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수요관리에 의한 물수급변화 분석

A Study of Water Budget Analysis According to The Water Demand Management

  • 서재승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자원환경연구본부 수자원연구실) ;
  • 이동률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자원환경연구본부 수자원연구실) ;
  • 최시중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자원환경연구본부 수자원연구실) ;
  • 강성규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자원환경연구본부 수자원연구실)
  • Seo, Jae-Seung (Water Resource Research Division,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 ;
  • Lee, Dong-Ryul (Water Resource Research Division,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 ;
  • Choi, Si-Jung (Water Resource Research Division,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 ;
  • Kang, Seong-Kyu (Water Resource Research Division,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
  • 투고 : 2011.10.17
  • 심사 : 2011.11.28
  • 발행 : 2011.11.30

초록

본 연구에서는 물 사용관련 주요 지표인 1인1일 급수량을 이용하여 수요관리 추진 결과 분석 및 절감량을 산정하고, 수요관리를 통하여 발생하는 절감량을 물 수급전망에 연계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1인1일 급수량 분석결과 상수도 여건이 열악한 지자체는 상수도 보급 개선이 선행되어야 하며, 장래용수수요량 추정시에도 이를 고려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금강권역을 대상으로 수요관리 절감량을 산정하고 K-WEAP (Korea-Water Evaluation And Planning System)을 이용하여 물수지분석을 수행한 결과 하천유량 변화 및 지하수와 저수지저수량 증가를 확인하였으며, 이는 다른 용도로 활용 가능하다고 판단된다.

In this study, we developed the assessment method that evaluate the water demand management and calculate the water saving volume using water use indicator, and developed the system to link the water saving volume that occur through demand management and water supply and demand. The results from this study, local governments with poor water conditions should be followed to improve the water supply. And, future water demand estimates should be even considering it. We calculated the water saving volume of the Geum River basin using K-WEAP (Korea-Water Evaluation And Planning System) and performed the water budget analysis. We found that the change of river flow, ground water level and reservoir water level, and it can be utilized for other demand.

키워드

참고문헌

  1. 환경부, 2007 환경백서, pp.618-619(2007).
  2. 환경부, 전국수도종합계획(2007).
  3. 건설교통부, 수자원장기종합계획(2006-2020)(2006).
  4. Dauane D. Baumann, John J. Boland, and W. Michae Hanemann, "Urban Water Demand Management and Planning", McGraw-Hill, Inc., p.283-301(1997).
  5. 한국정책평가연구원, 친환경상품진흥원, 물 수요관리 종합 대책 수립연구, p.7, p.24(2006).
  6. 국토연구원, 물 수요관리 평가모형의 구축방안 연구(2006).
  7. 환경부, 물수요관리 종합계획 추진성과 시범평가 결과보고, (http://www.me.go.kr/).
  8. 환경부, 상수도통계(1983-2009).
  9. 물 수요관리 종합계획(안), 각 시도(2004-2006).
  10. 최시중, 이동률, 문장원, 강성규, "통합수자원평가계획모형 K-WEAP의 적용성," 한국수자원학회지, 43(7), 625-633 (2010).
  11. 한국건설기술연구원(2004). 통합수자원평가계획 모형 사용자 안내서,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p.4-32.
  12. 최시중, 서재승, 이동률, 문장원, "K-WEAP을 통한 수요관리 평가", 한국수자원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지, 경주, pp.560-564(2008).
  13. Gupta, H. V,. Sorooshian, S., and Yapo, P. O, "Status of automatic calibration for hydrologic model: Comparison with multilevel expert calibration." J. Hydrol. Engineering, ASCE, 4(2), 135-143(1999). https://doi.org/10.1061/(ASCE)1084-0699(1999)4:2(1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