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독서토론 진로탐색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진로발달과 성취동기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the Reading Discussion-oriented Career Exploration Program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Career Development and Achievement Motivation Improvement

  • Ahn, In-He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ogang University) ;
  • Lee, Chang-H. (Department of Psychology, Sogang University)
  • 투고 : 2010.12.06
  • 심사 : 2011.04.07
  • 발행 : 2011.04.30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독서토론 진로집단 상담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진로발달과 성취동기의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지 그 효과를 알아보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초등학생 5학년 세 학급을 실험집단, 비교집단 A, 비교집단 B로 각각 선정하였다. 실험집단에는 독서토론 진로집단 상담프로그램을 5주간 10회기에 걸쳐 실시하였고, 같은 기간 비교집단 A는 진로인식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비교집단 B는 교과학습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독서토론 진로상담 프로그램 집단이 교과학습을 실시한 집단에 비해 진로발달에 유의한 향상이 있었으나 진로인식 상담 집단에 비해서는 유의한 차이점이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독서토론 진로상담 프로그램 집단이 교과학습을 실시한 집단과 진로인식 상담 집단에 비해 성취동기가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The purpose of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reading discussion-oriented career exploration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on career development and achievement motivation. To achieve this purpose, three fifth grade classes were assigned to an experimental group, comparative group A and comparative group B. Reading discussion-oriented exploration program for the experimental group was conducted for five weeks in ten sessions, the same period of time for comparative group A was given for conducting a career education program and subject studying was conducted on comparative group B.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experimental group applied to the reading discussion-oriented career exploration programs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ir career development compared with the subject studying group. But they did not show a significant increase compared with the career education group. Second, experimental group applied to the reading discussion-oriented career exploration programs showed significant increase their achievement motivation compared with the subject studying group and career education group.

키워드

참고문헌

  1. 기현주, "아동용 성취동기 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대전대학교, 2004.
  2. 김명숙, "중학생의 독서습관과 진로성숙도와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동국대학교, 1998.
  3. 김유희, "독서치료가 학습부진아의 성취동기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대구교육대학교, 2008.
  4. 김충기, "교육심리학", 동문사, 2000.
  5. 김혜령, "진로탐색집단상담이 중학생의 학습동기 유발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1994.
  6. 김희겸, "직업탐색중심 진로교육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진로발달 및 성취동기 향상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공주교육대학교, 2008.
  7. 나승일, "직업기초능력과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의 연계 실태분석", 직업교육연구18(1),1999.
  8. 류해옥, "진로집단상담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성취동기향상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서울교육대학교, 2005.
  9. 문화체육관광부, "2009 국민독서실태조사", 문화체육관광부, 2010.
  10. 배은경, "독서를 통한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여고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태도 성숙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계명대학교, 2003.
  11. 원덕자, "진로인식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아동의 자아개념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2000.
  12. 이상애, "중학생의 진로성숙도 향상에 독서치료프로그램이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경기대학교, 2006.
  13. 이정이, "독서치료가 중학생의 자아존중감 및 성취 동기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2004.
  14. 이종범, "초등학생 진로발달 검사도구의 개발 및 타당화",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2005.
  15. 임은영, "활동중심 진로상담 프로그램이 진로의식성숙 및 성취동기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서울교육대학교, 2008.
  16. 정철영, "직업기초능력 강화 방안", 교육부, 1999.
  17. 조봉환, "직업탐색중심 초등학교 진로교육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연구", 아동 교육연구 제15권 제2호, 5-20, 2000.
  18. 최동선, 정철영, 서우석, 허종렬, 윤형헌, "생애단계별 진로교육 지침 개발 및 관련 법령 개정 방안 연구: 초.중등학교를 중심으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5.
  19. 한국교육개발원, "진로교육의 이론과 실제",교육과학사, 1999.
  20. 황나영, "진로탐색중심 독서상담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진로발달과 성취동기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공주교육대학교, 2008.
  21. 황옥선, "진로인식 집단상담이 초등학생의 진로성숙도와 학습흥미향상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서강대학교, 2008.
  22. Atkinson, J.W. & Brich, D., "Introduction to motivation", New York: Von Nostrand Co, 1966.
  23. Brolin, D. E., "Career education: a funcational life skills approach(3rd Ed)",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Inc., 1995.
  24. Ginzberg, E., "Toward a theory of occupationa choice :A restatement", Vocational guidance quarterly, 20, 169-176, 1972.
  25. McClelland, D.C., "Achievnent Motivation can be developed", Harvard Business Review, Nov.Dec., 1965.
  26. Morris, J .c., "Self-perceived youth leadership life skills development among Iowa 4-H members", doctoral dissertation(Ph. D), Iowa State University, 1996.
  27. Murry, H. A., "Explorations in personality",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938.
  28. Sidney Marland P., "Career Education", New York: Mcgraw-Hill Book Co, 1974.
  29. Super, D. E., "The psychology of career", New York: Person, positions and processes, The counseling psychologist, 1, 2-9, 1957.
  30. Tuckman, "An aga graded model for carrer deveopment education", Jourmal of Vocational Behavior, 4(2), 193-212, 1974. https://doi.org/10.1016/0001-8791(74)9010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