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새만금호 유입 하천 하상 퇴적물의 물리화학적 특성과 오염도 분석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Analysis of Pollution Potential in the Sediments of the Rivers Flowing into the Saemangeum Reservoir

  • Oh, Kyoung-Hee (Department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 Yu, Mi-Na (Department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 Cho, Young-Cheol (Department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투고 : 2011.10.24
  • 심사 : 2011.12.30
  • 발행 : 2011.12.30

초록

새만금호로 유입되는 만경강과 동진강의 하상 퇴적물의 오염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퇴적물 중 강열감량, COD, 총질소, 총인 및 중금속(As, Cd, Cr, Pb, Zn)의 농도를 분석하였다. 강열감량, COD, 총인의 농도는 각각 평균 2.40 (${\pm}2.18$)%, 2.97 (${\pm}3.06$)mg/g sediment, 0.370 (${\pm}0.351$) mg/g sediment이었으며, 이들 물질에 의한 퇴적물의 오염도가 높지 않았다. 하지만 2008년에 비해 2009년의 시료에서 농도가 증가하였으며, 이러한 결과는 퇴적물의 오염이 점진적으로 진행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총질소의 경우에는 0.59~13.11 mg/g sediment로 채취 지점 및 채취 시기에 따라 변이가 컸으며, 국내 하천 및 호소의 퇴적물 준설 기준과 비교할 때, 질소 오염이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새만금호의 수질을 유지하기 위하여 만경강과 동진강의 질소오염의 원인을 파악하고 대책의 수립이 필요함을 의미한다. 중금속의 경우에는 크롬을 제외하고 토양오염우려기준을 초과하지 않아 오염이 일어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크롬의 경우, 만경강 상류의 일부 지역에서 우려기준을 초과하는 높은 농도가 측정되어, 이에 대한 원인 분석과 대책 수립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In order to understand the extent of contamination of the sediments on the Mankyoung and Dongjin Rivers flowing into the Saemangeum Reservoir, the concentrations of ignition loss (IL), COD, total nitrogen (T-N), total phosphorus (T-P), and heavy metals (As, Cd, Cr, Pb, Zn) were measured. The average concentrations of IL, COD, and T-P were 2.40 (${\pm}2.18$)%, 2.97 (${\pm}3.06$) mg/g sediment, 0.370 (${\pm}0.351$) mg/g sediment, respectively, showing the extent of contamination is not serious. However, the concentrations of these parameters in the samples taken in year 2009 were higher than those in year 2008, indicating the contamination of sediments goes on gradually. The concentrations of T-N were in the range of 0.59~13.11 mg/g sediment with variation of locations and seasons. It was determined that the T-N contamination is serious when the concentrations were compared with the dredging guidelines of sediments in the Korean freshwaters, indicating the countermeasures are required to maintain the water quality of the Saemangeum Reservoir. The concentrations of heavy metals except chromium did not exceed the worrisome level of soil contamination stipulated by the Soil Environment Conservation Act of Korea. The high concentration of chromium to be concerned in some samples from the upstream of Mankyoung River requires source analysis and countermeasure to control the contamination.

키워드

참고문헌

  1. 김태응, 임봉수, "금강 하구호 sediments로부터 수질 오염물 질 용출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수질보전학회지, 13(3), 245-253(1997).
  2. 김경태, 김은수, 조성록, 박준건, 김종근, 이정무, "시화호 표층 퇴적물의 유기탄소와 금속의 분포," 2008년도 해양환경안전학회 춘계학술발표회, 해양환경안전학회, 여수, pp. 159-164(2008).
  3. 강필구, 이상원, 박혜경, 변명섭, 공동수, "충주호 퇴적물에서의 인과 질소 용출에 관한 연구," 한국물환경학회․대한상하수도학회 공동춘계학술발표회, 한국물환경학회․대한상하수도학회, 인천, pp. 1231-1241(2006).
  4. 신응배, 배우근, 배요섭, 최동호, 홍순오, "시화호 저질토의 환경 변화에 따른 중금속 및 영양염류 용출특성," 대한환경공학회 춘계학술연구발표회, 대한환경공학회, 서울, pp. 239-240(2001).
  5. 임경훈, 새만금 방조제 건설에 따른 갯벌 저서 환경과 대형저서동물 군집 구조의 변동, 박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2007).
  6. 이혜원, 박석순, "동진강 유역의 수질 경향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육수학회지, 42(1), 39-47(2009).
  7. 이경보, 김종천, 김종구, 이덕배, 박찬원, 김재덕, "동진강 유역의 오염부하량 평가," 한국환경농공학회지, 24(2), 91-97 (2005).
  8. 한강완, 손재권, 조재영, 김효경, 황선아, "만경강과 동진강 주요 지점 하천토사 중 형태별 인의 함량," 한국환경농학회지, 24(4), 319-325(2005).
  9. 농업기반공사 농어촌연구원, 새만금호 유입부 퇴적물 관리 방안 연구(2005).
  10. 국토해양부, 해양환경공정시험방법(국토해양부고시 제2008-268호)(2008).
  11. Bender, M. R. and Wood, C. W., "Total phosphorous in soil," Methods of Phosphorus Analysis for Soils, Sediments, Residuals, and Waters, Pierzynski, G. M.(ed), North Carolina State University, North Carolina, pp. 45-49(2000).
  12. 환경부, 토양오염공정시험법(환경부고시 제2002-122호)(2002).
  13. 김석구, 이미경, 안재환, 강성원, 전상호, "퇴적물 내 입도와 유기물 함량이 영양염류 및 중금속 농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환경공학회지, 27(9), 923-931(2005).
  14. 박지현, 낙동강 하구와 인근 해역의 표층퇴적물 중 PCDDs, PCDFs, dioxin-like PCBs 및 PAHs의 분포특성과 기원, 석사학위논문, 부경대학교(2003).
  15. 농업기반공사 농어촌연구원, 저수지 준설 환경기준 정립 및 준설토 활용방안 연구(2005).
  16. 한국수자원공사, 댐저수지 유기퇴적물 분포 및 처리방안 연구 (1997).
  17. 김휘중, 김선구, "토양 내 중금속 존재형태분석방법과 토양오염공정시험 분석법 비교 연구,"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추계학술발표회 및 통합 10주년 기념 국제심포지엄,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서울, p. 354(2010).
  18. NOAA, Sediment quality guidelines developed for the National Status and Trends Program(1999).

피인용 문헌

  1. Analysis of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uspended Sediments Flowing into the Saemangeum Reservoir in the Summer vol.37, pp.2, 2015, https://doi.org/10.4491/KSEE.2015.37.2.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