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Linear Programming Model to the Score Adjustment among the CSAT Optional Subjects

대입수능 선택과목 점수조정을 위한 선형계획모형 개발 및 활용

  • 남보우 (단국대학교 경상대학 경영학부)
  • Received : 2010.11.03
  • Accepted : 2010.12.28
  • Published : 2011.03.31

Abstract

This study concerns with an applicability of the management science approach to the score adjustment among the College Scholastic Aptitude Test(CSAT) optional subjects. A linear programming model is developed to minimize the sum of score distortions between optional subjects.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377,089 CSAT(2010) applicants' performances in social science test section, this study proposes a new approach for the score equating or linking method of the educational measurement theory. This study makes up for the weak points in the previous linear programming model. First, the model utilize the standard score which we can get. Second, the model includes a goal programming concept which minimizes the gap between the adjusting goal and the result of the adjustment. Third, the objective function of the linear programing is the weighted sum of the score distortion and the number of applicants. Fourth, the model is applied to the score adjustment problem for the whole 11 optional subjects of the social science test section. The suggested linear programming model is a generalization of the multi-tests linking problem. So, the approach is consistent with the measurement theory for the two tests and can be applied to the optional three or more tests which do not have a common anchor test or a common anchor group. The college admission decision with CSAT score can be improved by using the suggested linear programming model.

Keywords

References

  1. 김성훈, 타당화 개념모형을 이용한 대학수학능력시험 체제 진단, 교육평가연구, 제23권, 제1호(2010), pp.1-27.
  2. 김현철, "모의실험에 의한 대학수학능력시험 선택과목 점수 동등화 방법들의 적합성 비교(1) : 원점수와 동등화점수의 차이분석", 교육학연구, 제41권, 제1호(2003), pp.363-384.
  3. 남명호, 김신영, 남현우, 권순달, 박정, 조지민, 200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점수 체제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서 대수능CAT 2002-32, 2002.
  4. 남보우, "대입수능 동등화 표준점수 산출 보정 : 2005 사례연구", 한국경영과학회 2002 추계 학술대회논문집, (2002), pp.85-89.
  5. 남보우, 수능 선택과목의 표준점수 심층분석 및 대입전형 활용방안, 한국교육과정평가원, RRO, 2010.
  6. 남보우, 수능시험 선택과목 점수조정에 대한 측정학 및 경영과학 비교, 한국경영과학회 2010 추계학술대회발표논문집, (2010), pp. 164-168.
  7. 남현우, "2005 수능의 탐구영역 내 과목 간 점수 조정에서 합집단 연계화방법의 적용가능성", 교육평가연구, 제16권, 제1호(2003), pp.163-182.
  8. 남현우, "대학수학능력시험 영역별선택과목의 연계화 가능성탐색", 교육평가연구, 제17권, 제2호(2004), pp.93-105.
  9. 박 정, "문항반응이론에 의한 2005 대학수학능력시험 영역별 선택과목 점수조정의 타당성 검증", 교육학연구, 제43권, 제2호(2005), pp. 135-154.
  10. 부재율, "검사동등화 시의 고려사항", 교육평가연구, 제12권, 제1호(1999), pp.43-64.
  11. 성태제, "다른 교과의 점수를 연결하는 통계적조절 방법의 타당성", 교육평가연구, 제13권 제1호(2000), pp.63-99.
  12. 윤영선, 상관분석, 교육과학사, 2000.
  13. 정기호, 백천현, 엑셀을 활용한 경영과학, 4판, 비앤엠북스, 2009.
  14. 최성열, 이규민, 박아청, 검사점수 연계화 방법의 상대적 적절성 비교, 교육심리연구, 제21권, 제1호(2007) pp.1-25.
  15. 황형태,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표준점수제의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 응용통계연구, 제18권, 제3호(2005), 521-532.
  16. Kolen, M.J. and R.L Brennan, Test Equating, Scaling, and Linking, 2nd Ed., Springer,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