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Moderated Effect of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Style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among Adolescents

청소년의 우울과 자살생각과의 관계에 대한 부모-자녀 의사소통방식과 학교생활만족도의 중재효과

  • Kim, Hye-Won (Dept. of Youth Culture and Counseling, Hoseo Univ.) ;
  • Cho, Song-Yon (Dep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Hoseo Univ.)
  • 김혜원 (호서대학교 청소년문화상담학과) ;
  • 조성연 (호서대학교 유아교육과)
  • Received : 2010.11.15
  • Accepted : 2011.04.12
  • Published : 2011.04.30

Abstract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style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among adolescents. The participants were 1,099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in Chungnam province. The instruments used were the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Inventory', 'The Center for Epidemiological Studies Depression Scale', 'Suicidal Ideation Questionnaire',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Scal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 test, F test, the Scheff$\'{e}$ test for a post hoc test, Pearson's productive correlation, hierachical multiple regression, and Cronbach's ${\alpha}$ for reliability by SPSS program(18.0 vers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arent-adolescent open communication style, school life satisfaction, and suicidal ideation by school level, and in the relationship with the teacher in school life satisfaction by gender. Second, the more depressed they were, the more they had suicidal ideation by school level and gender. Also, the more they communicated openly with their parents and the more satisfied they were with their school life, the less depressed they were and the lower degree of suicidal ideation they had. Finally, there were significant effects of both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style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among adolescents.

Keywords

References

  1. 경인일보(2010. 5. 6). 우울증을 달고 사는 청소년. http://www.kyeongin.com/news/articleView. html?idxno=516916에서 2010년 11월 3일 인출.
  2. 구현영․박현숙․장은희(2006). 고등학교 청소년의 삶의 만 족도와 영향요인. 대한간호학회지, 36(1), 151-158.
  3. 국길숙(2003).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자녀간 의사소통과 청 소년의 자아존중감의 관계.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4. 권은희(2009). 청소년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심리사회적 요인을 중심으로. 원광대학교 대학 원 석사학위논문.
  5. 김선아(2009). 초등학교시기의 심리사회요인과 중학생시기의 자살생각간의 관계: 스트레스, 우울감과 사회적 지지를 중심으로. 한국가족복지학, 14(3), 5-27.
  6. 김수진(2001). 부모-자녀간 의사소통과 청소년비행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순규(2008), 청소년 자살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과 보호 요인.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29(8), 66-93.
  8. 김재엽․이근영(2010). 학교폭력 피해청소년의 자살생각에 대한 연구. 청소년학연구, 17(5), 121-149.
  9. 김현순(2008). 스트레스, 절망, 우울과 자살생각간의 구조적 관계: 노인과 청소년 차이 비교,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10. 김현순(2009). 청소년의 스트레스, 자기효능감, 우울과 자살 생각의 관계, 한국청소년연구, 20(1), 203-225.
  11. 김현실(2002). 청소년의 성격 특성, 가정 역동적 환경 및 자살 시도간의 관계. 대한간호학회지, 32(2), 231-242.
  12. 김현주(2008). 청소년 자살위험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아동복지학, 27(1), 69-93.
  13. 김혜원․조성연․김민(2010). 청소년 삶의 만족도에 대한 공부 중요성 인식, 공부압력과 성공압력의 영향력 및 부모-자녀 의사소통의 중재효과. 대한가정학회지, 48(5), 49-60.
  14. 김희연(2006). 심리도식, 가족 응집성-적응성, 스트레스 취약 성과 자살생각의 관련성.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15. 노선(2003).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자녀간 의사소통, 자아존중 감과 자아상태의 관계. 충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6. 노정화(2002).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이 청소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동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문경숙(2006). 학업스트레스가 청소년의 자살충동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27(5), 143-157.
  18. 문은식(2005). 중․고등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심리적 안녕 및 학교생활 적응의 관계, 한국교육심리학회: 교육 심리연구, 19(4), 1087-1108.
  19. 박경애․구본용․김원중․송종용․이재규․조은경(1993). 청소년 자살행동 연구. 서울: 청소년대화의 광장.
  20. 박병금(2006).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관한 생태체계요인탐색. 충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박병금(2007). 청소년의 자살생각 관련 요인: 자아존중감과 우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생활과학회지, 16(3), 505-518.
  22. 박병금․노필순(2007). 우울에 따른 청소년의 자살생각 관련 변인: 우울청소년과 비우울청소년의 집단비교를 중심 으로.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26(8), 168-193.
  23. 박아청(2000). 사춘기의 이해. 서울: 교육과학사.
  24. 박영숙(2009). 청소년 자살사고의 보호요인과 위험요인: 인 문계 및 실업계 고등학생의 학교생활 스트레스, 우울, 부모관계, 친구관계 및 자살사고와의 관계. 한국청소년연구, 2(3), 221-251.
  25. 박은옥(2008). 청소년의 자살시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 대한간호학회지, 38(3), 465-473.
  26. 박정미(2004).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 의사소통 유형 및 부모- 자녀간 의사소통과 심리적 적응의 관계. 전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박재산․문재우(2010). 우리나라 중, 고등학생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보건사회학회, 27(1), 105-131.
  28. 박재연(2010). 학교폭력이 청소년 우울 및 자살에 미치는 영향 에서 탄력성의 매개효과: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 41(1), 345-375.
  29. 박현숙․정선영(2010). 청소년의 자살예방을 위한 다체계적 핵심역량지원 모형 구축, 정신간호학회지, 19(3), 278-287.
  30. 박현선(1998). 빈곤청소년의 학교적응유연성, 서울대학교 대 학원 석사학위논문.
  31. 박혜정(2009). 학업 스트레스, 통제소재, 우울과 자살사고와의 관계: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2. 보건복지가족부(2009). 2009 아동․청소년백서. 서울: 보건 복지가족부.
  33. 서민정(2005). 청소년 자살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사회적 요인들에 관한 연구. 경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4. 세계일보(2009. 11. 2). [죽음의 문턱에 선 아이들] '우울증 늪'에 쉽게 빠져… 청소년 정신 건강 적신호. http://www.segye.com/Articles/News/Society/ Article.asp?aid=20091101002193&ctg1=01&ctg2=0 0&subctg1=01&subctg2=00&cid=0101080100000에 서2010년 5월 3일 인출.
  35. 송성자(1996), 청소년의 심리․정서적 욕구와 단기가족치료의 접근. 연세사회복지연구, 3(1), 77-102.
  36. 수원시민신문(2010. 10. 10). "청소년 자살 급증...청소년의 생명을 보듬어야". http://www.urisuwon.com/sub_read.html?uid=1 0068에서 2010년 10월 12일 인출.
  37. 심희옥․김영미(2000). 부모와의 의사소통, 교사와의 관계 및 교내외 활동이 청소년의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21(4), 159-175.
  38. 안현진(2009). 중학생 스트레스와 자살사고의 관계: 성향적 낙관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9. 엄태완․강명진․최정순(2008). 청소년의 스트레스, 무망감, 우울, 자살생각과 사회적 지지: 성차를 중심으로. 경남대학교 인문논총, 22(1), 5-30.
  40. 오현아․박영례․최미혜(2008). 부모-자녀 의사소통과 우울이 청소년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아동간호학회지, 14(1), 35-43.
  41. 우선유(1999).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주는 변인에 관한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대학 원 석사학위논문.
  42. 우채영․박아청․정현희(2010). 성별 및 학교급별에 따른 청소년의 인간관계, 스트레스, 우울 과 자살생각 간의 구조적 관계, 한국교육심리학회, 24(1), 19-38.
  43. 육성필(2003). 자살관련 변인의 탐색과 치료프로그램 개발.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4. 윤경란(2006). 청소년의 스트레스와 자살생각: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 경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5. 이권오(2004). 부모-청소년 자녀간의 갈등과 대처행동에 관한 연구. 인하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6. 이민창․오미경․최종태(1992). 서울지역 인문계 고등학교 3학년 학생들의 우울증. 가정의학회지, 13(12), 927-934.
  47. 이은숙(2002). 청소년의 소외감, 우울과 자살생각에 관한 구 조모형.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8. 이재상(2004). 우울증과 자아정체감이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명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9. 임미례(2010). 청소년의 스트레스, 절망감, 사회적 지지와 자살 생각과의 관계.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0. 장신국(2002). 대안학교 고교생과 일반계고교생의 학교생활 만족도 비교연구. 전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1. 전겸구․이민규(1992). 한국판 CES-D 개발 연구 I.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1(1), 65-76.
  52. 전영주(2001). 우울증을 매개로 한 청소년의 자살구상에 관한 가족 및 학교환경의 경로분석 모델. 대한가정학회지, 39(1), 151-67.
  53. 정지숙(2007). 고등학생의 학교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관동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4. 조성연․김혜원․김민(2010). 생태학적 맥락에 따른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 2010년 한국아동학회 춘계학술대회 자 료집, 177-178.
  55. 조성진․전홍진․김무진 등(2001). 한국 일 도시(부천시)지역 청 소년의 우울증상 유병률과 관련요인에 대한 연구. 신경정신의학, 40(4), 627-639.
  56. 지은림․김성숙(2004). 초등학생과 중학생의 담임교사와의 관계에 대한 인식 비교. 경희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논문집, 20(2), 83-101.
  57. 최인재(2010). 청소년기 자녀의 자살생각에 대한 부모자녀관 계의 영향: 자아존중감 및 우울 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 17(9), 105-130.
  58. 최준영(2008). 고등학생 보충.야간자율학습과 학업스트레스, 주관적 만족감, 가출 및 자살충 동 간의 관계. 사회연구, 16(2), 211-232.
  59. 최지은․신용주(2003).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자녀 관계, 또래 관계, 교사와의 관계가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41(2), 199-210.
  60. 통계청(2008). 2008 청소년 통계. 대전: 통계청.
  61. 통계청(2010). 2010 청소년 통계. 대전: 통계청.
  62. 하상훈(2000). 청소년의 자살행동과 심리사회적 변인과의 관계. 인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63. 하현희(2001). 중학생의 자살생각 실태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4. 한기석․정영조(1992). 청소년 자살의 원인과 치료적 개입, 인제의학, 13(2), 151-157.
  65. 허정은(2004). 동성애자의 동성애 관련 스트레스 및 우울과 자살사고간의 관계. 서울여자대 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66. 홍영수(2004). 청소년의 자살행동에 대한 생활 스트레스와 심리사회적 자원의 영향. 연세대 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67. Aiken, L. S., & West, S. G. (1991). Multiple regression: Testing and interpreting interaction. Newbury Park, CA: Sage.
  68. Angela, B. B. (2007). An ecological risk factor examination of depression and suicide ideation in African American teenager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Wisconsin-Madison University.
  69. Alloway, J. (2005). Adolescent constructions of the meaning of suicid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N.Y. University.
  70. Ayyash-Abdo, H. (2002). Adolescent suicide: An ecological approach. Psychology in the School, 39(4), 459-475. https://doi.org/10.1002/pits.10042
  71. Barnes, H., & Olson, D. H. (1985).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and the circumplex model. Child Development, 56(3), 438-447.
  72. Baumeister, R. F. (1991). Suicide as escape from self. Psychological Review, 97(1), 90-113.
  73. Beck, A. T., Steer, R. A., Beck, J. S., & Newman, C. F. (1993). Hopelessness, depression, suicidal ideation, and clinical diagnosis of depression. Suicide and Life-Threatening Behavior, 23(1) 139-145.
  74. Bridge, J. A., Goldstein, T. R., & Brent, D. A.(2006). Adolescent suicide and suicidal behavior,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47(3), 372-394.
  75. Byard, R. W., Markopoulos, D., Eitzen, D., James, R. A., Blackbourne, B., & Krous, H. F. (2000). Early adolescent suicideL A comparative study, Journal of Clinical Forensic Medicine, 7(1), 6-9. https://doi.org/10.1054/jcfm.2000.0354
  76. Corsnoe, R. & Elder, G. H.(2004). Family dynamics, supportive relationships and educational resilience during adolescence, Journal of Family Issues, 25(5), 571-602. https://doi.org/10.1177/0192513X03258307
  77. Grob, M., Klwin, A., & Eisen, S.(1983). The role of the high school professional in identifying and managing adolescent suicide ideation: Lack of purpose in life as a mediational factor,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42(1), 5-21.
  78. Groholt, B. (2000). Young suicide attempters: A comparison between a clinical and an pidemiological sample,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Child and Adolscent Psychiatry, 39(7), 868-875. https://doi.org/10.1097/00004583-200007000-00015
  79. Hallfors, D. D., Waller, M. W., Ford, C. A., Halpern, C. T., Brodish, P. H., & Iritani, B.(2004). Adolescent depression and suicide risk: Association with sex and drug behavior. American Journal of Medicine, 27(3), 224-230.
  80. Lewinsohn, P. M., Rohde, P., Seeley, J. R., & Baldwin, C. L. (2001). Gender differences in suicide attempts from adolescence to young adulthood.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40(4), 427-434. https://doi.org/10.1097/00004583-200104000-00011
  81. Marcenko, M. O., Fishman, G., & Friedman, J.(1999). Reexamining adelescent suicidal ideation: A developmental perspective applied to a diverse population,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28(1), 121-138. https://doi.org/10.1023/A:1021628709915
  82. Pfeffer, C. D., Klerman, G. L., Hurt, S. W., Lesser, M., Peskin, J. R., & Siefker, C. A. (1991). Suicidal children grow up: Demographic and clinical risk factors for adolescent suicide attempts.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30(4), 609-616. https://doi.org/10.1097/00004583-199107000-00013
  83. Range, L. M.(1993). Suicide prevention: Guidelines for school, Educational Psychology, 5(2), 135-154. https://doi.org/10.1007/BF01323157
  84. Scheidt, P., Overpeck, M. D., Wyatt, W., & Aszmann, A. (2000). Adolescents' general health and wellbeing: In health and health behavior among young people. WHO Policy Series: Health Policy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Issues 1. Wsetterbulte, Copenhagen.
  85. Weissman, M. M., Wolk, S., & Goldstein, R. B. (1999). Depressed adolescents grown up. Journal of American Medicine Association, 281(6), 1707-17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