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Characteristic of the Helmet and Armor in the Early Days of the Joseon Dynasty Appearing in TV Historical Drama - Focusing on the Tear of Dragon and King Sejong -

TV 사극 드라마에 나타난 조선전기 갑주의 특성에 관한 연구 - 용의 눈물과 대왕세종을 중심으로 -

  • Kim, Eun-Jung (Dept. of Clothing & Textile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National University, Human Ecology Research Institute) ;
  • Cho, Mi-Suk (Dept. of Clothing & Textile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김은정 (전남대학교 의류학과.생활과학연구소) ;
  • 조미숙 (전남대학교 의류학과)
  • Received : 2010.10.12
  • Accepted : 2010.12.27
  • Published : 2011.02.28

Abstract

The study researched the characteristic of helmet and armor reflecting Joseon Dynasty by focusing on the helmet and armor appearing in dramas, the Tear of Dragon and King Sejong, whose common point is the historical background, the early Joseon Dynasty, among the historical dramas, which are manufactured on the basis of historical person or age. First, the helmet and armor appearing in historical drama was reproduced on the basis of historical record depending on age. In the early Joseon Dynasty, helmet was classified into cheomju and wonju and armor was classified into chalgap, swaejagap, gyeongbeongap, dujeonggap and dudumigap. In drama, the Tear of Dragon and King Sejong, for helmet, cheomju and wonju were used and for armor, chalgap, dujeonggap and dudumigap, whose type and manufacture method were similar to that of historical record, were reproduced. Second, the helmet and armor appearing in historical drama searched for function. In drama, the Tear of Dragon, rather than heavy iron, plastic and textile were used and the metal scale inside armor was removed. In drama, King Sejong, the weight of armor was decreased by removing the metal scale inside armor and easy wearing was secured by using velcro. Third, the helmet and armor appearing in historical drama expressed various dramatic interpretations. In drama, the Tear of Dragon, the same color as that of armor was adopted for helmet to provide stable and unified feeling. Visually splendid display was added to armor by matching powerful prime color and glossy metal. In drama, King Sejong, modem sense was added to helmet and armor by actively using pastel color reflecting modem fashion.

Keywords

References

  1. 원혜은 (2003). 사극 드라마 의상제작에 관한 연구. 명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1.
  2. 최원경, 김혜리, 조윤경 (2009). 퓨전사극드라마 주몽과 태왕사신기에 나타난 전투복 스타일링 비교. 복식, 59(5).
  3. 조미숙, 김은정 (2010). TV 사극 연개소문과 태왕사신기에 표현된 갑주유형 분석-고구려시대를 중심으로-. 복식, 60(5).
  4. 국방군사연구소 (1997). 한국의 군복식발달사 1. 서울: 국방군사연구소, p. 285.
  5. 박가영 (2003). 조선시대의 갑주.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91.
  6. 박가영 (2003). 조선시대의 갑주.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84-85.
  7. 박가영 (2003). 조선시대의 갑주.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85-97.
  8. 김정자 (1998). 한국 군복의 변천사 연구. 서울: 민속원, p. 108.
  9. 장경숙 (2005). 한국 고대 갑옷과 투구의 연구. 동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66.
  10. 장경숙 (2000). 문헌과 고고학자료에 보이는 한국의 고대갑주. 영남고고학, 27, p. 43.
  11. 皇甫仁, 金宗瑞, 鄭麟趾외 (1454), 世宗實錄 卷133 五禮 軍禮 序禮 兵器 5集 357面. 國史編纂委員會 編 (1970). 朝鮮王朝實錄 5: 世宗實錄4. 교육부 국사편찬위원회, p. 357.
  12. 申叔舟외 (1474). 國朝五禮儀 卷4 軍禮 序禮 兵器 圖說. 허주 (1979). 國朝五禮儀. 경문사, p. 93.
  13. 박가영(2003). 조선시대의 갑주.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70.
  14. 李德懋외 (1790). 武藝圖譜通志. 學文閣 刊(1970). 武藝圖譜通志. 신한서림, p. 604.
  15. 김정자 (1998). 한국 군복의 변천사 연구. 서울: 민속원, p. 209
  16. 박가영 (2003). 조선시대의 갑주.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89.
  17. 이정선 (2008). 조선 전기 왕릉 석인(石人)․석수(石獸)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1.
  18. 전나나 (2009). 조선왕릉 무인상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34.
  19. 전나나 (2009). 조선왕릉 무인상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19.
  20. 太宗實錄. 卷31, 太宗16年1月21日甲寅. 命禮曹巡審 山陵. 禮曹啓本曹受敎春秋仲月遣禮官巡諸山陵仍立 審陵案藏諸本曹.
  21. 은광준 (2010). 조선왕릉석물복식. 서울: 민속원, pp. 17-51.
  22. 은광준 (2010). 조선왕릉석물복식. 서울: 민속원, pp. 348.
  23. 국방군사연구소 (1997). 한국의 군복식발달사 1. 서울: 국방군사연구소, p. 258.
  24. 김정자 (1998). 한국 군복의 변천사 연구. 서울: 민속원, p.255.
  25. 박영규 (1996). 한권으로 읽는 조선왕조실록. 도서출판 들녘, pp. 41-48.
  26. 太祖實錄. 卷14, 7年8月己巳. 自光化門至南山鐵騎彌 滿... 自諸君樞相大小內官下至內奴皆被甲帶劍.
  27. 定宗實錄. 卷3, 2年1月甲午. 芳幹軍士皆甲而奔集... 公不得已呼奴小斤令出甲分與諸將.
  28. 정두희, 김아네스, 최선혜, 이장우 (2004). 장희빈, 사극의 배반. 서울: 소나무, p. 31.
  29. 자료캡쳐일 2010. 6. 12, 자료출처 KBS 대하사극 용의 눈물 DVD 52회.
  30. 자료캡쳐일 2010. 6. 20, 자료출처 KBS 대하사극 용의 눈물 DVD 71회.
  31. 강은영 (2008. 1. 9). 세종의 리더쉽, 혼란 잠재우다. 스포츠한국. 자료검색일 2010. 6. 21, 자료출처 http:// news.hankooki.com/lpage/culture/200801/h2008010907 350484220.htm
  32. 자료캡쳐일 2010. 6. 20, 자료출처 KBS 대하드라마 대왕세종 DVD 1회.
  33. 이재만 (2005). 한국의 색. 서울: 일진사, p. 28.
  34. 자료캡쳐일 2010. 6. 25, 자료출처 KBS 대하드라마 대왕세종 DVD 29회.
  35. 조미숙 (2005). 영상물 장희빈 복식의 고증실태와 분석.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2.
  36. 박가영 (2003). 조선시대의 갑주.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9.
  37. 박가영 (2003). 조선시대의 갑주.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110.
  38. 문화재관리국 (1987). 한국의 갑주. 서울: 문화공보부 문화재관리국, p. 217, p. 196, p. 229.
  39. 박가영 (2003). 조선시대의 갑주.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111.
  40. 문화재관리국 (1987). 한국의 갑주. 서울: 문화공보부 문화재관리국, p. 216.
  41. 문화재관리국 (1987). 한국의 갑주. 서울: 문화공보부 문화재관리국, p. 243
  42. 문화재관리국 (1987). 한국의 갑주. 서울: 문화공보부 문화재관리국, p. 215.
  43. 문화재관리국 (1987). 한국의 갑주. 서울: 문화공보부 문화재관리국, p. 193
  44. 문화재관리국 (1987). 한국의 갑주. 서울: 문화공보부 문화재관리국, p. 107.
  45. 저자촬영 2010. 7. 12, 자료출처 KBS 사극의상실.
  46. 봉현숙 (1999). TV 사극드라마 의상의 고증에 관한 연구-대왕의 길을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25.
  47. 김미영 (1999). 영화 셰익스피어 인 러브에 나타난 복식 분석.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