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Correlation of Obesity and Menstruation in First-year Female College Students

일개 대학 신입생의 월경과 비만도의 상호관계에 관한 연구

  • Ryu, Hahn-Woo (Dept. of Gynecology,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Kyung-Won University) ;
  • Lim, Eun-Mee (Dept. of Gynecology,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Kyung-Won University) ;
  • Kim, Yoon-Sang (Dept. of Gynecology,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Kyung-Won University)
  • 류한우 (경원대학교 한의과대학 부인과학 교실) ;
  • 임은미 (경원대학교 한의과대학 부인과학 교실) ;
  • 김윤상 (경원대학교 한의과대학 부인과학 교실)
  • Received : 2011.02.05
  • Accepted : 2011.02.09
  • Published : 2011.02.28

Abstract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gnize the relation of menstrual pattern and dysmenorrhea affected by obesity of first-year female college students. Methods: From March 22th to April 2nd, 2010 we researched 251 first-year female students at OOcollege, aged 19(born after March 1991 to February 1992) by questionnaires to investigate their Body Mass Index(BMI), menstruation and dysmenorrhea. The BMI range of normal group is 18.5~25, abnormal group is over 25. Results: 1. The normal group was 227 people(90.4%) and the abnormal group(over BMI 25) was 24 people(9.6%). 2. In the mean of BMI, the normal group was $21.08{\pm}1.64$ and the abnormal group was $27.94{\pm}2.19$. 3.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the normal group and the abnormal group in menstrual cycle, menstrual amount, menstrual color and menstrual blood clot. 4. There was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the normal group and the abnormal group in menarcheal age, menstrual duration and dysmenorrhea. 5. In the mean of VAS, the normal group was $3.68{\pm}2.45$ and the abnormal group was $3.21{\pm}2.05$, and two groups were not different statistically.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e relation of menstrual pattern and dysmenorrhea affected by obesity. The normal group and the abnormal group were different statistically in menarcheal age, menstrual duration and dysmenorrhea. In consequence of this study, it was supposed that obesity had an effect on menstruation.

Keywords

References

  1. 李慶雨飜譯. 編注譯解黃帝內經素問.서울:여강. 1994:25.
  2. 牛建昭主編. 現代中西醫婦科學. 北京:中國科學技術出版社. 1996:129-36.
  3. 김문정 등. 서울지역 여대생의 스트레스와 월경양상과의 관계. 이화간호학회지. 2007;41:99-118.
  4. 오승희 등. 20-30대 여성 461례의 월경에 관한 실태분석.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2;15(1):163-74.
  5. 宋炳基. 韓方婦人科學. 서울:행림서원.1996:204-10.
  6. 한방여성의학 편찬위원회. 한방여성의학 I.서울:도서출판 정담. 2007:32, 55.
  7. 이동녕, 임은미. 비만과 관련된 여성질환에 관한 연구.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1;14(1):294-310.
  8. 장희재 등. 스트레스와 비만에 따른 월경주기의 변화의 다자간 연관성 연구.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9;22(4):102-9.
  9. 최가야 등. BIA법을 통한 비만유형과 월경양상의 관련성 연구.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2;15(3):122-8.
  10. 대한비만학회. 임상비만학. 서울:고려. 2001:1-5, 81-90, 171-80, 197-208.
  11. 정재혁 등. 일부 월경통 환자의 체성분 분석 결과와의 상관성 분석.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7;20(3):155-63.
  12. 정원석 등. 한국성인 비만여성의 체지방 분포와 월경장애의 상관성 분석. 대한한방비만학회지. 2004;4(1):23-31.
  13. 양나래 등. 여고생의 소화기능 및 BMI에 따른 월경통 차이 연구. 한방부인과학회지. 2009;22(4):110-22.
  14. 김진숙 등. 월경전기 증후군, 월경에 대한 태도, 신경증적 성격특성 및 스 트레스의 관계. 한국심리학회논문집.1998;135-52.
  15. 조진형 등. 월경전증후군과 관련된 요소를 분석하기 위한 설문조사 연구.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6;19(4):174-204.
  16. 임선희 등. 한방진단시스템(DSOM)을 이용한 청소년 월경통, 월경량 이 상의 한의학적 因子연구.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10;23(3):156-72.
  17. 이인선 등. 월경통 환자 통증 강도 평가 도구 개발에 관한 연구.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4;17(1):138-59.
  18. 정병천 등. 고3 수험생의 월경실태분석을 통한 Stress와 월경의 상관관계 조사(Stress와 월경의 상관관계). 대한한의학회지. 2002;21(4):93-103.
  19. 이인선 등. 월경량 평가 기준에 관한 연구.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5;18(1):242-52.
  20. Bray GA. Overweight is risking fate. Definition, Classification, Prevalence, and Risks. Ann NY Acard Sci. 1987; 499:14-28.
  21. 신현대. 비만의 한의학적 개념과 치료법. 경희의학. 1995;11(3-4):257-67.
  22. 北京中醫學院. 北京市中醫學校. 實用 中醫學. 北京:北京出版社. 1981:92.
  23. 대한산부인과학회 교과서편찬위원회.부인과학 제4판. 서울:고려의학. 2007: 341-54, 362-71.
  24. Castillo-Martinesz L et al. Menstrual Cycle Length Disorders in 18-to 40-y-Old Obese female. Nutrition. 2003; 19(4):317-20. https://doi.org/10.1016/S0899-9007(02)00998-X
  25. Glass AR et al. Secondary amenorrhea in obesity : etiologic role of weight -related an androgen excess. Fertil Steril. 1978;30(2):243-4. https://doi.org/10.1016/S0015-0282(16)43468-0
  26. 김현진, 정아롱, 정은아. 비만을 동반한 희발월경 환자 치험 3례.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8;21(4):247-57.
  27. Lake JK, Power C, Cole TJ. female's reproductive health: the role of body mass index in early and adult life. Int J Obes Relat Metab Disord. 1997; 21(6):432-8. https://doi.org/10.1038/sj.ijo.0800424
  28. Bjorntorp P. The asociations between obesity adipose tissue distribution and disease. Acta Med Scand Suppl. 1988;723:121-34.
  29. De Souza MJ, Metzger DA. Reproductive dysfunction in amenorrhea athletes and anorexic patients: a review. Med Sci Sports Exerc. 1991;23:995-1007.
  30. 최임정. 청소년기의 월경 장애. 대한소아내분비학회지. 2008;13(1):15-20.
  31. 조수현 등 사춘기 여학생의 월경에 관한 조사연구. 대한산부인과학회지. 1999;42(9):2043-7.
  32. 신재철 등. 한국 10대 여성의 초경에 관한 연구. 대한산부인과학회지. 1996;39(5):866-76.
  33. 송정오 등. 여고생의 월경양상에 대한 조사연구.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5;18(2):64-82.

Cited by

  1. 월경주기의 길이와 규칙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관한 연구 vol.24, pp.3, 2011, https://doi.org/10.15204/jkobgy.2011.24.3.073
  2. 여대생들의 비만지표와 신체활동량 차이에 따른 월경양상 및 월경통과의 상관성 연구 vol.24, pp.3, 2011, https://doi.org/10.15204/jkobgy.2011.24.3.156
  3. 여성의 연령에 따른 비만도가 피부저항변이도에 미치는 영향 vol.25, pp.1, 2012, https://doi.org/10.15204/jkobgy.2012.25.1.079
  4. 여대생을 대상으로 한 월경통 클리닉에 대한 임상 보고 vol.25, pp.2, 2011, https://doi.org/10.15204/jkobgy.2012.25.2.142
  5. 가미귀비탕(加味歸脾湯)이 경행후기(經行後期)인 여대생들의 기울과 소화장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vol.26, pp.2, 2011, https://doi.org/10.15204/jkobgy.2013.26.2.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