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 of Socio-Physical Regeneration on Social Network of Public Rental Residence

사회물리적재생을 통한 주거환경개선이 영구임대아파트 주민의 사회적 관계에 미치는 영향

  • 임의선 (연세대학교 주거환경학과) ;
  • 이연숙 (연세대학교 주거환경학과) ;
  • 김주석 (연세대학교 밀레니엄환경디자인 연구소)
  • Received : 2010.06.29
  • Accepted : 2011.01.20
  • Published : 2011.02.25

Abstract

In the 20th Century, urban regeneration was changed to holistic regeneration and Ballymun of Ireland was one of the example of leading projects which using holistic regeneration over ten years. In Deajeon, there is a successful project call as "Rainbow project", using holistic regeneration. Any previous case needs to be checked thoroughly and the result needs to be studied for next proje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lineate the effect of Socio-Physical regeneration on social network. For this research, research tool was developed to combination of previous social exclusion index. This research was a survey research which used Systematic Random Sampling. In conclusion, it was not enough time to change people's behavior dramatically but even though a change is very low, it is very meaningful. Changing from people's behavior to people's mind, is a step to a goal.

Keywords

References

  1. 강신욱.김안나.박능후.김은희.유진영 (2005). 사회적 배제의 지표개발 및 적용방안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 계기석 (2000). 주거지 정비를 위한 새로운 패러다임의 모색. 국토연구원, 국토 221, 6-13.
  3. 곽현근.유현숙 (2007). 사회적 배제로서의 주거지 격리가 주민의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연구회, 사회복지연구, 33, 65-99.
  4. 국토해양부 (2008). 임대주택 업무편람.매뉴얼 2008.
  5. 국토해양부 도시재생사업단 (2009.5). 도시재생사업단 제2핵심(사회통합적 주거공동체 재생기술 개발) 연구보고서.
  6. 김건형.이연숙.김주석 (2009). 발리문 주거지재생 초기 1년의 주민참여연구.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16, 53-56.
  7. 김건형.이연숙 (2008). 연쇄형 주거지재생지역 발리문(Ballymun) 사례연구.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15, 305-311.
  8. 김미희.이민아.노세희 (2008). 사회적 통합배제 지표 개발을 위한 연구-영구임대아파트 거주자를 중심으로. 한국주거학회논문집, 19(6), 95-104.
  9. 김윤이 (2004). 주민을 중시한 사회통합형 주거지 정비에 관한 연구, 도시연구, 9, 115-142.
  10. 박은지.이연숙.강혜연.임의선.김건형 (2010). 발리문 주거지재생사례의 주민참여프로그램 특성연구.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18, 85-92.
  11. 배지연.노병일.곽현근.유현숙 (2006). 노인의 사회적 배제와 우울에 관한 탐색적 연구. 노인복지연구, 33, 7-28.
  12. 서수정 (2007). 지속가능한 개발과 뉴어바니즘 이론의 적용에 의한 영국 버밍험시 도시재생의 특성,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국토계획 42(7), 125-143.
  13. 신운경.김은미.우현혜.박철수 (2008). 주거단지 사회 통합을 위한 해외 건축사례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24(2), 13-22.
  14. 유현숙.곽현근(2007). 여성 한부모가족의 사회적 배제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연구, 34, 245-272.
  15. 이보혜 (2006). 영구임대주택 거주자의 사회적 관계망 연구: 사회적 배제의 관점에서.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서울.
  16. 이소영 (1996). 영구임대주택 주민의 주거만족도에 관한 연구: 부천시 춘의동 영구임대주택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서울.
  17. 이혜진.이연숙.박혜연.김건형 (2010). 총체적 재생 관점에서 본 발리문 재생사례의 정비과정과 주민참여.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18, 69-75.
  18. 임수현.이연숙.김건형 (2009). 총체적 재생사례 발리문의 정비과정 연구.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9(1), 163-166.
  19. 임의선.이연숙.김주석 (2010). 영구임대아파트의 사회.물리적 거주환경정비 사례 연구. 한국주거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1, 220-225.
  20. 임의선.이연숙.김주석 (2010). 영구임대아파트의 사회 물리적재생이 거주노인의 사회관계망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논문집, 10(5), 31-41.
  21. 임재혁 (2007). 영구임대주택 주민의 생활실태 및 의식에 관한 연구: 노원구 공릉3동 공릉1단지아파트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서울.
  22. 정은정.이연숙.김주석 (2010). 주거지 정비과정에서 활용된 주민참여기법 사례 연구 대전시 무지개 프로젝트를 대상으로. 한국주거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1, 203-208.
  23. 조은진 (2007). 영구임대아파트 주민의 결속력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서울.
  24. 진현환 (2003). 저소득층을 위한 주거복지 지원방안, 국토 연구원, 정책해설, 47-52.
  25. 하성규.서종녀 (2006). 공공임대주택과 사회적 배제에 관한 연구. 주택연구, 14(3), 159-181.
  26. 홍인옥 (2005). 영구임대주택 주민들의 사회적 배제해결 및 사회통합 방안. 한국도시연구소, 도시와 빈곤, 76, 32-60.
  27. 홍인옥.남원석 (2003). 공공임대주택 입주민의 사회통합 지원방안 모색. 보건복지부 한국도시연구소.
  28. 홍인옥.남원석.김선미.김윤이.신명호.이호 (2005). 영구임대주택 주거실태조사, 건설교통부.
  29. Ballymun Regeneration Completion Report 2008
  30. Davies, A. (2008). Linking urban regeneration and sustainable development. Memories, Milestones and New Horizons. 27-44.
  31. Roseland, M. (2000). Sustainable community development: integrationg environmental, economic, and social objectives. Progress in Planning, 54, 73-132. https://doi.org/10.1016/S0305-9006(00)00003-9
  32. Lee, Y. & Kim, G. (2010). Improvement characteristics shown in holistic regeneration of Ballymun toward sustainable community. Built and Environment, 45, 279-286. https://doi.org/10.1016/j.buildenv.2009.08.013

Cited by

  1. The Study on the System and Weight about Evaluation Indicators of Social Sustainability in Residential Environment vol.28, pp.2, 2017, https://doi.org/10.6107/JKHA.2017.28.2.0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