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Analysis of Patterns of Claims on Scientific Technology of the Science-gifted

과학영재들의 과학기술에 대한 견해의 주장형식 분석

  • Received : 2011.02.08
  • Accepted : 2011.03.18
  • Published : 2011.03.31

Abstract

As the scientific technology has produced complex problems that required value judgment, science-gifted students need the program for enhancing the critical thinking.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patterns of claims on scientific technology of the science-gifted for the development of argument program. The data were collected by 60 science-gifted students using writing and e-mail. The result showed that 29% of the participants provided only advantageous factors for their claims, whereas only 10% among the participants who provided both sides used pattern of 'rebuttal.' In addition, the students who fell into the patterns of 'alternative suggestion' and 'overly positive expectation on scientific technology' revealed positive recognition on scientific technology. These results highlight the need of argumentation program for science-gifted students that could be guideline for knowledge or argumentation, help awareness of limitation and role of scientific technology and lead to well-balanced judgment between positive effects and negative ones.

과학기술이 가치판단을 요구하는 복잡한 문제로 발전해감에 따라 과학영재를 위한 가치판단 능력을 기를 수 있는 프로그램을 구성하고자 본 연구에서는 먼저 과학영재들의 과학기술에 대한 견해가 어떤 형식으로 주장되고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소재 대학부설 과학영재원의 60명을 대상으로 글쓰기와 이메일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결과, 과학영재 학생들의 주장형식 중 29%가 자신의 주장에 유리한 측면만을 언급하는 '일방적 주장' 형식을 취하였고, 양쪽 측면을 모두 언급한 사례 중에서도 10%만이 '반박'의 주장형식을 사용하였다. 또한 '대안 제시', '과학기술에 대한 긍정적 기대 부여'에서는 과학영재 학생들의 과학기술에 대한 긍정적 인식이 드러났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과학영재를 위해 구성될 논증교육 프로그램은 체계적인 논증지식을 지도할 뿐 아니라 과학기술의 한계와 역할을 인식할 수 있도록 돕고 과학기술의 긍정적 효과와 부정적 효과 사이에서 균형적 판단을 내릴 수 있도록 안내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순민 (2004). 과학적 맥락의 논의 과제 해결 과정에서 나타나는 논의과정 요소의 특성. 박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2. 곽경화, 남정희 (2009). 과학적 논의과정 활동을 통한 학생들의 논의과정 변화 및 논의상황에 따른 논의과정 특성.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9(4), 400-413.
  3. 김리경, 하은선, 송진웅 (2010). 과학관련 사회적 이슈에 대한 과학문화지표의 개발: '기후변화'를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0(4), 472-486.
  4. 남정희, 곽경화, 장경화 (2008). 논의를 강조한 탐구적 과학 글쓰기(Science Writing Heuristic)의 중학교 과학 수업에의 적용.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8), 922-936.
  5. 박정은, 유은정, 이선경, 김찬종 (2009). 논증 구조 교육을 통한 고등학교 학생들의 과학 글쓰기 분석: 과학 글쓰기 장르에 따른 글쓰기 과제를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9(8), 824-847.
  6. 심미영, 조희형 (2009). 윤리학 이론과 생명과학 관련 사회과학적 논쟁거리에 적절한 생명 윤리 교수-학습 방법의 탐색.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9(5), 513-530.
  7. 양일호, 이효정, 이효녕, 조현준 (2009). 과학적 논증과정 평가를 위한 루브릭 개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9(2), 203-220.
  8. 임태훈 (2006). 과학-사회 관련 문제에 대한 과학의 본성과 의사결정 요인 분석.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9. 장해리, 정영란 (2009). 과학과 관련된 사회. 윤리적 문제에 대한 의사결정 시 수행하는 비형식적 추론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9(2), 253-266.
  10.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AAAS]. (1993). Benchmarks for science literacy.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1. Driver, R., Newton, P., & Osborne, J. (2000). Establishing the norm of scientific argumentation in classroom. Science Education, 84, 287-312. https://doi.org/10.1002/(SICI)1098-237X(200005)84:3<287::AID-SCE1>3.0.CO;2-A
  12. Erduran, S., & Jimenez-Aleixandre, M. (2008). Argumentation in science education: Perspectives from classroom-based research. New York: Springer.
  13. Frazer, M., & Kornhauser, A. (1994). 과학교육에서의 윤리와 사회적 책임 [송진웅 역]. 서울: 명경. (원본출간년도: 1986)
  14. Kuhn, D., Shaw, V., & Felton, M. (1997). Effects of dyadic interaction on argumentive reasoning. Cognition and Instruction, 15(3), 287-315. https://doi.org/10.1207/s1532690xci1503_1
  15. Osborne, J., Erduran, S., & Simon, S. (2004). Enhancing the quality of argumentation in school science. Journal of Researcher in Science Teaching, 41(10), 994-1020. https://doi.org/10.1002/tea.20035
  16. Sadler, T., & Zeidler, D. (2004). The morality of socioscientific issues: Construal and resolution of genetic engineering dilemmas. Science Education, 88(1), 4-27. https://doi.org/10.1002/sce.10101
  17. Sadler, T., & Zeidler, D. (2005). Patterns of informal reasoning in the context of socioscientific decision making.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2(1), 112-138. https://doi.org/10.1002/tea.20042
  18. Simon, S., Erduran, S., & Osborne, J. (2006). Learning to teach argumentation: Research and development in the science classroom.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8(2-3), 235-260. https://doi.org/10.1080/09500690500336957
  19. Yang, F., & Anderson, O. (2003). Senior high school students' preference and reasoning modes about nuclear energy use.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5(2), 221-244. https://doi.org/10.1080/09500690210126739
  20. Zeidler, D. L., & Keefer, M (2003). The role of moral reasoning and the status of socioscientific issues in science education: Philosophical, psychological and pedagogical considerations. In D. L. Zeidler (Ed.), The role of moral reasoning and discourse on socioscientific issues in science education. Dordrecht, Netherlands: Kluw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