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ge Differences in Safety Perception: A Comparison of Babyboomer, Pre-elderly, and the Elderly

연령별 안전에 대한 인식 차이: 베이비부머, 예비노인, 현재노인의 비교

  • 정순둘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전문대학원 사회복지학과) ;
  • 오은찬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전문대학원 사회복지학과) ;
  • 김고은 (광운대학교 상담복지정책대학원)
  • Received : 2011.04.29
  • Accepted : 2011.05.20
  • Published : 2011.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serve the age differences in safety perception among babyboomer, pre-elderly, and the elderly and to seek for countermeasures to overcome the risk. The data used for this study were from the 2008 Social Survey conducted by Administration on Statistics, Korea. The data were divided into three different age groups such as babyboomer, pre-elderly, and the elderly. Results showed that overall safety level of the society, safety perception of others and oneself, current social safety level compared to 10 years ago, social safety level after 10years, awareness of safety among different social fields, and the rank among the list of factors that lead to social insecurity appeared to differ according to the three different age groups. The awareness of safety for the elderly group was not higher than babyboomer and pre-elderly groups. Age differences in safety perception reflected the times and experiences the same age cohort went through. Countermeasures for security should be developed b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generations and different age groups.

본 연구의 목적은 베이비부머와 예비노인, 현재노인들이 인식하고 있는 안전에 대해서 살펴보고, 그에 대한 대응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통계청에서 실시한 2008 사회통계조사의 대상이 되는 약 20,000 표본 가구의 만 15세 이상 상주 가구원 중 베이비부머 세대의 코호트와 법정 노인 연령을 기준으로 세 집단으로 구성되었다. 전반적 사회의 안전도, 타인과 자신의 안전인식, 10년 전과 비교한 현재사회의 안전도, 10년 후의 사회 안전도, 사회 각 분야의 안전에 대한 인식도, 조사대상의 사회 불안 요인 순위 등에 대해서 살펴본 결과 베이비부머와 예비노인, 현재노인 간 집단 간 인식의 차이가 나타났다. 특히 안전의 취약계층인 노인의 전반적인 안전인식은 베이비부머나 예비노인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영역별 안전인식의 차이는 각 세대가 겪은 시대적 특성과 경험을 반영하고 있다. 따라서 안전에 대한 대책은 각 연령집단별 특성과 그들이 겪어온 세대적 특성을 함께 고려하여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해 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소선, 이은숙 (1999) 노인들의 안전사고 발생 실태 조사연구, 간호학 탐구, 연세대학교 간호정책연구소, 제8권, 제2호, pp. 202-224.
  2. 김영평, 최병선, 소영진, 정익재 (1995) 한국인의 위험인지와 정책적 함의, 한국행정학보, 한국행정학회, 제29권, 제3호, pp. 935-954.
  3. 박희제 (2009) 광우병 논란에서 나타난 위험인식의 합리적 기반과 위험커뮤니케이션, 한국사회학회 사회학대회 논문집, 한국사회복지학회, pp. 223-234.
  4. 중앙일보 (2011. 04. 10.) 일본 대지진 65세이상 노인이 희생자 절반 넘어, 중앙일보.
  5. 이경자, 이미라, 조윤희 (2008) 노인의 안전의식과 안전사고 발생에 관한 연구, 노인간호학회지, 노인간호학회, 제10권, 제1호. pp. 48-57.
  6. 이영애, 이나경 (2005) 위험지각의 심리적 차원, 인지과학, 한국인지과학회, 제16권, 제3호, pp. 199-211.
  7. 이원태 (2009) 노인들의 생활안전의식이 사고유발 요인과의 관련성, 박사학위논문, 대구한의대학교.
  8. 이재열 (2004) 위험사회와 정보화의 명암, Information Security Review, 정보통신연구진흥원, 제1권, 제3호, pp. 39-58.
  9. 이정수, 김응식 (2004) 노인시설의 피난행태 분석을 통한 건축계획 및 운영관리 지침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대한건축학회, 제20권, 제6호, pp. 145-154.
  10. 정기성 (2004) 한국사회의 위험인식에 대한 문화론적 연구, 정치 정보연구, 한국정치정보학회, 제7권, 제1호, pp. 209-232.
  11. 정순둘, 기지혜 (2007) 강원도 노인의 수해경험과 재해인식에 관한 연구-남성노인과 여성노인의 비교-, 방재학회논문집, 한국방재학회, 제8권, 제1호, pp. 57-62.
  12. 정순둘, 김고은, 박지영 (2008) 수해경험 노인의 인적자원과 서비스 활용에 관한 연구, 한국방재학회 학술발표 논문집, 한국방재학회, pp. 143-146.
  13. Dominey-Howes, D. and Minos-Minopoulos, D. (2004) Perceptions of hazard and risk on Santorini. Journal of Volcanology and Geothermal Research, vol. 137, pp. 285-310. https://doi.org/10.1016/j.jvolgeores.2004.06.002
  14. Fields, R. (1996) Severe stress and the elderly. Are older adult at increased risk for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In P.E. Ruskin, J.A. Talbott (Eds.), Aging and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p.79-100), American Psychiatric Press; Washington, DC.
  15. Goenjian, A.K., Najarian, L.M., Pynoos, R.S. and Steinberg, A.M. (1994)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in Elderly and Younger Adults After the 1988 Earthquake in Armenia. The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Vol. 151, No.6, pp. 895-901. https://doi.org/10.1176/ajp.151.6.895
  16. Kohn, R., Levav, I., Garcia, I.D., Machuca, M.E. and Tamashiro, R. (2005) Prevalence, risk factors and aging vulnerability for psychopathology following a natural disaster in a developing country, International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Vol. 20, pp. 835-841. https://doi.org/10.1002/gps.1369
  17. Krause, N. (1987) Exploring the impact of a natural disaster on the health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older adults. Journal of Human Stress, Vol. 13, No. 2, pp. 8-10.
  18. Seplaki, C.L., Goldman, N., Weinstein, M. and Lin, Y. (2006) Before and after the 1999 Chi-Chi earthquake: Traumatic events and depressive symptoms in an older population. Social Science & Medicine. Vol. 62, No. 12, pp. 3121-3132. https://doi.org/10.1016/j.socscimed.2005.11.059
  19. Sovic, P. (1987) Perception of Risk, Science, vol. 236, pp. 280-285. https://doi.org/10.1126/science.3563507
  20. Tanida, N. (1996) What happened to elderly people in the great Hanshin earthquake. British Medical Journal. Vol. 313, No. 7065, pp. 1133-1135. https://doi.org/10.1136/bmj.313.7065.1133
  21. Xue, H. (2005) Assessing the role of risk in agro-pastoral livelihoods in Shangrila County, Northwest Yunnan Province. Center for Biodiversity and Indigenous Knowledge Community Livelihoods Program Working Paper 15.

Cited by

  1. Factors Affecting Helmet Use of Elderly Bicycle Riders vol.29, pp.3, 2018, https://doi.org/10.7856/kjcls.2018.29.3.3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