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Analysis on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the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과학 영재의 행동 특성 분석

  • Received : 2011.02.11
  • Accepted : 2011.05.18
  • Published : 2011.06.30

Abstract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fferences of behavioral characteristics between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and ordinary students. The subjects were 40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27 males and 13 females) and 38 ordinary students (21 males and 17 females). The study specifically analyzed the several characteristics including logical thinking, science process skills, creativity, earth science creativity, self-directed learning, and cognitive styl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while 94.74% of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reached the formal stage, only 36.36% of ordinary students reached it in logical thinking. Second,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gained higher scores than ordinary students did in science process skills (average 8.11), creativity (average 8.27), earth science creativity (average 6.73), scientific attitude (average 10.79), self-directed learning (average 21.60). Third, 70% of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and 60.53% of ordinary students showed to have the characteristics of field independent thinking. These results implied that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should be included in science gifted education for the pursuit of the essential gifted education and maximization of its efficiency.

본 연구에서는 과학영재학생들과 일반학생의 행동특성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과학영재 40명(남 27명, 여 13명)과 일반학생 38명(남 21명, 여 17명)을 연구의 대상으로 선정하고, 논리적 사고력, 과학탐구능력, 창의력, 지구과학창의력, 과학적 태도,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인지양식을 검사하였다. 그 결과 첫째, 과학영재들은 94.74%, 일반학생은 36.36%가 형식적 조작기에 도달해 있다. 둘째, 과학영재들은 일반학생보다 과학탐구능력 8.11점, 창의력 8.27점, 지구과학창의력 6.73점, 과학적 태도 10.79점,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21.66점 높게 나타났다. 셋째, 과학영재의 약 70.0%와 일반학생의 약 60.53%가 장독립적인 사고를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과학영재교육의 본질과 효율성 극대화를 위해 과학영재의 높은 행동 특성이 반영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권재술, 허 명, 최병순, 1987, 중학교 과학과 교육과정 및 그 운영 진단(II) -지적발달수준과 학업성취도-. 한국과학교육학회지, 7, 1-14.
  2. 김명숙, 정대련, 이종희, 2002, 과학영재와 일반아의 창의적 사고, 인성, 환경과 과학영역의 창의적 수행에서의 성차. 아동학회지, 24, 1-13.
  3. 김미숙, 조석희, 윤초희, 진석언, 2004, 중학생 영재의 지적.정의적 특성에 따른 효과적인 교수.학습 방안 탐색. 한국교육개발원 CR2004-40, 336 p.
  4. 김병국, 1991, 고등학생의 인지수준과 학업성취도 평가를 통한 학습 내용 분석-과학 I(하) '지구의 운동' 단원을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4 p.
  5. 김영채, 1999, TORRANCE 창의력(도형) 검사 요강. 중앙교육적성연구소, 서울, 56 p.
  6. 김정휘, 1998, 영재학생식별편람. 원미사, 서울, 444 p.
  7. 소금현, 심규철, 이현욱, 장남기, 2000, 중학교 과학영재의 과학관련 태도에 관한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 166-173.
  8. 신지은, 한기순, 정현철, 박병건, 최승언, 2002, 과학영재 학생과 일반 학생은 창의서에서 어떻게 다른가?-서울대학교 과학영재교육센터 학생들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 167-169.
  9. 심재영, 김언주, 2003, 과학영재집단의 영재성 요인 타당화 연구. 교육심리연구, 17, 241-255.
  10. 이국행, 서재복, 이정원, 임은미, 정덕호, 허진휴, 김미림, 2009, 부모를 위한 영재교육 가이드. 도서출판 맥기획, 전주, 291 p.
  11. 정덕호, 박선옥, 2010, 죄우뇌 활용 선호도에 따른 과학영재들의 문제해결방식에 관한 연구. 한국지구과학회지, 31, 173-174.
  12. 조은부, 2005, 초등과학영재의 인지적.정의적 특성 분석. 한국교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1 p.
  13. 최영준, 이원식, 최병순, 1985, 중.고등학생들의 논리적 사고력 형성에 관한 연구 I. 한국과학교육학회지, 5, 1-9.
  14. 한기순, 배미란, 2004, 과학영재와 일반학생들 간의 사고양식과 지능 및 창의성 간의 비교연구. 교육심리연구, 18, 49-68.
  15. 한기순, 배미란, 박인호, 2003, 과학영재들은 어떻게 사고하는가?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3, 21-34.
  16. 한종하, 1987, 과학영재교육론. 학연사, 서울, 201 p.
  17. Borland, J.H., 1997, The construct of giftedness. Peabody Journal of Education, 72, 6-20. https://doi.org/10.1207/s15327930pje7203&4_1
  18. Dillashaw, G.H. and Okey, J.R., 1980, A test of the integrated science process skills for secondary science students. Science Education, 4, 601-608.
  19. Feldhusen, J.F., 1986, A new conception of giftedness and programming for the gifted. Illinois Council for the Gifted Journal, 5, 2-6.
  20. Fraser, B.J., 1978, Development of a test of science-related attetudes. Science Education, 62, 509-515. https://doi.org/10.1002/sce.3730620411
  21. Guglielmino, L.M., 1977, Development of the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scale.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Georgia, 1977) Dissertation Abstract International, 38, 6467A, 237 p.
  22. Lee, H.R., 2003, A method for developing items to assess earth science creativity. The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4, 150-159.
  23. Maureen, N., Sally, M., Nancy M.R., and Sidney, M.M., 2002, The social and emotional development of gifted children: What do we know? Prufrock Press, Washington, DC, USA, 320 p.
  24. Oltman, P.K., Raskin, E.l., Witkin, H.A., and Karp, S.P., 2002, Group Embedded Figures Test Manual. Mind Garden, Edwood city, USA, 35 p.
  25. Renzulli, J.S., 1978, What makes giftedness: Reexamining a definition. Phi Delta Kappa, 60, 180-184.
  26. Roedell, W.C., Jackson, N.E., and Robinson, H.B., 1980, Gifted young children. Teachers college, Columbia University, NY, USA, 265 p.
  27. Torrance, E.P., 1988, Torrance test of creative thinking, Norms-Technical Manual Figural A and B, III. Scholastic testing service, MO, USA, 23 p.
  28. Torrance, E.P., Orlow, E.B., and Tamy, S.H, 1992, Torrance test of creative thinking-streamlined Scoring guide Figural A and B, III. Scholastic testing service, MO, USA, 20 p.

Cited by

  1. An Analysis of Science-gift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Ontological Understanding of 'Living Things' vol.34, pp.2, 2015, https://doi.org/10.15267/keses.2015.34.2.1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