀴즈를 기초로 학습내용을 재구성하여 학습자에게 제시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방법을 이용하면 학습자는 자신의 수준에 적합한 콘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기 때문에 학습 이해도를 높일 수 있고, 학습자의 적극적인 학습 참여를 유도함으로써 보다 높은 학습효과와 학습 만족도를 얻을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태영외 3인, "미래교육 시나리오에 기반한 e-러닝표준화 로드맵 v2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연구보고 KR 2005-28, 2005.
  2. 이준희, "이러닝에서 효율적인 시뮬레이션 기반 콘텐츠 설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 5,No. 5, 2005.
  3. 정화영, "문항교정난이도를 이용한 컴포넌트 기반의 자기주도적 E-Learning 시스템", 한국인터넷정보학회 논문지 Vol.7, No.6, 2006.
  4. Rita Kuo, etc at al, "Difficulty Analysis for Learners in Problem Solving Process based on the Knowledge Map", Proceedings of the The 3rd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dvanced Learning Technologies, IEEE, 2003.
  5. 김명회 외 2인, "학습자 특성을 고려한 적응적 학습관리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4권 제1호, 2004.
  6. Raymond M. Zurawski, "Making the Most of Exams: Procedures for Item Analysis", The National Teaching & Learning Forum, Vol. 7, No.6, 1998.
  7. Ivailo Partchev, A visual guide to item response theory, E-Book of Friedrich-Schiller-Universitat Jena, 2004.
  8. 한향숙 외 4명, "SCORM 기반의 e-Learning 시스템에서 적응형 학습자 수준 판단기법", 한국정보과학회 봄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 30 No.1, pp.566 - pp.568, 2003.4
  9. 최숙영 외 2인, "문항반응 이론에 의한 컴퓨터 적응적 평가와 동적 학습내용 구성에 기반한 적응형 교수 시스템", 정보과학회논문지: 소프트웨어 및 응용 제32권 제5호, pp.438-448, 2005.
  10. 강신천, 박혜진, "학습양식에 따른 개별화 학습 지원 시스템이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열린교육연구 Vol.14, No.2, pp.101-122, 2006.
  11. 조성호, "컴퓨터기반 시험 시스템 설계 및 구축",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제5권 제1호, pp.1-8, 2005.
  12. 허선영, 김은경 "SCORM 기반의 학습자 수준별 콘텐츠 구성 시스템", 해양정보통신학회 논문지 제 14 권 5호, pp.1278-1283, 2010

Cited by

  1. 동영상 큐레이션 기반 모바일 뉴미디어의 활용 vol.6, pp.2, 2011, https://doi.org/10.20465/kiots.2020.6.2.0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