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Variations of catch of Anchovy and Saury due to oceanic climate change in the Korean seas

해양기후변화에 의한 한국주변 해역에서 멸치와 꽁치의 어장 변화 연구

  • 오승열 (부경대학교 공간정보시스템공학과) ;
  • 장선웅 (부경대학교 공간정보시스템공학과) ;
  • 윤홍주 (부경대학교 공간정보시스템공학과) ;
  • Received : 2010.10.08
  • Accepted : 2010.11.25
  • Published : 2011.03.31

Abstract

The variations of catch of anchovy and saury due to oceanic climate change in the Korean Seas were studied. This study area was $31^{\circ}{\sim}38^{\circ}$ N and $124^{\circ}{\sim}132^{\circ}$ E. And data (seawater temperature, salinity, dissolved oxygen) is used from NFRDI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and SST (Sea Surface temperature) obtained to satellite images (NOAA/AVHRR) during 2000 to 2009. The spatial characteristics are analyzed by 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verage of seawater temperature in the depth of 20m increased $1.45^{\circ}C$ in the South Sea and $0.83^{\circ}C$ in the East Sea, respectively. The maximal catch of anchovy was highest in summer (July~September) and winter (December~March), respectively, in compared with spring (April~June). Catch of anchovy has increased since 2000. The maximal catch of saury was highest in spring (May~June), in compared with spring (August~September). The increment of seawater temperature contributed to increase the catch of anchovy, but catch of saury was decrease in the same times.

본 연구는 한국 주변 해역을 중심으로 해양기후변화에 따른 어획량 변동을 연구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조사 대상 지역은 북위 $31^{\circ}{\sim}38^{\circ}$, 동경 $124^{\circ}{\sim}132^{\circ}$의 한반도 주변해역이며 사용한 자료는 국립수산과학원의 수온, 염분, 용존산소의 2000~2009년까지의 자료와 위성자료를 각각 사용하였다. GIS를 활용하여 공간변동특성을 분석하였다. 연구기간동안 남해의 경우 수온은 평균 $1.45^{\circ}C$ 상승하였고, 동해의 경우는 평균 $0.83^{\circ}C$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온상승과 멸치 및 꽁치의 어획량을 비교하여 보면 멸치는 7~9월과 12~3월 사이에 많은 양이 어획되며 4~6월에는 상대적으로 어획양이 적었다. 연별로는 2000년 이후 멸치의 어획량이 상승하였다. 꽁치는 5월과 6월에 가장 많은 양이 어획되며 8월과 9월에는 극소량이 어획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수온 상승으로 인하여 난류성인 멸치의 어획량은 증가하고 한류성인 꽁치는 어획량이 점차 감소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권원태, "국제적 기후변화 현황", 서울평화상문화재단, 제 5권 1호, pp.45, 2008
  2. 국립수산과학원, "연근해 어업 자료평가 수산자원보고서", 제 10호, 1998
  3. IPCC(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IPCC 4th Assessment Report. 2007.
  4. 국립수산과학원, "해양조사연보", 2000-2009
  5. 공영, 서영상, 성기탁, 한인성, "해양기후와 어류개체군의 변동", 국립수산과학원, pp.182∼184, 2009
  6. 어업생산통계, 통계청, http://fs.fips.go.kr
  7. 해양수산연구정보포털, 국립수산과학원, http://portal.nfrdi.re.kr
  8. 양찬수, 문정언, 안유환, "인공위성자료를 이용한 황해의 해황 변동: 2004년 이상 수온 상승을 중심으로", 해양환경안전학회 춘계학술발표회, pp.137-140, 2006.
  9. 김봉철, 김재동, "2009년 어업생산동향 조사 결과", 통계청, pp.2-4, 2010.

Cited by

  1. Morphological and Genetic Characteristics of Pearl-spot Damselfish Chromis notata (Teleostei: Pomacentridae) in Coastal Waters of East Sea (Sea of Japan) and Jejudo vol.36, pp.2, 2014, https://doi.org/10.4217/OPR.2014.36.2.189
  2.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atch of Coastal Fisheries and Climate Change Elements using Spatial Panel Model vol.46, pp.3, 2015, https://doi.org/10.12939/FBA.2015.46.3.063
  3. 스펙트럼 분석을 통한 2016년 하계 한국연안의 수온변동 특성에 관한 연구 vol.26, pp.2, 2011, https://doi.org/10.7837/kosomes.2020.26.2.186
  4. Effects of water temperature changes on oxygen consumption and hematological factors in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vol.24, pp.2, 2021, https://doi.org/10.47853/fas.2021.e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