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유지용수 공급형 인공저수지의 수질오염부하 특성 연구

Characterization of Water Pollution Load in an Artificial Lake Irregularly Receiving River Water

  • Cho, Woong-Hyun (Department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Kunsan National University) ;
  • Jeong, Byung-Gon (Department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Kunsan National University) ;
  • Jeong, Seung-Woo (Department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Kunsan National University)
  • 투고 : 2010.11.17
  • 심사 : 2011.01.11
  • 발행 : 2011.01.31

초록

농업 및 위락용으로 유지용수를 공급받는 군산 미제저수지의 수질 및 퇴적물 오염현황을 파악하고 퇴적물용출, 비점 오염원 및 외부공급수 등 세가지 영양염 유입경로별 오염부하를 비교 분석하였다. 수질분석결과 하절기에 수질이 크게 저하되고 부영양화에 따른 녹조현상이 가장 활발히 나타났으며, 부영양화지수 TSI (secchi depth)는 53.6, TSI (chlorophyll-a)은 57.7 및 TSI (TP)도 56.7로 모두 50 이상의 부영양호 상태를 보였다. 퇴적물오염도 조사결과 조사시기(계절)별 퇴적물 총질소(T-N)함량, 총인(T-P)함량 및 유기물함량의 각 평균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시료채취 지점별 평균은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 공간적 변화가 뚜렷하였다. 반면, T-N 및 T-P 퇴적물용출율결과는 공간적변화보다 시기별 변화가 뚜렷하였다. 수질 및 퇴적물 데이터의 상관성분석결과, 수질 T-N은 퇴적물 T-N함량 및 퇴적물 유기물함량과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나 수질 T-P는 통계학적으로 상관성을 보이는 인자가 확인되지 않았고 퇴적물 영양염 용출율 역시 수질과 통계학적으로 상관성을 보이는 인자가 확인되지 않았다. 미제저수지내 유입경로별 영양염오염부하 산정결과, T-N의 경우 외부 공급수에 의한 오염부하가 월등히 높게 나타났고 T-P의 경우 퇴적물용출부하와 외부 공급수 유입부하는 유사하고 비점유입부하가 상대적으로 적게 나타났다. 미제저수지의 수질개선을 위해서는 영양염오염부하가 상대적으로 높은 외부 공급수(금강호 양수)에 대한 대책이 우선적으로 수립되어야 하며 아울러, 퇴적물로부터 T-P용출을 저감시키는 수질오염저감대책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The first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ater pollution status of Meejae Reservoir, Kunsan, irregularly receiving river water for agricultural and recreational purposes. The second objective of the study was to compare nutrient pollution loads of three nutrient sources: sediment leaching, non-point sources and the receiving water. Water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eutrophication was a concern especially in summer and the calculated TSI (secchi depth), TSI (chlorophyll-a), and TSI (TP) were 53.6, 57.7 and 56.7, respectively. Althoug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easonal mean values of sediment T-N, sediment T-P and sediment organic content, mean differences were found for sampling points. However, T-N and T-P sediment release flux showed seasonal mean differences, while showing no mean difference for sampling points. Water T-N data proportionally correlated with sediment T-N and sediment organic content data, while no statistical correlation was found for water T-P data. Comparison of nutrient loads calculated from three sources showed that the highest T-N load was occurred from the receiving (pumped) water while T-P loads of the receiving water and sediment release flux were similar. The first solution would be considered for the receiving water to improve the water quality of Meejae Reservoir. Reduction of nutrient flux from the sediment would be then tried as the second alternative solution.

키워드

참고문헌

  1. 이상우 황순진, "공간성, 호소유형 및 형태복잡도 지수를 이용한 토지이용과 호소수질의 관계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34(6), 1-9(2007).
  2. 김진호, 한국헌, 류종수, 정구복, 권순국, "농업용 저수지 상류유역의 비점오염원 유출부하량 산정-고성저수지를 대 상으로," 한국물환경학회지, 23(3), 324-331(2007).
  3. 김건하, 정우혁, 최승희, "호수의 물순환이 저니의 인용출율에 미치는영향," 한국물환경학회지, 21(6), 595-601(2005).
  4. 조영철, 정세웅, "남양호 퇴적물에서 영양염류 용출 특성 분석," 대한환경공학회지, 29(12), 1345-1352(2007).
  5. 오종민, 조영철, "소규모 저수지에서 퇴적물로부터 영양염류의 용출이 수질에 미치는 영향," 대한환경공학회지, 29(11), 1217-1222(2007).
  6. 기보민, 임보미, 나은혜, 최정현, "아산호 퇴적물에서 영양염류 용출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환경공학회지, 32(1), 1169-1179(2010).
  7. 환경부, 수질오염공정시험 방법(2007).
  8. Soil Science Society of America, Method of Soil Analysis. part 3 Chemical Methods(2000).
  9. 김태응, "금강하구호 sediments로부터 수질오염물질 용출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수질보전학회지, 13(3), 245-253 (1997).
  10. 유태종, 현미, 조재현, "영산강유역 하천 저질토의 영양염류 용출률 측정," 대한상하수도학회지, 17(3), 409-418(2003).
  11. 서울특별시, 상습침수해소를 위한 하수도시설기준 재검토 (2002).
  12. 최지용, 신창민, 비점오염원 저감을 위한 우수유출수 관리 방안,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2002).
  13. Forsberg G. and Ryding, S. O., "Eutrophication parameters and trophic state indices in 30 swedish waste-receiving lake," Arch. Hydrobiol., 89, 189-207(1980).
  14. Carlson, R. E., "A trophic state index for lakes," Limnol & Oceanogr., 22(2), 361-369(1977). https://doi.org/10.4319/lo.1977.22.2.0361
  15. 김좌관, 수질오염, 동화기술, p173(2002).
  16. Ginevan, M. E. and Splitstone, D. E., Statistical Tools for Environmental Quality Measurement, CRC Press, USA(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