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Flash Flood Risk Assessment using PROMETHEE and Entropy Method

PROMETHEE와 Entropy 기법을 이용한 돌발홍수 위험도 평가

  • 이정호 (한밭대학교 토목공학과) ;
  • 전환돈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건설공학부) ;
  • 박무종 (한서대학교 토목공학과) ;
  • 정재학 (국립방재연구소 연구기획팀)
  • Received : 2011.02.17
  • Accepted : 2011.03.11
  • Published : 2011.06.30

Abstract

Previously most of flood prevention efforts have been made for relatively large watersheds near to channel flow. However, as economical development and the expansion of leisure areas to mountainous region, human casualty by flash flood occurs frequently, requiring additional prevention activity. Therefore, to reduce the damage of human lives and property by flash flood, we develop an assessment method for flash flood occurrence for mountainous areas considering various factors involving it. PROMETHEE(Preference Ranking Organization METHod for Enrichment Evaluations) which is one of the MCDM(Multi-Criteria Decision Making) was adopted to assess the contribution of each factor to the risk of the flash flood in the mountainous area. The main evaluation criteria are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namely, the regional and rainfall characteristics, and geographical features. Also, the Entropy method is used to determine the weight of each evaluation criteria without survey. The suggested method based on PROMETHEE with Entropy method is applied to BongHwa region to verify its applicability. After applied, the method successfully assesses the relative risk of flash flood occurrence of each sub region in the BongHwa region. Out of the seventeen sub-regions, five, seven and five of them are evaluated as high-risk, medium-risk, and low-risk, respectively. To verify the results, we searched the historical data of flash flood and the flash flood had occurred in one of high-risk sub-regions at 2008.

과거 홍수 방재에 관한 노력의 대부분은 대하천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경제의 발전과 더불어 레져 활동 영역이 산지유역으로 확대되면서 돌발홍수로 인한 인명사고의 발생이 빈번해졌고 이로인한 추가적인 방재 활동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므로 돌발홍수로 인한 인명 및 재산의 피해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지표들을 고려하여 산지유역에서의 돌발홍수 발생 위험도를 평가하기 위한 새로운 기법을 개발하였다. 고려된 다양한 지표들의 돌발홍수 발생에 대한 기여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다기준의사결정 기법의 하나인 프로메티(Preference Ranking Organization METHod for Enrichment Evaluations, PROMETHEE)를 이용하였으며, 평가 지표들로는 지역특성, 강우특성 및 지형특성 등이 선정되었다. 또한 이상의 평가지표들에 대한 상대적 가중치 산정을 위하여 엔트로피(Entropy) 기법이 이용되었다. 엔트로피 기법과 프로메티를 이용한 돌발홍수 위험도 평가기법은 그 적용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봉화군 유역에 적용되었으며, 적용 결과 봉화군 유역 내 17개 소유역에 대하여 그 상대적 위험도가 평가되었다. 또한 17개 소유역은 그 결과에 따라 각각 5개, 7개, 5개의 고 중 저위험군으로 분류되었다. 또한 적용결과의 추가적인 검증을 위하여 과거 돌발홍수 피해 사례를 조사한 결과 고위험군으로 평가된 지역들 중 한 곳에서 2008년 돌발홍수가 발생했었음을 확인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국립방재연구소 (1998) 지리산 일원 호우피해 조사 및 분석, 행정자치부, pp. 89-95.
  2. 국립공원관리공단 (2003) 자동우량 경보시설 확충 보상설정에 따른 조사용역.
  3. 김병식, 배영혜, 홍숭진 (2009) F2MAP 모형을 이용한 산지유역에서의 돌발홍수 모의-Case Study, 한국수자원학회 학술대회논문집, pp. 225-230.
  4. 김응석, 최현일, 지홍기 (2010) 미계측 유역에서의 확률강우에 대한 돌발홍수지수 산정, 한국방재학회지, 제10권, 제4호, pp. 81-88.
  5. 김응석, 최현일, 이동의, 강동진 (2009) 돌발홍수지수를 이용한 돌발홍수심도 산정, 한국방재학회지, 제9권, 제6호, pp. 125-131.
  6. 박무종, 최성욱 (2008) 다기준 의사결정기법을 기반으로 하는 침수위험 평가기법의 개발,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제41권, 제4호, pp. 365-377.
  7. 이종태 (1998) '98년 홍수 재해 원인과 하천 관리의 문제점, 한국수자원학회지, 제31권, 제5호, pp. 20-32.
  8. 이종태 (1999) '99년 경기 북부의 홍수, 한국수자원학회지, 제32권, 제5호, pp. 20-23.
  9. 신현석, 김홍태, 박무종 (2004) GIS와 GCUH를 이용한 돌발홍수 기준우량 산정의 타당성 검토 연구,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제37권, 제5호, pp. 407-424.
  10. Brans, J.P. and Vincke, P.h., (1985) A preference ranking organization method, Management Science, Vol. 31, No. 6, pp. 647-656. https://doi.org/10.1287/mnsc.31.6.647
  11. Rodriguez-Iturbe, I., Sanabria, M.G. and Bras, R.L. (1982) A Geomorphoclimatic Theory of the Instantaneous Unit hydrograph,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18, No. 4, pp. 877-886. https://doi.org/10.1029/WR018i004p00877
  12. Shannon, C.E. and Weaver, W. (1949) The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ACM.

Cited by

  1. Differentiating Scheme for the Storm Warning Criteria Considering the Regional Disaster Prevention Capacity vol.14, pp.5, 2014, https://doi.org/10.9798/KOSHAM.2014.14.5.67
  2. Evaluation of Urban Small Watershed Relative Flood Risk using Multi Criteria Decision Making Method vol.18, pp.2, 2018, https://doi.org/10.9798/KOSHAM.2018.18.2.4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