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ater Quality and Structure of Aquatic Ecosystem in Water Source, Lake Gachang

상수원 호소인 가창호의 수질과 수생태계의 계절적 변화

  • 박연정 (국립환경과학원 낙동강물환경연구소) ;
  • 이혜진 (국립환경과학원 낙동강물환경연구소) ;
  • 서정관 (국립환경과학원 환경건강연구부) ;
  • 탁보미 (국립환경과학원 낙동강물환경연구소) ;
  • 정현기 (한양대학교 생명과학과) ;
  • 이재관 (국립환경과학원 낙동강물환경연구소)
  • Received : 2011.09.19
  • Accepted : 2011.11.11
  • Published : 2011.11.30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relation between water quality and structure of the aquatic ecosystem in the Lake Gachang from February to December in 2010. The annual mean COD (Chemical Oxygen Demand) in Lake Gachang was 3.5 mg $L^{-1}$, indicating, level II of environmental standards and the trophic state was mesotrophic. The seasonal succession of phytoplankton showed that Bacillariophyceae was mostly dominant species throughout the year except August. In case of zooplankton, rotifers dominate in the most seasons, but copepod (Nauplii) in August. The macrophyte plants showed diverse species composition consisted of 9 varieties, 77 species, 64 genera, 34 families and 24 orders. Surveyed species of macroinvertebrates were classified into 1 phyla, 2 classes, 4 orders, 7 families, 9 species. The macroinvertebrates showed FFG (Functional Feeding Groups) such as GC (Gathering-Collector) and SH (Shedder). A total of 42 species of fish was collected including $Zacco$ $koreanus$ and $Coreoperca$ $herzi$.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environmental factors including pollutant source, load, water quality and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biota such as phytoplankton, zooplankton, macrophyte plants, macroinvertebrates, fish.

2010년 2월부터 12월까지 상수원 호소인 가창호에 대한 수질 및 생물상을 조사하였다. 가창호 유역내 총 BOD 발생부하량은 생활계가 53%로 가장 많이 차지하였으며 토지계(27%), 축산계(16%) 순으로 나타났다. 가창호 유역내 총 TN, TP 발생부하량은 토지계가 각각 59%, 42%로 가장 많이 차지하였다. 가창호 유역내 총 BOD 배출부하량은 토지계가 61%의 높은 비율을 나타내었고 생활계(24%), 산업계(11%) 순으로 나타났다. TN, TP 배출 부하량은 모두 차지하는 비율이 75 이상으로 토지계가 높게 나타났다. 가창호 수질의 경우, 유기물 오염도는 COD의 연간평균값이 3.5 mg $L^{-1}$로 호소환경기준으로 약간 좋음(II)을 나타내었으며, 부영양화도 지수로는 연평균 중영양 상태를 보여주었다. 조류발생정도는 3월과 9월에 다른 달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나, 호소환경기준으로 좋음(Ib)을 나타내었다. 식물플랑크톤은 연중 규조류가 대부분 우점하였으나, 4월과 7월에 기타 편모조류가 우점하여 출현하였다. 그리고 8월에서부터 11월까지는 $Cyclotella$ 속이 우점하여 출현하였다. 동물플랑크톤의 경우에는 소형 윤충류의 출현 종수가 다양한 것으로 나타났다. 2월에는 윤충류인 $Conochilus$ sp., 3월~7월에는 윤충류인 $Keratella$ $cochlearis$가 모두 우점하였고 특히 4월에는 윤충류가 49.8%의 높은 상대풍부도를 나타내었다. 11월에 요각류인 $Cyclops$ sp.가 우점한 것을 제외하면 9월~12월 동안 윤충류인 $Polyarthra$ $vulgaris$가 우점하였고 8월에는 요각류인 Nauplii가 우점하였다. 수생식물은 가창호 수변을 따라 다양한 군락이 나타났다. 주로 선버들군락과 물억새군락이 넓게 형성되어 있으며 도로 인접지역은 칡 피복이 심하고 북쪽 다리 상류 쪽에는 달뿌리풀군락과 왕버들, 갈풀, 여뀌군락이 소규모로 분포하였다.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의 섭식기능군 (FFG)을 조사한 결과, 조사지점 전체에서 GC (Gathering-Collector)와 SH(Shredder)가 조사되었으며, GC 분류군이 가장 높은 종 및 개체수 비율을 차지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어류는 총 7종이 출현하였으며 잉어과 어류가 5종으로 가장 많이 출현하였다. 참갈겨니, 꺽지와 같이 물이 맑고 바위와 자갈이 많은 하천 중 상류에 서식하는 어종이 일부 채집되었는데 가창호의 경우 하천의 상류지점에 위치하고 낮은 수온을 유지하여 이들 어류가 서식 가능한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영훈, 금지돈. 2001. 비슬산 생태계 조사 보고서-담수어류. 대구광역시 달성군. pp. 156-179.
  2. 국립환경과학원. 2007. 수계오염총량관리지침. 96pp.
  3. 국립환경과학원. 2010. 낙동강수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pp. 155-186.
  4. 김범철, 김재옥, 전만식, 황순진. 1999. 소양호 동.식물플랑크톤의 계절변동. 한국육수학회지. 32:127-134.
  5. 김은경. 2007. 가창댐 수질 변화와 조류발생 분포 분석. 경북대학교 산업대학원. 55pp.
  6. 김익수, 강종언. 1993. 원색한국어류도감. 아카데미서적. 478pp.
  7. 김한순, 최재신, 김용재. 1998. 가창댐의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동태. 한국육수학회지. 31:337-344.
  8. 김현우, 라긍환, 정광석, 박종환, 허유정, 김상돈, 나정은, 정명화, 이학영. 2010. 국내 남서부지역 호수 및 저수지 생태계의 플랑크톤 동태 변화. 환경생물. 28:86-94.
  9. 낙동강수계관리위원회. 2005. 낙동강 수계의 어류생태 및 수질평가에 관한 연구. 65pp.
  10. 노태호, 전동준. 2004. 한국산 수서곤충류 섭식기능군 유형 및 군집 안정성 분석. 한국육수학회지. 37:137-148.
  11. 대구광역시. 2010. 2010 환경백서. pp. 223-358.
  12. 대구지방환경청. 2004. 호소생물상조사 보고서(가창댐, 보문호, 풍락지, 영천댐). 179pp.
  13. 변명섭, 박혜경, 정동일. 2006. 대형수생식물이 팔당호의 물질 수지에 미치는 영향. 한국육수학회지. 39:85-92.
  14. 원두희, 권순직, 전영철. 2005. 한국의 수서곤충. (주)생태조사단. 410pp.
  15. 윤일병. 1988. 한국동식물도감. 동물편 (수서곤충류). 문교부. 850pp.
  16. 윤일병. 1995. 수서곤충검색도설. 정행사. 262pp.
  17. 이영주. 1995. 嘉昌댐 水質에 影響을 미치는 上流流域의 點및 非點汚染源에 關한 硏究. 嶺南大學校. 70pp.
  18. 임병진, 정원화, 변명섭, 전선옥. 2000. 식물체를 이용한 조류 증식억제 효과. 한국육수학회지. 33:136-144.
  19. 장봉기. 1996. 인공호에서의 강수와 저수율에 따른 수질변화. 순천향자연과학연구. 순천향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2:61-69.
  20. 최기철. 1991. 경북의 자연. 담수어편. 경상북도교육위원회. 408pp.
  21. 환경부. 2008. 전국오염원조사 보고서. 128pp.
  22. 환경부. 2009. 호소환경조사지침. 117pp.
  23. Aizaki M, A Otsuki, T Fukusima, T Kawai, M Hosomiand and K Muraoka. 1981. Application of modified Carlson's trohpic state index to Japanese and its relationships to other parameters related to trophic stage. Res. Rep. Natl. Inst. Environ. Stud. 23:13-31. (in Japanese)
  24. Aliotta G, MD Greca, P Monaco, G Pinto, A Pollio and L Previtera. 1996. Potential allelochemicals from aquatic weeds: Their action on microalgae. pp. 243-254. In Allelopathy: Field observations and methodology (Narwal SS and P Tauro eds.). Scientific Publishers, Jodhpur.
  25. APHA. 2005. Standard methods for the examination of water and wastewater (21th edition). American Public Health Association, Washington, D.C.
  26. Forsberg C and SO Ryding. 1980. Eutrophication parameters and trophic state indices in 30 Swedish waste-receiving lakes. Archiv. Fur Hydrobiologie. 89:189-207.
  27. Nelson JS. 1984. Fishes of the World. 2nd edition John Wiley & Sons, New York. 523pp.
  28. Park JK. 2003. Annual variation of fresh water quality in the Gachang Dam Reservoir. Korean Journal of Chemical Engineering 20:487-491. https://doi.org/10.1007/BF02705553
  29. Sommer U, ZM Gliwicz, W Lampert and A Duncan. 1986. The PEG-model of seasonal succession of planktonic events in fresh waters. Arch. Hydrobiol. 106:433-471.
  30. Stephen AF. 1887. The Lake as a Microcosm. Isis 91:681-7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