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Response to Children's Negative Emotion and Children's Stress-Coping Behavior :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Regulation

자녀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부모의 반응과 아동의 스트레스 대처행동 간의 관계에서 자기조절능력의 매개효과

  • 김지연 (서울여자대학교 아동학과 아동심리전공) ;
  • 남은영 (서울여자대학교 아동학과)
  • Received : 2011.04.30
  • Accepted : 2011.09.22
  • Published : 2011.10.31

Abstract

This study explored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reaction to children's negative emotions, child's self-regulation and stress-coping behaviors. This study also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 of a child's self-regulation between parental reactions to children's negative emotions and a child's stress-coping behaviors. The sample included 407 elementary school 5th-6th grades and their parents (comprising 407 couples) in Seoul. The research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parental reactions to children's negative emotions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child's self-regulation and stress-coping behaviors. Secondly, it was also found that parental reactions to children's negative emotion were both partially and indirectly related to a child's stress-coping behaviors through the child's use of self-regulation.

Keywords

References

  1. 김경숙(2003). 아동의 정서지능과 스트레스 통제감 및 대처행동과의 관계.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 김광웅(2007). 자아존중감 및 자기수용과 스트레스 대처행동과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9(4), 983-999.
  3. 김호정(2001). 어머니의 정서 표현성과 아동의 자기조절 능력이 문제 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 김희정(1994). 어머니가 지각한 부정적 정서에 대한 아동의 대처반응. 숙명여자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5. 민하영․유안진(1998). 일상적 스트레스에 대한 아동의 대처행동 척도개발. 대한가정학회지, 36(7), 83-96.
  6. 박서정(2004). 어머니의 정서사회화 행동과 학령기 아동의 정서조절 전략 및 정서조절 능력간의 관계.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7. 박연성․현은민(2007). 청소년의 자아탄력성과 스트레스 대처방식.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5(6), 83-94.
  8. 박지숙(2007). 아동의 기질, 정서조절능력, 어머니의 양육행동 및 아동의 사회적 행동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9. 박희석․오상우․손정락(1993).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역기능적 태도 및 대처방식의 우울에 대한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 임상, 12(2), 179-196.
  10. 소영원(2006). 초등학생의 사회적 지지와 스트레스 및 스트레스 대처행동과의 관계.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1. 송하나(2006). 가족의 인구학적 변인과 아동의 정서적 적응이 부모의 정서표현성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44(1), 75-85.
  12. 신재선(2001). 초등학생의 또래 괴롭힘 유형과 스트레스 대처행동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3. 유은희․임미옥(2006). 부모의 정서표현성과 아동의 자기조절 능력과의 관계. 아동학회지, 27(6), 97-106.
  14. 윤미라(2010).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자아존중감이 스트레스 대처행동에 미치는 영향.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5. 이영주(2008). 아동의 자기조절능력 발달에 영향을 주는 관련 변인 연구 : 아동의 자아개념과 부모, 교사, 친구의 관계를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6. 이옥주(2003). 성격특성과 스트레스 대처 양식이 학교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 사회 및 성격, 17(3), 77-85.
  17. 이원희(1997). 부모의 양육태도 및 신념과 유아기 사회적 능력과의 관계연구.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8. 이현민(1998). 자녀의 정서표현에 대한 어머니태도, 아동의 자기조절능력과 정서지능과의 관계.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9. 장연집(2001). 현대인의 정신건강. 서울: 학지사.
  20. 정문자․박진아(2001). 학령기 아동의 스트레스 대처행동과 행동문제간의 관계. 아동학회지, 22(3), 107-122.
  21. 조결자․이명희(2010). 중학생의 부모 양육태도와 스트레스, 스트레스 대처 및 자아효능감의 관계. 아동간호 학회지, 16(2), 120-127.
  22. 한미현(1996). 아동의 스트레스 및 사회적 지지 지각과 행동문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3. 한영민(2004). 부모의 정서표현 및 유아에 대한 정서 표현 수용태도와 유아의 자기조절능력과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4. Band, E. B., & Weisz, J. R. (1988). How to feel better when it feels bad:Children's perspectives on coping with every stress. Developmental Psychology, 24(2), 247-253. https://doi.org/10.1037/0012-1649.24.2.247
  25. Baron, R. M., & Kenny, D. A.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 1173-1182. https://doi.org/10.1037/0022-3514.51.6.1173
  26. Dunn J., Brown, J., & Bearsall, L. (1991). Family talk about feeling states and children's later understanding of ather's emotions. Developmental Psychology, 27, 448-455. https://doi.org/10.1037/0012-1649.27.3.448
  27. Dunn J., & Brown, J. (1994). Affect expression in the family children's understanding of emotions, and their interactions with others. Merrill-Palmer Quarterly, 40, 120-137.
  28. Eisenberg, N., Fabes, R. A., & Bernzweig, J. (1990). The coping with children's negative emotion scale:Precedures and scoring. Unpublished scale available from the authors. Arizona State university, Tempo.
  29. Eisenberg, N., Fabes, R. A., & Murphy, B. C. (1996). Parents' reactions to children's negative emotions : Relations to children's social competence and comforting behavior. Child Development, 67, 2227- 2247. https://doi.org/10.2307/1131620
  30. Eisengberg, N., Fabes, R. A., Shepard, S. A., Guthrie, I. K., Murphy, B. C., & Reiser, M. (1999). Parental reaction to children's negative emotions : longitudinal relations to quality of children's docial functioning. Child Development, 70, 513-534. https://doi.org/10.1111/1467-8624.00037
  31. Eisenberg, N., Gershoff, E. T., Fabes, R. A., Shepard, S. A., Cumberland, A. J., Losoya, S. H., Guthrie, I. K., & Murphy, B. C. (2001). Mother's emotional expressivity and children's behavior problems and social competence : Mediation through children's regulation. Developmental Psychology, 37, 475- 490. https://doi.org/10.1037/0012-1649.37.4.475
  32. Gottman, J. M., Katz, L. F., & Hooven, C. (1997). Meta- Emotion : How Families Communicate Emotionally. Mahwah, NJ : Lawrence Erlbaum Associates. Inc.
  33. Gottman, J. M., & Nahm, E. Y. (2007). 내 아이를 위한 사랑의 기술-감정코치(엔터스 코리아 역). 서울 : 한국경제신문(원본 발간일 1997).
  34. Holahan, C. J., & Moos, R. H. (1987). Social support and psychological distress : A longitudinal analysis.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90, 365- 370.
  35. Mischel, W., Shoda, Y., & Peake, P. K. (1988). The nature of adolescent competencies predicted by preschool delay of gratifica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4, 687-696. https://doi.org/10.1037/0022-3514.54.4.687
  36. Pruett, K. D. (2000). Fatherneed : Why father care is as essential as mother care for your child (pp. 17-75). N.Y. : Free Press.
  37. Rothbart, M. K., & Bates, J. E. (1998). Temperament. In W. Damon (Series Ed.) & N. Eisenberg (Vol. Ed.), Handbook of child psychology : Vol. 3. Social, emotional and personality development (5th ed., pp. 105-176). New York:Wiley.
  38. Rowlison, R. T., & Felner, R. D. (1998). Major life events, hassles, and adaptation in adolescence : Confounding in the conceptualization and measurement of life stress and adjustment revisited.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5, 432-444.
  39. Sally, R. R., & Julie, A. H. (2002). Family expressiveness and parental emotion coaching : their role in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and aggression. Journal of Abnormal Child Psychology, 30(6), 657-667. https://doi.org/10.1023/A:1020819915881
  40. Shields, A., & Cicchetti. D. (1998). Reactive aggression among maltreated children : The contribution of attention and emotion dysregulation. Journal of Clinical Child Psychology, 27, 381-395. https://doi.org/10.1207/s15374424jccp2704_2

Cited by

  1. The Development and Validity of a Scale for Measuring Mother's Reaction to Children's Negative Emotions vol.34, pp.6, 2013, https://doi.org/10.5723/KJCS.2013.34.6.97
  2. The Effects of Maternal Grandmothers' Positive Parenting Behavior, Mothers' Emotion Regulation and Positive Parenting Behavior on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vol.35, pp.2, 2014, https://doi.org/10.5723/KJCS.2014.35.2.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