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stablishment of Perfect-Drainage Period for Reduction of Salt Injury and Improvement of Grain Filling Ratio in the Newly Reclaimed Land

신간척지에서 염해경감 및 등숙률 향상을 위한 완전낙수시기 구명

  • 최원영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 양창휴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 이장희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 김택겸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 정재혁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 최민규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 김시주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Received : 2011.06.02
  • Published : 2011.06.30

Abstract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to establish perfect-drainage time in order to stabilize rice yield and improve rice quality. Treatments of perfect-drainage were conducted 5 days interval during 25 days to 50 days after heading date in the field of Saemangeum Gyehwa, newly reclaimed land. Accumulated temperature after heading date in 2010 increased about $100^{\circ}C$ and precipitation amount decreased a little compared to normal year harvesting time. Average panicle number was 16.5 and spikelet per panicle was 88. Perfect drainage time treatment after 40~50 days was 3% higher in percent ripened grain and 0.6 g heavier in 1,000 grain weight than treatment after 25~35 days. There was no difference of rice yield between perfect drainage time treatment after 25 days and 30~35 days, but rice yield was 7~8% higher in treatment after 40~50 days than 25 days. Head rice ratio in treatment after 35 days was the highest and the sooner perfect drainage time, the lower protein content. Soil moistu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soil hardness and EC in this result. With this results, we proposed that the time of perfect drainage in newly reclaimed land to stable rice production is 40~50 days after heading date.

본 연구는 신간척지에서 적정 완전낙수시기를 구명함으로써 안정적인 수량확보 및 미질향상을 하기 위하여 완전낙수시기를 출수 후 25일부터 50일까지 5일 간격으로 처리하여 신간척지인 새만금 계화포장에서 수행한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2010년 출수 후 적산온도는 평년대비 수확기를 기준으로 $100^{\circ}C$ 정도 높았고 강수량은 약간 적었다. 2. 평균 주당수수는 16.5개 이었고, 수당입수는 88개 이었다. 3. 출수 후 40~50일 낙수처리가 출수 후 25~35 일 낙수처리보다 등숙비율은 3% 정도 높았고 현미천립중은 0.6 g정도 무거웠다. 4. 쌀수량은 출수 후 25일 낙수 대비 30~35 일 낙수에서는 유의차가 없었고, 40~50일 낙수에서는 7~8% 증수하였다. 5. 완전립비율은 출수 후 35 일 낙수에서 높았고, 단백질 함량은 조기 낙수할수록 낮았다. 6. 토양수분과 토양경도는 고도의 부의상관이 있었고, 완전낙수후 시간이 경과할수록 토양중 EC는 높아졌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신간척지에서 안정적인 쌀 수량 확보를 위한 적정 완전낙수시기는 출수 후 40~50 일이라고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구자웅, 최진규, 손재권. 1998. 우리나라 서해안 간척지 및 간석지 토양의 이화학적 특성. 한국토양비료학회지. 31(2) : 120-127.
  2. 국무총리실. 2010. 새만금 내부개발 기본구상 및 종합실천계획. 국무총리실. pp. 61.
  3. 농촌진흥청. 2003. 농사시험연구 조사기준. 농촌진흥청. pp. 838.
  4. 벼맥류부. 2010. 2010년 시험연구사업 과제수행계획서. 벼맥류부. pp. 253.
  5. 이장석, 오경석, 손상목. 1993. 수도의 분얼기에 염수처리 농도가 체내 무기성분 함량,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국제농업개발학회지. 5(2) : 167-174.
  6. 이충근, 윤영환, 신진철, 이변우, 김정곤. 2002. 벼 생육시기별 염수처리 농도와 기간에 따른 생육 및 수량. 한국작물학회지. 47(6) : 402-408.
  7. 이희선, 김옥봉. 1997. 서산 간척지의 염도와 벼의 생육에 관한 연구. 한국생태학회지. 20(5) : 367-373.
  8. 채제천, 정명식, 전대경, 손용만. 2002. 간척지 재배 벼 품종의 수량과 품질과의 관계. 한작지 47(3) : 259-262.
  9. 최원영, 이규성, 고종철, 문상훈, 김정곤. 2005. 간척지 토양에서 벼 재배시 염농도별 완전 낙수시기. 한작지 50(S) : 85-87.
  10. 한국쌀연구회. 2010. 벼와 쌀 II. (사)한국쌀연구회 pp. 1065.
  11. Balasuburamanian, V. & Rac. 1977. Physiology basis of salt tolerance in rice. Plant. Physiol. section, Tadu Nagada Agr. Univ. India. 26(4) : 291-294.
  12. Roundy B. A.. 1985. Root penetration and root elongation of tall wheat grass and basin wildrye in relation to salinity. Can. J. Plant Sci. 65 : 335-343. https://doi.org/10.4141/cjps85-047
  13. Wyn Jones. R.G. and J. Gorham. 1986. The potential for enhancing the salt tolerance of wheat and other important crop plants. Outlook Agric. 15 : 33-39. https://doi.org/10.1177/003072708601500106

Cited by

  1. Germination and Early Growth Characteristics of the Halophyte Suaeda Asparagoides Under Various Environmental Conditions vol.61, pp.3, 2016, https://doi.org/10.7740/kjcs.2016.61.3.222
  2. Study of Seedling Type for Transplanting Culture in Rice Paddy Field at the Newly Reclaimed Land vol.57, pp.2, 2012, https://doi.org/10.7740/kjcs.2012.57.2.166
  3. Optimum Nitrogen Application Amount of Rice Transplanting Cultivation in Newly Reclaimed Land vol.26, pp.3, 2014, https://doi.org/10.12719/KSIA.2014.26.3.2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