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시공이전단계 CM서비스 활용수준 비교에 관한 연구 - 공공 및 민간 건축CM사업을 중심으로-

A Comparative Study on the Usage Level of Construction Management Services during Pre-Construction Stages - Focused on Public and Private Building Projects -

  • 투고 : 2010.11.23
  • 심사 : 2011.02.10
  • 발행 : 2011.05.31

초록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는 CM시장에서 CM기업이 생존 발전하기 위하여 CM고객(발주자)의 수요에 대한 이해는 필수적인 과제이다. CM수요에 대한 이해는 CM서비스 마케팅의 필수 요건이자 CM기업 경쟁력 향상의 출발점이기 때문이다. 본 연구의 주제는"CM고객은 시공이전단계에서 CM기업에게 어떠한 CM서비스를 주로 요구하고 있는가?"라는 질문을 모티브로 설정되었으며 연구의 목적은 시공이전단계 CM서비스 활용수준을 공공 및 민간 건축CM사업을 중심으로 비교 분석하고 주요 특징 및 시사점을 발굴하는데 있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주요 결과는 공공 및 민간 건축CM사업에서 발주자가 요구하는 CM서비스에는 다소 차이가 있지만 공정관리 및 사업비관리에 대한 활용 수준이 공통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발주자가 CM기업으로부터 어떠한 CM서비스를 제공받기를 원하는지에 대한 이해는 CM기업 입장에서는 어떠한 CM서비스 역량을 우선적으로 강화해야하는지를 이해하고 대응 전략을 수립하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과제이다.

Since early 2000s, the use of construction management(CM) in the public and private building sectors has rapidly grown in Korea. In addition, the use of CM services during pre-construction stages has been increasingly recognized as a critical factor to succeed in construction projects. Understanding clients' needs of pre-construction CM services is important for CM firms to strategically prepare and cope with market needs. The objective of the paper is to investigate and compare the usage level of CM services in public and private building projects during pre-construction stages, and to identify key characteristics and implications for CM firms. The paper identified that although there are some differences in CM service needs between public and private sectors, time management and cost management commonly showed the higher usage level.

키워드

참고문헌

  1. 국토해양부 (2008). 제 3차 건설산업진흥기본계획, 국토해양부
  2. 국토해양부 (2010). 설계의 경제성등 검토에 관한 시행지침, 고시 제 2010-641호
  3. 김홍준 (2009), 경영통계학, 신광문화사
  4. 박형근, 신규철, 박환표, 정영수(2008)." CM 활성화를위한산학관 분야의 향후 발전방향 및 미래과제",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제9권 제6호, pp.244-256
  5. 송연주, 박지철, 김한수(2007)." CM 기업의 마케팅전략및방법의 특징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구조계, 제23권 제 12호, pp.165-172
  6. 이시욱, 우성권, 김옥기 (2009)." 건설사업 발주자 조직역량 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제 10권 제1호, pp.146-155
  7. 정영수, 우성권, 박지호, 강승희, 이영환, 이복남 (2004)." 건설사업관리에 대한 발주자 업무기능 역량평가",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제 5권 제 3호, pp.128-136
  8. 조홍근, 김한수 (2010). "민간 건축 CM사업 시공이전단계의 CM서비스 활용도 분석에 관한 연구 ", 건설관리학회 논문집, 제 11권 제 5호, pp.15-23
  9. Harris F. and McCaffer R. (2001) Modern Construction Management 5th edition, Blackwell Science
  10. Thomson M., Tracy B. and Hesselbein F. (2010) Now, Build a Great Business: 7 Ways to Maximize Your Profits in Any Market, AMACOM.

피인용 문헌

  1. Growth Model for Korean CM Firms based on 2012 Statistics vol.15, pp.6, 2014, https://doi.org/10.6106/KJCEM.2014.15.6.0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