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Method to Vitalize Culinary Education Based on Recognition Survey of Culinary Practice - Focused on Universities Located in Daejeon.Chungnam Areas -

조리실습에 대한 인식 조사를 기반으로 한 조리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 - 대전.충남 지역 4년제 대학교를 중심으로 -

  • 강경심 (공주대학교 외식상품학과)
  • Received : 2011.01.03
  • Accepted : 2011.03.19
  • Published : 2011.03.31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on the 4 year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the culinary practice to survey the recognition levels of the culinary practice education with the purpose of searching for a development plan of the culinary education. The recognition levels of the culinary practice education according to the types of sex, grade and alma mater are as follows. The interest and necessity of the culinary practice education was very high while the performance degree of the culinary practice education was felt insufficient. For the efficient culinary practice education, they recognized that theoretical education and practice demonstrations are required and hoped to focus on hotel cooking and certified technician cooking. In addition, they hoped to be provided with a place for teacher's detailed practice demonstrations and supplementary practice. According to the variables, positive responses were given from male students, high grade students and vocational school students. In conclusion, if chances are given to display achievement desire self-directly through increasing practical training,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various programs, operation of open practice classes and culinary organization reflecting social changes in the education courses, the culinary practice education is considered to be more vitalized.

본 연구는 조리 관련 학과를 전공하고 있는 일부 4년제 대학생을 대상으로 조리 실습 교육에 대한 인식 수준을 조사하여 조리교육의 발전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성과 학년, 졸업학교 유형에 따른 조리 실습 교육에 대한 인식 수준은 다음과 같다. 조리 실습 교육의 흥미도와 필요성은 매우 높으나, 조리 실습 교육의 실시 정도에 대해서는 부족하다고 느끼고 있었다. 효과적인 조리 실습 교육을 위해서는 이론 교육과 실습시연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호텔요리와 기능사요리에 중점을 두기를 희망하고 있었다. 또한 교사의 자세한 실습 시연과 보충실습을 할 수 있는 장소가 제공되기를 희망하였다. 변인에 따라서는 남학생과 고학년, 전문계고 출신 학생들이 긍정적인 응답을 하였다. 결론적으로 교육과정에서 실습의 비중을 높이고,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열린 실습실의 운영, 사회 변화를 반영한 교육과정 편성 등을 통해 자기 주도적으로 성취 욕구를 발산할 수 있는 기회가 제공된다면 조리 실습 교육은 더욱 활성화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