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omparative Studies of Evacuation Time According to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Training Ship's Personnels

운항실습선 승선자의 분포특성에 따른 대피시간 비교

  • Hwang, Kwang-Il (Div. of Mechanical & Energy Systems Engineering, Korea Maritime University)
  • 황광일 (한국해양대학교 기계.에너지시스템공학부)
  • Received : 2011.02.21
  • Accepted : 2011.03.29
  • Published : 2011.04.30

Abstract

This study simulates and compares the evacuation time and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living patterns on board a training ship which was launched in Dec. 2005, on the viewpoint of the various activities being possible on board a cruise ship. Based on interviews with personnels on board, 3 living patterns are set as representative living conditions; Pattern A(all personnels are positioned at their cabins), Pattern B(all personnels are positioned at lecture rooms, offices or else), Pattern C(all personnels are positioned at restaurant or cafeteria). The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Pattern B is comparatively ideal because the evacuation time is short and there is less delay of personnels' movement on each deck. On the contrary, Pattern C is evaluated as the worst because the average evacuation time took more than 360 seconds and the bottle-neck happened at Upper deck. As a result, this study proposes the needs of various countermeasures against the fire and/or disaster, considering the various living patterns on cruiser(s) and/or passenger ship(s).

본 연구는 운항실습선을 대상으로 선내 승선자의 군집유형에 따른 피난 시간과 특성을 시뮬레이션에 의해 비교한 것으로, 크루즈선 승객은 승선 시 다양한 선내 활동이 가능하다는 관점에서 출발하였다. 그리고 승선자와의 인터뷰를 통해 승선 시 행동 유형을 군집유형 A(지정선실 내 재실), 군집유형 B(모든 승조원이 정상활동 공간에 위치), 군집유형 C(모든 승조원이 소속 식당에 위치)의 3가지로 분류하여 비교 평가하였다. 연구의 성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군집유형 B는 피난시간이 다른 유형에 비해 가장 빨랐고 피난 정체구간도 짧았다. 군집유형 C의 경우 승조원이 특정공간에 집중적으로 분포함에 따라 피난과정에서 Upper deck가 병목 구간으로 작용하였고 피난시간이 오래 걸렸다. 이상과 같은 결과로부터 동일한 선박 내에서도 화재 등의 재난 발생 시 선내 재실자의 분포특성에 맞는 피난 관리 및 대응책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원욱, 김종수, 오세진, 김성환(2006), “선박의 거주구역 화재시 연기거동 및 온도변화에 관한 시뮬레이션 연구”, 한국마린엔지니어링학회 전기학술대회 논문집, pp.293-294
  2. 김원욱(2011), “선박구조가 승무원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항해항만학회지 제34권 제6호, pp.423-427 https://doi.org/10.5394/KINPR.2010.34.6.423
  3. 조권회, 이형기, 이진욱, 감문상(2007),“실습선 한바다”, 한국해양대학교
  4. 한상국, 조대환, 박찬수(2006), “기관실화재 인명위험성평가에 관한 연구”, 해양환경안전학회 추계학술대회, pp.283-289
  5. 황광일, 신동걸, 김유진, 윤정하. 이상일, 홍원화(2009), “선박화재 시 선내의 연기농도가 승객의 피난시간에 미치는 영향”, 한국마린엔지니어링학회지 제33권 제2호, pp.336-343 https://doi.org/10.5916/jkosme.2009.33.2.336
  6. IMO(2006), "Interim Guideline for Evacuation Analyses for New and Existing Passenger Ships", IMO MSC/Circ.1033
  7. International Convention for the Safety of Life at Sea(2006),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 2006 consolated edition, IMO
  8. Kim, M.E., Lee, K.W., Lee, Y.H.(2007), "A study on the safe position from the local fire in the ship's engine-rooms", 한국마린엔지니어링학회 전기학술대회 논문집, pp.183-189
  9. Safety at Sea Ltd., http://www.safety-at-sea.co.uk

Cited by

  1. Simulation Analysis on Passengers’ Normal Evacuation Scenarios Considering the Changes of Heeling Angle during MV Sewol’s Sinking vol.21, pp.1, 2015, https://doi.org/10.7837/kosomes.2015.21.1.047
  2. An Experiment on Walking Speeds of Freshmen Unexperienced in Shipboard Life on a Passenger Ship vol.37, pp.3, 2013, https://doi.org/10.5394/KINPR.2013.37.3.239
  3. Shipboard Fire Evacuation Route Prediction Algorithm Development vol.24, pp.5, 2018, https://doi.org/10.7837/kosomes.2018.24.5.5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