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Improving the PR System of the Disaster Management -Contents Analysis of 'Monthly Publication of the Disaster Analysis & Prospect'in NEMA-

재난관리 효과성 제고를 위한 재난관리 PR체계 개선방안 -소방방재청 '월간재난종합상황 분석 및 전망'의 내용 분석-

  • 이예종 (충북대학교 국가위기관리연구소) ;
  • 이주호 (충북대학교 국가위기관리연구소) ;
  • 변성수 (연세대학교 빈곤문제국제개발연구원) ;
  • 이재은 (충북대학교 행정학과)
  • Received : 2010.11.02
  • Accepted : 2010.12.08
  • Published : 2011.04.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improving the PR System of the Disaster Management. For achieving the purpose, this article deals with Monthly Publication of the Disaster Analysis & Prospect pressed by the NEMA and DHS TODAY pressed by the DHS and use to contents analysis as methodology. This study selects sorts, management steps, and learning of disaster which are useful in analyzing contents by the krkwic program. This study suggests how to improve PR System of disaster management focusing on contents of the PR media.

본 논문은 소방방재청 "월간재난종합상황 분석 및 전망"을 중심으로 하여 재난위기관리 PR 매체에 대한 내용분석을 실시하고, 이 과정에서 미국의 DHS TODAY와의 비교를 통해 재난위기관리 PR 매체의 문제점과 재난위기관리 PR의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내용분석은 양적분석을 중심으로 하되 질적 내용분석을 병행하는 절충적 내용분석을 이용하였다. 또한, 양적 내용분석의 경우 한국어 내용분석 소프트웨어인 krkwic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고 있는 재난관리 PR의 개선방안은 그 중요성에 비해 상대적으로 소홀히 다루어지고 있어 재난관리 PR의 발전에 미약하나마 일조할 수 있으리라는 정책적 함의를 갖는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정헌, 현대 행정 PR론, 서울: 형설출판사, pp.14-15. 2007.
  2. 이연, 재난발생시 매스 미디어의 역할, 방재연구, Vol.8, No.2, pp.56-63, 2006.
  3. S. K. Schneider, Governmental Response to Disasters: The Conflict between Bureaucratic Procedures and Emergent Norms.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Vol.52, No.2, pp.135-145, 1992. https://doi.org/10.2307/976467
  4. S. Fink, Crisis Management: Planning for the Inevitable. New York, AMACOM. 1986.
  5. D. C. Sturges, Communication through Crisis. Management Communication Quarterly, Vol.7, No.3, pp.297-316, 1994. https://doi.org/10.1177/0893318994007003004
  6. I. I. Mitroff, Crisis Leadership: Planning for the Unthinkable. 2006; 씨알인스(역), 서울: 범한서적(주), 2006.
  7. T. Coombs, On-going Crisis Communication: Planing, Managing and Responding, 1999; 위기관리 커뮤니케이션, 이현우(역),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2001.
  8. 안철현, 공공기관의 PR 특성과 위기관리 현황 연구: 우수성 연구(Excellence Study)의 적용,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8.
  9. 김영욱, 위기관리 모델과 커뮤니케이션: PR측면의 기본적 이해, 방재연구, Vol.6, No.4, pp.79-95, 2004.
  10. Littlejohn, Stephen W. Theories of Human Communication. 4th ed. Belmont, CA: Wadsworth Publishing Co. p.348, 1992.
  11. 소방방재청, 상황보고서 활용에 대한 설문조사, 2005.
  12. Dougall, Elizabeth. Revelations of an Ecological Perspective: Issues, Inertia, and the Public Opinion Environment of Organizational Populations, Public Relation Review, 31. pp.534-535, 2005. https://doi.org/10.1016/j.pubrev.2005.08.013

Cited by

  1. Analyzing the Effects of Policy PR on the Policy Support, Government Trust vol.13, pp.7,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07.190
  2. Development of Cassette-Type Water Treatment Package System for Emergencies vol.7, pp.1, 2015, https://doi.org/10.7763/IJET.2015.V7.758
  3. The qualities of the president in the field of Korean disaster management pp.1878-0059, 2018, https://doi.org/10.1080/17477891.2018.14616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