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Direction of Mathematics Education according to the Perspective of the Classroom Ecology

교실생태학적 관점에 따른 수학교육의 방향 탐색

  • Lee, Dae-Hyun (Department of Mathematics Education, Gwa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Received : 2011.03.11
  • Accepted : 2011.04.25
  • Published : 2011.04.30

Abstract

This paper provides an outline of mathematics education based on the classroom ecology. Ecology is the subject that concentrates on the relations of human and environment. As mathematics education consists of many factors, it is natural that mathematics education should be interest in the perspective of ecology. This paper examines the meaning of ecology and classroom ecology of mathematics education in the perspective of ecology. And it provides the directions of ecological mathematics education. In special, I set the frame of mathematics classroom in the perspective of ecology. The ecological structure divides microsystem(teacher, student, content), mesosysten(relations of microsystems), exosystem(school), and macrosystem(the objects of mathematics education). Lastly, I suggest the ways of mathematical learning and research of classroom ecology in mathematics education. For we should focus the improvement of students' mathematical ability, we must search for the variou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the ares of research in the perspective of ecology classroom. Therefore, we should be interested in the classroom environments as well as teaching methods, contents based on the ecology classroom in mathematics education.

교실생태학은 교과를 지도하는 상황을 하나의 유기체로 파악하는 생태학적 은유를 이용한다. 본 논문에서는 생태학적 관점에서 수학교육의 방향에 대해 고찰해 보았다. 이를 위해 생태학과 교실생태학의 의미에 대하여 알아보고, 교실 생태학적 관점에서 수학 교실의 체계를 설정하였다. 마지막으로 교실생태학적 관점에서 교실 연구의 방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교실생태학적 관점의 수학교육은 수학 수업을 둘러싼 여러 요소들의 상호작용의 총합으로 전체론적-유기체적 관점을 통하여 상생의 관계를 모색하고 지향한다. 또한 교실생태학적 관점에서 수학교육은 학생이 처한 사회의 삶의 맥락을 바탕으로 교실 구성원간의 상호작용에 의한 상생의 추구를 그 목적으로 한다. 교실생태학적 관점에서는 교실 안의 여러 구성 요소들에 대한 미시적 분석과 함께 여러 요소간의 상호 관계 및 교실을 둘러싼 체계에 대한 거시적 분석이 가능하며, 이를 바탕으로 수학 교실을 구성하는 다수의 상호작용 체계와 학생을 포함한 환경의 다양한 측면을 고려한다. 따라서 수학 교실생태학은 역동적이고 다변적인 교실 환경과 그 안에서 일어나는 여러 요소들의 역학적 관계를 고려하고, 수학 수업 개선을 위한 연구의 관점을 제공할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인적자원부 (2007). 수학과 교육과정. 서울: 교육인적자원부.
  2. 김윤옥 (2005). 생태학적 국어교육: 듣기.말하기 교육을 중심으로. 청람어문교육, 31, 33-51.
  3. 김정아 (2005). 장소중심 지리교육내용 구성 원리의 탐색.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 김종석, 김정겸 (2002). 구성주의 수업에 있어서 학습 양식이 학습효과에 미치는 영향. 敎育發展論叢, 23, 89-110.
  5. 김혜숙 (2006). 사회과 교실수업연구를 위한 교실생태학의 가능성 탐색. 사회과 교육, 45(2), 25-48.
  6. 남상준 (2009). 초등 사회과 수업에서의 '활동'의 생태적 접근성. 사회과학교육연구, 10, 45-66.
  7. 노상우 (2003). 생태적 담론의 교육학적 함의-새로운 생태교육관의 모색-. 교육학연구, 41(1), 1-21.
  8. 노상우 (2007). 생태주의에서 본 현대교육학의 세 가지 과제. 교육철학, 39, 57-79.
  9. 박인기 (2003). 생태학적 국어교육의 현실과 지향.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1-34.
  10. 박인기 (2009). 교과의 생태와 교과의 진화: 교과의 개념에 대한 패러다임 변화와 국어교과의 진화조건. 국어교육학연구, 34, 309-343.
  11. 백순근 (2002). 학습에 대한 생태학적 접근이 교육평가에 주는 시사. 아시아교육연구, 3(1), 27-42.
  12. 양재영․남상준 (2008). 교실 친화적 사회과 수업의 방향 모색. 교원교육, 24(1), 71-87.
  13. 유영만 (2005). 지식생태학과 교육공학: 생태학적 교육공학의 정초마련을 위한 시론적 탐색. 교육공학연구, 21(1), 159-194.
  14. 이도원 (2002). 생태학에서 부분과 전체. 과학사상, 봄호, 58-73.
  15. 임채균 (2004). 홀리스틱 교육육에 의한 초등 사회과 환경교육 방안-경남 함양군 마천면을 사례로-.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6. 최수아 (2008). Mental Map에 드러난 아동들의 생활세계 이해.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7. 한국과학창의재단 (2009). 창의중심의 미래형 수학과 교육과정 모형 연구. 한국과학창의재단.
  18. Baine, D., Puhan, B., Puhan, G., & Puhan, S. (2000). An ecological inventory approach to developing curricula for rural areas of developing countries. International Review of Education, 46(1/2), 49-66. https://doi.org/10.1023/A:1003974306069
  19. Barab, S. A., & Roth, W. (2006). Curriculum -based ecosystems: Supporting knowing from an ecological perspective. Educational Researcher, 35(5), 3-13. https://doi.org/10.3102/0013189X035005003
  20. Bronfenbrenner, U. (1979). The ecology of human development: Experiments by nature and design. MA: Harvard University Press. 이영 (역)(1995). 인간발달 생태학. 서울: 교육과학사.
  21. Bruhn, J. B. (1974). Human ecology: A unifying science? Human Ecology, 2(2), 105-125. https://doi.org/10.1007/BF01558116
  22. Capra, F. (1996). The web of life. New York: Brockman, Inc. 김용정․김동광 (역)(1998). 생명의 그물. 범양사출판부.
  23. Catton, W. R. (1994). Foundations of human ecology. Sociological Perspective, 37(1), 75-95. https://doi.org/10.2307/1389410
  24. Cobb, P., Perlwitz, M., & Underwood, D. (1996). Constructivism and activity theory: A consideration of their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as they relate to mathematics education. In H. Mansfield, N. A. Pateman, & N. Bednarz(Eds.), Mathematics for tomorrow's young children(pp. 10-58). Dordrecht: Kluwer Academic Publishers.
  25. Cobb, P., Bauersfeld, H. (1995). Introduction: The coordination of psychological and sociological perspectives in mathematics education. In P. Cobb & H. Bauersfeld, The emergence of mathematical meaning: Interaction in classroom cultures(pp. 1-16). New Jersey: Lawrence Erlbam Associates, Publishers.
  26. Freudenthal, H. (1991). Revisiting mathematics education-china lectures-. Kluwer Academic Publishers.
  27. NCTM (1989). Curriculum and evaluation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The Author
  28. NCTM (2000).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The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Inc.
  29. Niss, M., Blum, W., & Galbraith, P. (2007). Introduction. In W. Blum, P. Galbraith, H. Henn, & M. Niss(Eds.). Modeling and applications in mathematics education(pp. 3-32). New York: Springer.
  30. Patel, S. (1997). Ecology and Development. Economic and Political Weekly, 32, 20-26.
  31. Roth, W. (1996). Where is the context in contextual word problem?: Mathematical practices and products in grade 8 students' answers to story problems. Cognition and Instruction, 14(4), 487-527. https://doi.org/10.1207/s1532690xci1404_3
  32. Wertheimer, M. (1945). Productive thinking. New York: Harper & Brothers published. 矢田部達郞 (譯) (1952). 生産的思考. 岩波現代叢書
  33. Yackel, E., & Cobb, P. (1996). Socio mathematical morms, argumentation, and autonomyin mathematics.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27(4), 458-477. https://doi.org/10.2307/7498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