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실험 저널쓰기에서 나타난 예비과학교사들의 과학실험에 대한 반성적 사고 분석

An Analysis of Pre-service Science Teachers' Reflective Thinking aboutvScientific Experiment in Experimental Journal Writings

  • 투고 : 2010.11.27
  • 심사 : 2011.02.16
  • 발행 : 2011.04.30

초록

이 연구에서는 실험 저널쓰기에서 나타난 예비 과학교사의 실험에 대한 반성적 사고를 조사하였다. 이를 위하여 탐구기반 물리실험 수업에서 예비 과학교사들에게 매 주제의 실험 수행마다 실험 과정과 수행에 대한 결과 및 논의와 더불어 실험 수행 후 실험에 대한 자신의 의견을 자유롭게 기술하는 실험 저널을 작성하도록 하고, 이들이 작성한 실험 저널에 포함된 진술문을 분석하여 실험에 대한 반성적 사고를 지식, 과정, 지향, 태도 등 4개의 차원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지식 차원에는 반성적 사고는 실험을 통해 이미 알고 있는 내용을 점검하거나 실험 후에도 여전히 해결되지 않는 내용과 실험 후 새롭게 알게 된 내용에 대한 반추가 포함되었으며, 과정 차원에는 전반적인 실험 저널쓰기에서 나타난 예비과학교사들의 과학실험에 대한 반성적 사고 분석 207실험 과정에 대한 점검과 구체적인 실험 수행에 대한 반성이 드러났다. 지향 차원에서는 실험 수업을 통하여 얻게 된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이해와 과학교육에 대한 견해가 포함되었으며, 태도 차원에서는 실험 수업에 대한 흥미와 동기, 실험수업에 대한 가치 인식이 포함되었다. 수행한 실험주제에 따라 반성적 사고의 유형별 빈도는 조금씩 다르게 나타났으나, 공통적으로 이러한 반성적 사고에는 예비 과학교사들의 자신의 앎과 학습과정에 대한 초인지, 과학과 과학교육에 대한 인식론적 신념, 과학과 실험에 대한 정의적 특성이 드러났다. 이와 같이 자신이 수행한 실험에 대해서 형식적인 절차에 따른 '과학적' 글쓰기뿐만 아니라 자유로운 형태로 '자신의' 글쓰기를 하게 하는 실험 저널쓰기는 과학학습 맥락에서 반성적 사고가 드러날 수 있는 매개이자 반성적 사고를 촉진할 수 있는 활동으로서 의미를 갖는다.

In this study, pre-service science teachers' reflective thinking in their journal writing was investigated. To do this, the authors used pre-service science teachers' journal writing abilities, wherein they not only reported data and result formally, but also wrote their feelings and reflections about an inquiry-based physics experiment they performed. Pre-service science teachers' writings were decomposed into sentences and each sentence was analyzed into a framework with 4 dimensions: knowledge, procedure, orientation and attitude. Reflective thinking in knowledge dimension included reflection on what they know before the experiment, what they still do not know and what they learned from the experiment. Reflective thinking in procedure dimension included recalls of experiences about general experimental procedures and specific experimental skill. Reflective thinking in orientation dimension included their views about the nature of science and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and reflective thinking in attitude dimension consisted of interests, motives and values about the experiment they performed. While there were some variations in frequency distribution of reflective thinking by the topic of experiments, pre-service science teachers' reflective thinking in journal writings revealed their metacognition on their knowledge and learning, epistemological belief about science and science learning, and affective domain related to experiment. This study can infer that such kind of writing with 'their own language' in an informal way followed by formal 'scientific' reports in a scientific experiment has a significance not only as a mediator representing reflective thinking but also as an instructional activity to facilitate reflective thinking in science learning and teaching.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정곤, 김인호, 정계준, 김봉곤, 구인선 (1991). 과학교사 재교육의 개선 방안.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5(2), 183-193.
  2. 김재경, 임성민, 김태영 (2008). 탐구기반 기초물리 실험수업 전후 예비물리교사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관점 변화. 새물리, 57(2), 105-113.
  3. 김현정, 홍훈기, 전화영 (2010). 수업평가와 반성 저널쓰기를 통한 예비 과학교사들의 수업 수행 능력 개선에 대한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0(6). 836-849.
  4. 김희백, 이선경 (1997). 과학교사의 과학 및 학교과학에 대한 신념과 실험실 환경에 대한 인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7(4), 501-510.
  5. 남정희, 최준환, 임재향, Mayer, V. J. (2007). 예비 과학교사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인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7(3). 253-262.
  6. 박미화, 이진석, 이경호, 송진웅 (2007). 과학 수업에 대한 반성적 사고의 개념적 정의와 유형: 예비과학 교사를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7(1), 70-83.
  7. 박준호 (1993). 국민학교 자연과 일반 연수에 대한 문제의식 연구. 초등과학교육학회지, 12(2), 179-200.
  8. 석은조 (2006). 저널쓰기가 예비유아교사의 반성적 사고수준 향상에 미치는 효과.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3(4), 373-396.
  9. 심재호 (2006). 과학교사 전문성과 실험 연수에 대한 중등 과학 교사의 인식.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4(1), 27-37.
  10. 이선경, 유은정, 최종림, 김찬종, 한혜진, 신명경 (2010). 과학 및 과학 교수학습에 대한 과학교사의 인식론적 이해의 탐색.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0(2), 218-233.
  11. 이윤아, 여상인, 임희준 (2008). 초등과학 실험연수가 과학교수 효능감 및 과학교수에 대한 교사의 인식에 미치는 영향. 과학교육논총, 21(1), 91-99.
  12. 임성민, 김재경 (2007). 탐구기반 기초물리실험교육 개선방안의 실천사례와 의의. 새물리, 54(4), 296-306.
  13. 임성민, 김옥자, 박미애, 윤진, 이명제, 이화국, 임길영 (2007). 국가 수준 과학교육 사업의 평가. 교육 인적자원부 정책연구과제, 한국교원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미간행.
  14. 임성민 (2008). 물리 교수학습 방략으로서 학생의 인식론적 자원 활용 방안. 새물리, 57(6), 381-390.
  15. 임영주 (2008). 과학교육활성화사업 평가에 나타난 과학교사의 요구분석.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미간행.
  16. 임항빈 (2004). 과학과 실험 연수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인식과 요구. 경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17. 정애란, 맹승호, 이선경, 김찬종 (2007). 교육실습에 참여한 예비 과학교사의 과학수업 실행에 대한 관심 영역과 반성적 사고.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7(9), 893-906.
  18. 조덕주 (2008). 예비 교사의 반성적 사고 수준 향상을 위한 실제적 맥락 안에서의 저널 쓰기 연구. 교육학연구, 46(1), 231-259.
  19. 하정민 (2008). 중등 예비 과학교사들의 실험교육에 대한 인식 조사.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Dewey, J. (1933). How we think; a restatement of the relation of reflective thinking to the Educative Process. Boston: D. C. Heath. 임한영(역) (1986). 사고하는 방법. 서울: 법문사
  21. Elby, A. (2001). Helping physics students learn how to learn. American Journal of Physics, Physics Education Research Supplement, 69(7), S54-S64.
  22. Given, B. K. (2002). Teaching to the brain's natural learning systems. Washington, DC: Association of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23. Hand, B. M., Alvermann, D. E., Gee, J., Guzzetti, B. J., St. Norris, P., Phhillips, L. M., Prain, V., & Yore, L. D. (2003). Message from the "Island Group": What is literacy in science literacy?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0, 607-692. https://doi.org/10.1002/tea.10101
  24. Holliday, W. G., Yore, L. D., & Alvermann, D. E. (1994). The reading-science learningwriting connection: Breakthroughs, barriers and promise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1, 877-894. https://doi.org/10.1002/tea.3660310905
  25. McComas, W. F. (1996). Ten myths of science: Reexamining what we think about the nature of science.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96, 10-16. https://doi.org/10.1111/j.1949-8594.1996.tb10205.x
  26. Merseth, K. K. (1996). Cases and case methods in teacher education. In J, Sikula(Ed.) Handbook of research in teacher education(2nd ed.). New York: Macmillan.
  27. Norris, S. P., & Phillips, L. M. (2003). How literacy in its fundamental sense is central to scientific literacy. Science Education, 87, 224-240. https://doi.org/10.1002/sce.10066
  28. Pintrich, P. R. (1996). The role of motivation in promoting and sustaining selfregulated learning, 31(6),459-470.
  29. Pintrich, P. R. (2002). The role of metacognitive knowledge in learning, teaching and assessing. Theory into Practice, 41(4), 220-227.
  30. Schon, D. A. (1983). The reflective practitioner. New York: Basic Books.
  31. Schon, D. A. (1987). Educating the reflective practitioner. San Francisco: Jossey-Bass.
  32. Tsai, C. C. (1999). "Laboratory exercises help me memorize the scientific truths": A study of eight graders' scientific epistemological views and learning in laboratory activities. Science Education, 83, 654-674. https://doi.org/10.1002/(SICI)1098-237X(199911)83:6<654::AID-SCE2>3.0.CO;2-Y
  33. Wallace, C. S. (2004). Framing new research in science literacy and language use: Authenticity, multiple discourse, and the "Third Space". Science Education, 88, 901-914. https://doi.org/10.1002/sce.20024

피인용 문헌

  1. 물리학습에서의 인지적 신념과 동기 신념에 대한 공과대학 학생의 인식과 교수자의 기대 비교 vol.16, pp.2, 2011, https://doi.org/10.18108/jeer.2013.16.2.50
  2. The Case Study of Self and Peer Evaluation for Pre-serviceBiology Teachers for Teaching Practice vol.42, pp.3, 2011, https://doi.org/10.15717/bioedu.2014.42.3.290
  3.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Reflective Writing Strategy in Experimental Report vol.19, pp.2, 2011, https://doi.org/10.24231/rici.2015.19.2.303
  4. 생물실험수업에서 나타난 예비교사와 경력교사의 반성적 사고에 관한 사례연구 vol.45, pp.2, 2017, https://doi.org/10.15717/bioedu.2017.45.2.3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