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교육인적자원부(2007). 교육인적자원부고시 제2007-79호 차기 과학과 교육과정.
- 교육과학기술부(2008). 중학교 교육과정 해설. 교육과학기술부.
- 고경석(2009). 기초탐구과정 프로그램 적용이 과학탐구능력 및 자유탐구수행에 미치는 효과. 청주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 곽영순, 김찬종, 이양락, 정득실(2006). 초.중등 학생들의 과학 흥미도 조사. Jour.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v. 27, no. 3, 260 268.
- 권재술, 김범기(1994). 초.중학생들의 과학탐구 능력 측정도구의 개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4(3), 251-264.
- 김숙경, 정진수, 천재순(2010). 초등학생의 자유 탐구 활동 보고서의 평가 준거 개발 및 적용.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9(1), 69-85.
- 김재우, 오원근, 박승재(1998).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의 자유 탐구보고서에 나타난 변인의 유형.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8(3), 279-301.
- 김재우(2000). 중학생의 과학적 탐구 문제 설정 과정에 대한 사례적 분석.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김재윤(2010). 초등학생들이 수행한 자유 탐구의 특징 분석. 경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김주훈, 이미경(2003). 과학과 교육목표 및 내용 체계 연구(I). 한국교육과정 평가원 연구보고 RRC 2003-4.
- 김주훈(2005).과학과 교육과정의 개정 방향. 한국교원대학교부설 교과교육 공동연구소. 차시 초.중등교육과정의 개선과 교과용 도서의 개발 방향, 교과교육공동연구 학술 세미나 자료, 356-391.
- 박정, 정은영, 김경희, 한경혜(2004). 2004, 수학.과학 성취도 추이변화 국제 비교 연구-TIMSS 2003 결과 보고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E 2004-3-2, 206.
- 박종선(2010). 초등학생들의 자유탐구활동 탐구주제의 유형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박종호(2000). 자유탐구활동이 초등학생의 과학 탐구능력과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서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서홍식(2010). 자유 탐구 활동을 위한 수평 잡기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진주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신현화(2010). 초등학교 과학과 자유 탐구 활동에서 교사와 학생이 겪는 어려움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윤옥주(2010). 초등학교 과학교과의 자유탐구 활동에서 탐구문제 발견과정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이미옥(2002). 자유탐구활동이 초등학생의 과학 탐구능력과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이양락(2004). 교육과정 개발 체제 및 총론과 과학과 교육과정의 연계성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3), 468-480.
- 이정화(2010). 자유 탐구가 초등학생의 과학적 태도와 과학탐구능력에 미치는 영향과 자유 탐구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연구. 부산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임수진(2009). 자유탐구활동이 초등학생의 과학적 탐구능력과 창의성 신장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장진아(2009). 초등학교 3,4학년 학생의 과학탐구 능력 수준에 적합한 안내된 자유탐구 교수.학습 지도 방안 탐색. 서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전민지(2009). 효과적인 초등학교 과학 자유탐구 지도방안 탐색. 서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전영석, 전민지(2009). 과학 자유탐구를 지도할때 발생하는 어려움. 서울교육대학교 한국초등교육, 20(1), 105-115.
- 정완호, 권재술, 정진우, 김효남, 최병순, 허명 (1998). 과학과 수업모형. 교육과학사, 44-45.
- Backus, L. (2005). A Year without Procedures: Removing Procedures from Chemistry Labs Creates Opportunities for Student Inquiry. Science Teacher, 72(7), 54-58.
- Bell, R. L., Blair, L. M., Crawford, B. A., & Lederman, N. G. (2003). Just do it? Impact of science apprenticeship program on high school students'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science and scientific inquiry.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0(5), 487-509. https://doi.org/10.1002/tea.10086
- Chinn, C. A., & Hmelo-Silver, C. E. (2002). Authentic inquiry: Introduction to the special section. Science Education, 86(2), 171-174. https://doi.org/10.1002/sce.10000
- Dunbar, K. (1995). How scientists really reason: Scientific reasoning in real-world laboratories. In R. J. Sternberg and J. E. Davidson (eds.), The nature of insight. (pp. 365-395) Cambridge: MIT Press.
- Germann, P. J., Haskins ,S., & Auls, S. (1996). Analysis of nine high school biology laboratory manuals: Promoting scientific inquiry.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3(5), 475-499. https://doi.org/10.1002/(SICI)1098-2736(199605)33:5<475::AID-TEA2>3.0.CO;2-O
- Tamir, P. & Lunetta, V. N. (1981). Inquiry related tasks in high school science laboratory handbooks. Science Education, 65, 477-484. https://doi.org/10.1002/sce.3730650503
Cited by
- Characteristics and Problems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Performance of Open Inquiry vol.15, pp.2, 2011, https://doi.org/10.24231/rici.2011.15.2.535
- Actual Conditions of Free Inquiry Implementation and the Perceptions of Teachers and Students in Middle School Science vol.15, pp.3, 2011, https://doi.org/10.24231/rici.2011.15.3.603
- 서술적 실험 설계분석을 통한 과학 영재 창의성 탐색 vol.32, pp.1, 2012, https://doi.org/10.14697/jkase.2012.32.1.129
- 초등학생의 과학 탐구활동에서 리더의 리더십 유형에 따른 모둠 내 언어적 상호 작용 분석 vol.32, pp.4, 2011, https://doi.org/10.14697/jkase.2012.32.4.760
- 중학생의 소집단 자유탐구활동 중 물리 영역 탐구문제의 구성과 변인 추출 및 명료화 과정 vol.32, pp.5, 2011, https://doi.org/10.14697/jkase.2012.32.5.903
- 요인 분석을 통한 개방적 탐구의 스캐폴딩 요소 및 기능 탐색 vol.32, pp.7, 2012, https://doi.org/10.14697/jkase.2012.32.7.1204
- 중학교 과학영재 학생들의 자유탐구에 대한 인식과 실태 vol.23, pp.3, 2011, https://doi.org/10.9722/jgte.2013.23.3.373
- Pre-service Science Teachers’ Perceptions of an ‘Inquiry Mentoring’ Program for the Promotion of their Inquiry Teaching Ability vol.17, pp.3, 2011, https://doi.org/10.24231/rici.2013.17.3.689
- 상추 기르기를 통한 탐구활동이 초등학교 5학년의 과학탐구능력에 미치는 영향 vol.20, pp.4, 2011, https://doi.org/10.12653/jecd.2013.20.4.1023
- '탐구 멘토링' 프로그램에서 예비 과학교사들이 겪은 어려움 vol.33, pp.7, 2013, https://doi.org/10.14697/jkase.2013.33.7.1300
- 과학영재의 자유탐구를 안내하는 연구단계별 질문목록 개발 vol.24, pp.1, 2014, https://doi.org/10.9722/jgte.2014.24.1.63
- The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s for Developing Middle School Students’Science Process SkillsThrough an Explicit Instructional Model vol.53, pp.1, 2011, https://doi.org/10.15812/ter.53.1.201403.94
-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Effects of 'Life Cycle of Plants' STEAM ProgramUsing Time-Lapse based on Smart Media vol.44, pp.1, 2016, https://doi.org/10.15717/bioedu.2016.44.1.35
- The Effect of Problem Finding and Solving Experiences in Experiment-Based Class for Apprentice Science Teachers vol.56, pp.1, 2017, https://doi.org/10.15812/ter.56.1.201703.63
-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High School Student Research Activities - Focused on the Prize-Winning Works in the Life Science Field of National Science Fair - vol.46, pp.3, 2018, https://doi.org/10.15717/bioedu.2018.46.3.3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