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Understanding Students' Beliefs about Actions and Willingness to Act on Global Warming in Korea and Singapore

지구 온난화 완화를 위한 행동에 대한 한국과 싱가포르 학생들의 신념과 행동 의지

  • Received : 2010.11.05
  • Accepted : 2011.04.11
  • Published : 2011.04.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look into students' understandings of environmental issues, especially issues on global warming in South Korea and Singapore. We surveyed students (n=2,389, from 6 to 10 years) from 12 schools in South Korea and 5 schools in Singapore on how useful students believe various actions might be in reducing global warming, and their willingness to undertake such actions. We employed questionnaires developed by Boyes, Skamp, & Stanisstreet (2009), which consists of 44 questions on 16 pro-environmental actions. We analyzed the degree of students' beliefs, willingness to act,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elieved usefulness of action and willingness to ac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countries were determined by Analysis of Covariance (ANCOVA) using the ordinal data and the potential effectiveness of education was explored by plotting the measures of the degree of willingness to act for a particular action against the value of the believed usefulness of action and fitting the regression line. The degree of willingness to act and their beliefs in the usefulness of action was different from question to question between the two countries, however, the overall relationship between willingness to take action and beliefs in the action has shown to be stronger among Singaporean students than those of South Korean students. Based on the findings, we attempted to discuss about how environmental education needs to take into account the complexity of beliefs, willingness to act, and action taking.

본 연구의 주요 내용은 한국과 싱가포르의 초, 중, 고 학생들이 지구 온난화 완화를 위한 행동들에 대해 어느 정도의 신념과 행동 의지를 가지고 있으며 그 둘 사이의 일관성 정도는 어떠한지 조사하는 것이다. 또 한 신념과 행동 의지 사이의 회귀 분석을 통해 교육에 의해 행동 의지를 개선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은 행동 이 무엇인지에 대해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Boyes et al.(2009)에 의해 개발된 설문을 이용하여 지구 온난화의 완화를 위한 행동 16가지에 대한 학생들의 신념과 행동 의지를 5단계 척도의 문항을 통해 조사하였다. 설문 대상은 한국과 싱가포르 6, 7, 8, 9, 10학년학생 2,389명이다(한국 1,446명, 싱가포르 943명). 연구 결과 행동 의지 면에서는 한국과 싱가포르에서 공통적으로 '가정에서 전기를 절약하는 것'에 대한 행동 의지가 가장 높은 반면 '원자력 발전에 의한 전기 사용'에 대한 행동 의지가 가장 낮았다. 또한 가정에서 혹은 사회적으로 공동으로 실천할 수 있는 행동에 대한 행동 의지가 다른 기타의 항목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경향이 있었다. 신념 면에서는 개인 승용차 보다는 대중 교통을 이용하는 것, 나무를 많이 심는 것, 재활용을 늘이는 것 등 이산화탄소의 배출을 줄이는 대표적인 행동은 지구 온난화 완화를 위한 행동으로 양국에서 모두 널리 인식되고 있었으나 육식을 줄이는 것(즉 메탄의 발생을 줄이는 것)이 지구온난화 완화를 위한 행동이라는 것은 양국 모두에서 가장 낮게 인식되었다. 전반적으로 싱가포르 학생들이 지구 온난화 완화를 위한 행동들에 대한 행동 의지가 한국보다 높았으며 보다 많은 항목들에 대해 높은 수준의 신념을 나타냈다. 신념과 행동 의지 사이의 일관성을 살펴보면 신념이 행동 의지보다 높은 문항이 많았는데 대표적인 것으로 한국의 경우 '교통 수단 이용과 관련된 것', '발전 방식과 관련된 것'이 차이가 많이 났으며 싱가포르의 경우 '발전 방식과 관련된 것'에서만 차이가 많았다. 이들 내용에 대해서는 강한 신념을 보인 학생 수가 강한 행동 의지를 보인 학생 수보다 전체의 30%이상 많았다. 개인별로 신념과 행동 의지 사이의 일관성 정도를 살펴보기 위해 행동 의지 점수에서 신념의 수를 뺀 값으로 개인의 반응 지수를 구하여 분석한 결과 한국이 -0.14, 싱가포르가 -0.05의 값을 나타냈다. (-)값은 신념에 비해 행동 의지가 낮은 것을 나타내며 싱가포르의 반응 지수가 한국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았다. 즉 싱가포르 학생들이 신념과 행동의지가 좀 더 일관적이었다. 신념과 행동 의지 사이의 회귀 계수와 현재 낮은 행동 의지를 '원자력 발전에 의한 전기 사용'이었다. 이상과 같은 결과를 종합해 보면 지구 온난화 완화에 대한 행동 의지, 신념, 그리고 그 둘 사이의 연관성 정도는 특정 행동에 따라 그리고 국가에 따라 다른 양상으로 나타나지만 양국 사이에 많은 공통점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전반적으로 볼 때 싱가포르 학생들이 지구 온난화에 대한 행동 의지와 신념이 높았고 이 둘 사이의 일관성도 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곽영순 (2004). PISA 검사 결과에서 드러난 만 15세 한국 학생들의 온실효과에 대한 대안적 개념.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3), 668-674.
  2. 국동식 (2003). 온실효과 개념에 대한 오개념 원인으로서의 10학년 과학 교과서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3(5). 592-598.
  3. 박성진, 서우석 (2000). 초등학교 학생들의 환경친화적 행동과 관련 변인. 한국실과교육학회지, 13(3), 171-187.
  4. 제귀연, 안희수 (1999). 온실효과에 대한 학생들의 개념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9(4), 585-594.
  5. 한재영, 정영선, 노태희 (2000). 산성비, 오존층, 온실 효과에 대한 고등학생들의 개념.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3). 364-370.
  6. 한진봉 (2002). 온실효과에 대한 고등학생들의 개념이해와 교과서 분석. 충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환경부 홈페이지 http://www.me.go.kr (IPCC 2007년 보고서 번역본)
  8. Ajzen, I. (1985). From intentions to actions: a theory of planned behavior. In J. Kuhl & J. Beckmann (Eds.), Action control: from cognition to behavior (pp.11-39). Berlin: Springer.
  9. Ajzen, I., & Fishbein, M. (1980). Understanding attitude and predicting social behavior.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10. Blake, J. (1999). Overcoming the 'valueaction gap' in environmental policy: tension between national policy and local experience. Local Environment, 4(3), 257-278. https://doi.org/10.1080/13549839908725599
  11. Boyes, E., & Stanisstreet, M. (1993). The 'Greenhouse effect': children's perception of cause, consequences, and cure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15(5), 531-552. https://doi.org/10.1080/0950069930150507
  12. Boyes, E., & Stanisstreet, M. (1998). High school students'perceptions of how major global environmental effects might cause skin cancer, Journal of Environmental Education, 29(2), 31-36. https://doi.org/10.1080/00958969809599110
  13. Boyes, E., Skamp, K., and Stanisstreet, M. (2009). Australian secondary students'views about global warming: Belief about actions, and willingness to act.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9(5), 661-680. https://doi.org/10.1007/s11165-008-9098-5
  14. Courtenay-Hall, P., & Rogers, L. (2002). Gaps in mind: problems in environmental education knowledge behavior modeling research. Environmental Education Research, 8(3), 283-297. https://doi.org/10.1080/13504620220145438
  15. Devine-Wright, P., Devine-Wright, H., & Fleming, P ). Situational influences upon children's beliefs about global warming and energy. Environmental Education Research, 10(4), 493-505. https://doi.org/10.1080/1350462042000291029
  16. Dillon, J. (2002). Editorial perspectives on environmental education-related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4(11), 1111-1117. https://doi.org/10.1080/09500690210137737
  17. Fishbein, M. & Ajzen, I. (1975). Belief, atiitude, intention and behavior: An introduction to the theory and research. Reading, M.A.: Addison-Wesley.
  18. Jensen, B. (2002). Knowledge, action and pro-environmental behavior. Environmental Education Research, 8(3), 325-334. https://doi.org/10.1080/13504620220145474
  19. Kaiser, F., Wolfing, S., & Fuhrer, U. (1999). Environmental attitude and ecological behavior. Environmental Education Psychology, 19, 1-19. https://doi.org/10.1006/jevp.1998.0107
  20. Kim, M. & Roth, W-M. (2008). Rethinking the ethics of scientific knowledge: a case study of teaching the environment in science classrooms, Asia Pacific Education Review, 9(4), 516-528. https://doi.org/10.1007/BF03025667
  21. Kollmuss, A., & Agyeman, J. (2002). Mind the gap: Why do people act environmentally and what are the barriers to proenvironmental behaviour? Environmental Education Research, 8(3), 239-260. https://doi.org/10.1080/13504620220145401
  22. Mainteny, P. (2002). Mind in the gap: Summary of research exploring 'inner' influences on pro-sustainability learning and behavior. Environmental Education Research, 8(3), 299-306. https://doi.org/10.1080/13504620220145447
  23. Mason, L., & Santi, M. (1998). Discussing the green house effect: Children' s collaborative discourse reasoning and conceptual change. Environmental Education Research, 4(1), 67-75. https://doi.org/10.1080/1350462980040105
  24. Nutbeam, D., & Harris, E. (2004). Theory in a nutshell. Sydney: McGraw-Hill.

Cited by

  1. 과학과 관련된 사회.윤리적 문제(SSI)의 맥락에 따른 중학생들의 인성적 태도와 가치관 분석 vol.32, pp.7, 2011, https://doi.org/10.14697/jkase.2012.32.7.1124
  2. 초등학생의 기후변화 대응 행동의도와 관련된 변인 탐색 vol.32, pp.3, 2011, https://doi.org/10.17965/kjee.2019.32.3.348
  3. SDGs 연계 교육에서 예비교사들의 탄소 발자국 인식 vol.14, pp.2, 2011, https://doi.org/10.15523/jksese.2021.14.2.1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