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Video Art and Media Environment in City Space

도시 공간에서의 비디오 아트와 미디어 환경에의 재고

  • 손영실 (경일대학교 사진영상학부)
  • Received : 2010.10.12
  • Accepted : 2011.03.15
  • Published : 2011.04.28

Abstract

The development of projection technology produces series of discussions associated to various form of visual immersing possibilities by the way of projecting image directly to the obscure surface surrounded us. Besides, the significance can be found in terms of that this kind of image projection offers chance to citizens to enjoy high standard images and makes people consider media environment of city. Video art as the digital technology grafts penetrates formative space of city by projecting images. The certain thing about questions how the media has status in city is that media is now not existing for self neither for abstractly and virtual reality is existing in the general appearance of metropolis. This paper treats media environment of city and the meaning of image projection as from of video art in the city. It accesses about the meaning of video form visual art in big city- new reality, the virtual and the real, immersion and interactivity. And media reality of metropolis defines that there is not one major discourse in the gigantic text -metropolis rather they are different discourses each other simultaneously compatible in the gigantic text -metropolis and in fact, they affect each other and interact.

점점 증가되는 도시 속의 영상 프로젝션과 늘어나는 대형 스크린들은 도시의 미디어 환경을 재고하게 한다. 도시 속에서 미디어가 갖는 위상에 관한 물음에서 명확한 것은 미디어는 이제 추상적으로도 그 자체를 위해서도 존재하는 것이 아니며 가상 현실은 대도시의 일반적인 모습 속에서 존재하고 있다는 것이다. 대형화면으로 투사되는 비디오 이미지는 점점 관객들에게 접촉하는 듯한 느낌을 줌과 동시에 관람객들은 공간 속으로 몰입되는 느낌을 받게 된다. 본 논문은 도시 속의 비디오 아트 형태의 영상 프로젝션이 갖는 의미와 도시의 미디어 환경을 고찰해 봄으로써 대도시에서 비디오 아트 형태의 영상 프로젝션은 새로운 실재성, 가상과 현실, 몰입과 상호 작용성의 경험을 제공하며 도시의 미디어 환경의 관점에서 본다면 대도시라는 거대 텍스트는 어떤 주도적인 하나의 담론이 존재하지 않고 텍스트의 서로 상이한 담론들이 동시에 병립되어 서로 영향을 미치며 상호 소통되고 있음을 밝혔다.

Keywords

References

  1. 플로랑스 드 메르디외(정재곤옮김), 예술과 뉴 테크놀로지(Art et Nouvelles technologies), 열화당, p.13, 2005.
  2. 빌 비올라와의 인터뷰, KBS 디지털 미술관(2003년 4월2일 방송)<시간을 조각하다- 빌 비올라>에서의 내용을 인용함.
  3. 오은경, 뉴 미디어 시대의 예술, 연세대학교 출판부, p.196, 2008.
  4. 크리스티앙 폴(Christian Paul), 조충연옮김 디지털 아트(Digital Art), 시공아트, p.80, 2004.
  5. 크리스티앙 폴(Christian Paul), 조충연옮김 디지털 아트(Digital Art), 시공아트, pp.83-84, 2004.
  6. <팝사인>, 2009년 9월호, p.11 퍼포머티브 인터뷰인용
  7. www.interactivearchiture.org
  8. www.mediaarchitecture.com
  9. www.artcom.de
  10. www.archlight.com
  11. 크리스티앙 폴(Christian Paul), 조충연 옮김, 디지털 아트(Digital Art), 시공아트, pp.80-81, 2004.
  12. Paul Virilio, Speed and politics, An essay on Pormology, New York, Semiotext, 1987, p.72(랄프 슈렐, 미디어 미학, 강호직 외 4인 옮김, 이론 과 실천, p.468, 2000. 재인용).
  13. 렌델 패커, 켄 조던 엮음, 아트센터 나비 학예연구실 옮김, 멀티미디어: 바그너에서 가상 현실까지, nabi press, p.32, 2004.
  14. 렌델 패커, 켄 조던 엮음, 아트센터 나비 학예연구실 옮김, 딕 히긴스, "인터 미디어" in 멀티미디어: 바그너에서 가상 현실까지", nabi press, p.88, 2004.
  15. 랄프 슈렐, 미디어 미학, 이론과 실천, p. 463.
  16. 랄프 슈렐, 미디어 미학, 이론과 실천, p. 464.
  17. 폴 비릴리오, p.72, 1987.
  18. 플로랑스 드 메르디외(정재곤옮김), 예술과 뉴 테크놀로지(Art et Nouvelles technologies), 열화당, p.225,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