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양환경정보시스템 '흙토람'

  • 홍석영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 김이현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 최은영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 장용선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 현병근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 손연규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 박찬원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 송관철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 이예진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 김명숙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 전상호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 하상건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Published : 2011.02.28

Abstract

토양정보는 식량생산, 지속적인 토지이용 계획, 종다양성 평가에 사용되는 기본적인 자료이다. 우리나라 토양조사의 역사, 다양한 축척의 토양도 구축과 토양검정, 토양도와 토양검정 자료의 특성, 농업환경변동 모니터링을 통한 일반농경지 및 취약농경지 토양, 토양정보의 전산화에 따른 토양데이터베이스와 토양정보시스템 소개, 구축된 토양정보의 활용과 향후 방향에 대해 논하였다. 40여년 동안 수행되었던 국책 토양조사사업 결과 두 종류의 토양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되었는데, 다양한 축척의 토양도(1:250,000, 1:50,000, 1:25,000, 1:5,000)를 GIS DB로 전산화한 수치토양도 DB와 필지 단위로 조사된 화학성 위주의 토양분석 성적을 구축한 토양비옥도 DB이다. 흙토람(http://soil.rda.go.kr)에 서 제공하는 토양전자지도는 총 111종으로 토성, 경사, 지형, 모재, 배수등급, 자갈함량, 유효토심 등 토양 GIS 주제도 50종, 사과, 배, 마늘, 수박 등 작물 재배적지 61종이고, 82종의 토양통계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최근 에는 친환경농업육성법 시행령에 따른 경작형태 및 오염원별 농경지 토양의 이화학성 및 농업용수 수질 조사 자료를 GIS DB로 구축하여 공간적인 분포와 시계열적인 변화를 분석하는 자료로 활용하고 있다. 농업환경변동 정보는 농업환경자원 인벤토리를 기반으로 일반농경지의 화학성과 농업용수의 수질, 토양 미생물 등의 공간적인 분포와 시간적인 변화 정보를 전문가 그룹에 제공하고 있다. 앞으로는 자연자원의 분포와 변동 정보를 바탕으로 보다 일반적이고 알기 쉽게 가공하여 일반인들에게 농업환경과 자연자원 보전의 중요성을 이해시키는 정보로 제공할 예정이다. 기존의 토양정보와 농업환경정보를 통합하여 컨텐츠를 보다 내실있게 하고 정보 수요자별로 손쉽게 목적에 맞는 접근을 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들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강화시키는 방향으로 이끌어 가고자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농림부, 2006. 친환경농업육성 5개년 계획(2006-2010)
  2. 농촌진흥청. 1998. 밭토양 세부정밀조사 및 검정사업 연찬회
  3. 농촌진흥청 농업과학기술원. 2001. 한국의 토양환경정보시스템
  4. 농촌진흥청 평가조정담당관실. 2005. 주요 농업과학기술의 기술가치평가
  5. 농촌진흥청 농업과학기술원. 2008a. 토양 및 환경자원정보 시스템 활용 교육
  6. 서울대학교. 2001. 가뭄대책지원 실용프로그램 및 농촌용수 자료관리 프로그램 개발(최종보고서), 농림부
  7. 윤을수, 정연태, 손연규, 홍석영, 현병근, 현근수, 류철현, 정기열. 2008. 우리나라의 토양조사.분류 및 해설. 한국토양비료학회지 42(별호):5-27
  8. Chang, K.. 2002. Introduction to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McGrawHill, New York, NY, USA
  9. McRae, T., C.A.S. Smith, and L.J. Gregorich, 2000.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of Canadian agriculture, In: Report of the Agri-Environmental Indicator Project, Agriculture and Agri-Food Canad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