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Horticultural Therapy on the Emotional Stability of Children From Broken Homes

원예심리치료가 결손가정아동의 정서적 안정에 미치는 효과성에 관한 연구

  • Kang, Jong-Gu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Department of Child Welfare) ;
  • Lee, Nam-Sug (Hanil University & Presbyterian Theological Seminary)
  • 강종구 (충북대학교 아동복지학과) ;
  • 이남숙 (한일장신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Received : 2011.03.09
  • Accepted : 2011.04.07
  • Published : 2011.04.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horticultural therapy on children from broken homes: this treatment program, implemented in the social welfare field, targets the children's depression, self-esteem, and social and emotional stress. Its object was composed of 13 lower grade students enrolled in special facilities according to the life-cycle method, and its data were collected as making use of the structured questionnaire. The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was practiced 14 sessions in total from September 2nd to December 16th, 2010, and its results in summary are as follows; The sociality in horticultural therapy was higher by .53 point in 2.76 after practice than in 2.23 before practice, and its value of the ability to cope with stress was higher by 0.52 point in 2.82 after coping with stress than in 2.30 before that. That was meaningful (t=-1.4398, p<.05). The value of anxiety was lower by .15 in 1.45 post-anxiety than in 1.60 pre-anxiety, and that was meaningful (t=-2.3842, p<.05). The value of self-esteem is higher by .42 in 2.92 post-self-esteem than in 2.50 pre-self-esteem, and that was strategically meaningful (t=-1.1871, p<.05). The value of emotional assessment was higher by 2.05 in 5.25 post-emotional assessment than in 3.20 pre-emotional assessment, and that was strategically meaningful (t=-2.4599, p<.05).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that this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should apply to the issues of children in social welfare field as one of various approaches.

본 연구는 결손가정아동에게 원예심리치료 실시 후 정서적 안정에 미치는 효과성에 관한 것으로 사회복지 실천현장에서 원예심리치료 프로그램의 가능성을 검증하여 아동의 정서적 우울, 스트레스, 사회성, 자아존중감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대상은 생애주기적 방법에 따라 시설에 입소되어있는 13명의 저학년을 대상으로 구성하였으며 자료 수집은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원예심리치료 프로그램은 2010년 9월 2일부터 2010년 12월 16일 까지 총 14회기를 실시하였고 연구결과의 요약은 다음과 같다. 원예심리치료의 사회성은 사전 2.23,사후 2.76 변화가 .53점 높아졌으며 스트레스 대처 능력 값은 사전 2.30, 사후 2.82로 사후 스트레스대처능력 값이 .52점 높아 졌으며 유의미하였다.(t= -1.4398, p<.05). 사전 불안감 값이 1.60, 사후 불안감 값이 1.45로 사후 불안감 값이 .15점 낮아졌으며 유의미하였다.(t= -2.3842, p<.05). 사전 자아존중감 값이 2.50, 사후 자아존중감 값이 2.92로 사후 자아존중감 값이 .42점 높아졌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t= -1.1871, p<.05). 사전 정서평가 값이 3.20, 사후 정서평가 값이 5.25로 사후 정서평가 값이 2.05점 높아졌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t=-2.4599, p<.05). 이 결과를 토대로 원예심리치료 프로그램이 아동들의 문제를 해결하는 사회복지실천현장에서 다양한 접근방법의 하나로 활동되는 것을 제안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해자. 원예치료가 아동의 불안감소에 미치는 영향, 순천향대학교 산업정보대학원 석사학위논. 1999.
  2. 김경준. 아동.청소년. 청소년 투자에 관한 생애주기적 접근, 한국청소년연구원연구. 2008.
  3. 김형길, 김인외, 사회복지의 이해, 한일장신대학교, 신아출판사. 2002
  4. 김홍열. 원예치료학 이론과 실제, 한국원예치료연구센터, 대구가톨릭대학교, 심리척도핸드북, 고려대학교부설 행동과학연구소, 학지사. 2001
  5. 박영신. 초등학생의 정서적.사회적 발달에 미치는 원예치료의 효과, 대구가톨릭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6. 신용균. 원예치료가 빈곤결손 아동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대구가톨릭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7. 이병진. 사회기술원이 소년소녀가장의 정서적 안정에 미치는 영향, 숭실 대학교 대학원 박사논문. 1996.
  8. 이일동. 원예치료가 빈곤결손가정의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대구가톨릭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9. 이윤숙. 원예치료가 시설보호아동의 집중력 및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대구가톨릭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10. 주은연. 원예치료가 학습부진아의 행동특성 및 정서에 미치는 영향,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2004
  11. D, E, Papalia 외. 인간발달 정옥분 역 서울: 교육과학사. 1992.
  12. L.B Breen. The AgingI Ind Handbook of Social Gerontology, ed, Tibbitts,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60.
  13. Hass, K, Simson, S. P. and N. C. Stevenson. "Older persons and horticulture therapy." Simson. S. P. &Straus, M. C. Ed. Horticulture as therapy-principles and practice. The food products press, New York. 1998.
  14. Kaplan, M. "USE of sensory stimulation with Alzheimer patients in a garden setting. "Joel Flagler and Raymond P. Poincelot, eds. People-plant relationships: Setting research priorities. Anational symposium (proceedings). Hayworth press, Inc. Binghamton, NY 13904-1580. 1994.
  15. Mooney, P. Assessing the benefits of a therapeutic horticulture program for seniors in intermediate care, P.173-194. In: M. Francis, P, Lindsey, and J. s. 1994.
  16. NASW. Working definition of social work practice, Social work. 13(2). 1958.
  17. Rice(eds). The healing dimension df peo ple-plant relations: Proceedings of a research symposium: 24-27 March Univ, Calif,, Davis, Des, Res, U. C. 1994.
  18. Simson, S. and Haller, R. Horticultural therapy education and older adults, p125-139, In: S.E Wells (ed), Haworth press, New York. 1997.
  19. B, B. Solomon. Black Empowerment. "Social Work in Oppressed Communities." Columbia University Press. 19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