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Implementation of Infant Learning Content using Augmented Reality

증강현실을 이용한 유아용 학습 콘텐츠의 구현

  • Received : 2010.12.01
  • Accepted : 2010.12.21
  • Published : 2011.01.31

Abstract

Recently as AR(Augmented Reality) is focus of attention, AR is applied to various fields and is expected its valuable use. In this paper, we implemented the system based on Goblin XNA which supports high resolution model file and higher AR. We confirmed the relation of model output among the number of marker, the location and changes of camera distance. And we produced the infantile studying contents using AR and embodied. In implemented contents, we showed the familiar character to infants on each page marker. As the result of it, we can raise their concentration and at a time studying supporters can use the contents easily as well. Also we put 3 marker on each page of contents to recognize it smoothly in case one part of it is hidden by any obstacle. Finally we maximized the learning effect such as presence and immersion in studying through reinforcing 3D models according to the every situation.

최근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이와 관련된 기술들이 발전함에 따라서 증강현실이 다양한 분야에 적용하려는 시도가 늘어나고 이에 대한 활용에도 기대가 모아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높은 해상도의 모델파일을 지원하고 보다 높은 증강현실을 위한 기술지원을 하는 Goblin XNA 기반으로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마커의 개수, 위치 및 카메라와의 거리 변화에 따른 모델 출력의 관계를 실험을 통해서 확인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유아용 학습 콘텐츠를 제작하고 구현하였다. 구현한 콘텐츠에서 각 페이지에 있는 마커에 유아에게 친숙한 캐릭터를 띄우므로 집중력을 높임과 동시에 학습보조자가 원활하게 콘텐츠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콘텐츠의 페이지마다 3개의 마커를 두어 일부분이 장애물에 의해 가려지더라도 원활한 인식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내용에 맞게 3D 모델이 증강되는 동시에 사운드가 재생되도록 하여 학습에서의 현존감과 몰입을 높여 학습효과를 극대화하도록 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Banathy, B. H., Systems design of education, NJ: Educational Technology Publications, 1991.
  2. 장상현, 계보경, u-러닝 환경에서의 에듀테인먼트 개발 및 적용, 정보과학회지, 제24권, 제2호, pp. 51-55, 2006.
  3. 계보경, 증강현실 기반학습에서 매체특성 과 현존감 학습몰입 학습효과의 관계 규명,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2007.
  4. 방준성, 최은주, 증강현실 국.내외 기술동향과 발전 전망, ISBN 978-89-6211-060-6,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5. 이혜선, 증강현실을 기반으로 한 교육용 게임 플랫폼에 관한 연구, 세종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2008.
  6. Pausch, Randy, Thomas Crea, and Matthew Con- way, "A Literature Survey for Virtual Environments: Military Flight Simulator Visual Systems and Simu- lator Sickness," Presence: Teleoperators and Vir- tual Environments, Vol.1, No.3, Summer, pp. 344-363, 1992. https://doi.org/10.1162/pres.1992.1.3.344
  7. 장상현, 계보경, 증강현실 콘텐츠의 교육적 적용, 한국콘텐츠학회지, 제5권, 제2호. pp. 79-85.
  8. http://goblinxna.codeplex.com

Cited by

  1. Trends and Effects of Learning through AR-Based Education in S-Korea vol.10, pp.9, 2011, https://doi.org/10.18178/ijiet.2020.10.9.14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