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Critical Approach to Thriller Films as Male-centric Narratives : Focusing on &

스릴러 영화의 남성 중심적 서사에 대한 비평적 접근 : <아저씨>와 <악마를 보았다>를 중심으로

  • 황혜진 (목원대학교 영화영상학부)
  • Received : 2010.11.13
  • Accepted : 2011.03.13
  • Published : 2011.03.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 through the hypothesis which thriller films based their narratives on the specific characteristics of Koeran society have became mainstream genre in recent Korean film industry. In the viewpoint that popular films and discourses provide the imaginary form of solving problems which threatens the maintenance of status quo in real world. & intend to disclose the identities of antagonist who condense the contradiction of Korean Society and then represent protagonist's practices to integrate disruptions from that contradictions through being a revenger. In the process of reading texts, the fact that there are some crisis in Korean Society not only public realm but also private realm and male-subjects as protagonists struggle for protecting private realm has revealed. But each film appeals to the public using two different narrative strategies. has got popularity by making a fantasy which male-subject success to rebuild the family and punish antagonist severely. In the meantime the protagonist of cannot believe his victory, this kinds of anxiety might come from the traces of antagonist as reflects so many contradictions of Korean Society. At this point, we can expect there will be something new which retrospect our own history and gaze reality itself without ideologically given complex in Korean films in the near future.

본고는 최근 주류 장르로 진입한 남성 중심적 서사로서의 한국형 스릴러가 한국사회라는 특정 콘텍스트를 서사의 기반으로 한다는 전제 아래 <아저씨>와 <악마를 보았다>에 대한 비평적 분석을 시도했다. 대중영화 또는 담론을 현실의 모순을 상상적으로 해결하는 형식이라고 할 때, 두 영화는 한국사회의 모순이 응집된 존재인 안타고니스트의 정체를 밝히고 그들이 가해온 분열을 통합하기 위한 남성주체의 복수를 서사화하고 있다. 분석의 과정에서 한국사회에서 안타고니스트뿐 아니라 복수의 수행자인 프로타고니스트 역시 각각 남성주체로서 공적 영역의 균열뿐 아니라 사적 영역의 위기를 겪고 있음이 밝혀졌다. 그러나 두 영화는 다소 상이한 결론에 도달함으로써 대중의 정서구조에 각각 다른 형식으로 소구한다. <아저씨>는 복수의 성공을 통해 가족을 회복과 공사영역의 수호가 가능하다는 판타지를 만들었으며 <악마를 보았다>는 물리적 복수에는 성공했으나 가해자의 잔영이 남아있는 상황에 대한 우려를 떨치지 못한 남성주체의 불안을 보여줌으로써 과거를 반성하고 현실을 직시하는 새로운 서사의 출현을 예감케 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