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학술지 내용분석법에 의한 교육학 연구동향 분석

Research Trends in Educational Journal Articles: Content Analysis

  • 이명희 (상명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 김은주 (한국교육개발원 정보화기획실)
  • 투고 : 2011.05.18
  • 심사 : 2011.06.15
  • 발행 : 2011.06.30

초록

본 연구는 한국교육학 분야의 대표적인 두 학술지에 10년 동안 발표된 연구논문 913편을 대상으로 연도별 발표논문 수와 연구주제별 발표논문 경향, 연구행태, 연구자 및 공동연구자의 수와 소속, 연구방법, 연구비 지원유무 및 지원기금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교육행정과 고등교육 분야의 논문발표는 지속적으로 증가추세를 보이며, "교육학 연구"에서는 기초학문적인 연구가, 그리고 "한국교육"에서는 정책 연구가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 연구방법으로 문헌연구, 조사연구, 실험연구, 사례연구 등의 순서로 사용되었지만 실험연구가 널리 사용되는 연구방법임이 밝혀졌다. 연구수행 행태에서 67%의 연구가 단독연구이며, 85%의 연구가 교수와 연구원에 의해 수행되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실천적인 교육분야 연구, 국제지표와 현안에 대한 비교연구, 방법론의 정교화, 연구 분석단위의 다양화를 제언으로 제시하였다.

This research used content analysis to examine the research trends of two core journals from 2000 to 2009 in education. The analysis measured research subjects, research methods, research behaviors, numbers of author and co-authors' affiliations, and research funds. The results showed that research articles in educational administration and higher education have increased constantly, whereas research articles in other fields have decreased. Experimental research method was shown to be used widely along with documentary research and survey research method. Most researches were done by one author and each of them were affiliated to universities or research institutions. The research suggested practical educational research, comparative research on international issues and indexes, methodological elaboration, and use of various units of analysis for future studies.

키워드

참고문헌

  1. 김미정, 강인설. 2009. 보육 관련 학술지 논문의 연구경향 분석. 한국영유아보육학회지, 58: 263-286.
  2. 김민환. 2010. 다문화 교육에 관한 연구 경향과 과제. 학습자중심 교과교육연구, 10(1): 61-86.
  3. 한국교육개발원. 1983. 교육학 연구경향의 분석. 김승화 등. 연구보고서(RR1983-19).
  4. 김정자. 1990. 동시인용분석법을 이용한 교육학자 연구경향 분석.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5. 류청산. 2009. 교육학 분야 연구지원사업의 특성화 방안 연구. 한국학술진흥재단.
  6. 서정화. 2005. 한국교육정책 50년사 데이터베이스 구축연구: 연구동향 분석. 한국 교원교육연구, 22(2): 181-198.
  7. 신정철 등. 2008. 고등교육의 학문적 연구 동향 분석: 연구주제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교육, 35(3): 167-193.
  8. 이명희. 2009. 교육학분야 전문도서관에서 제공되는 디지털참고정보서비스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0(4): 51-65.
  9.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0. 한국교육60년: 성취와 과제. 이종재 등. 연구보고서(PRO 2009-8-1).
  10. 이홍우 등. 1997. 교육학개론. 교육과학사.
  11. 임형택. 1991. 한국교육과정 학문공동체의 학문 활동 분석연구. 박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12. 최은수 등. 2009. 한국성인교육학의 연구 동향과 과제: Andragogy Today'를 중심으로. Andragogy Today: Interdisciplinary Journal of Adult & Continuing Education, 12(4): 167-183.
  13. 한국교육개발원. 2010. 2010 교육통계분석자료집. 한국교육개발원.
  14. 황윤세, 최미숙. 2008. 유아교육평가에 관한 학술 논문의 연구경향 분석.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5(2): 107-133.
  15. Budd, J. 1990. "Higher Education Literature: Characteristics of Citation Patterns." Journal of Higher Education, 61(1): 84-97. https://doi.org/10.2307/1982036
  16. Emmons, N. J., et al. 1990. Statistical Methods used in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and "Sociology of Education" from 1972 through 1987. ERIC Document. ED319797.
  17. Engluand, T. 2006. "New Trends in Swedish Educational Research." Scandinavia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50(4): 383-396. https://doi.org/10.1080/00313830600823738
  18. Knudson, R. E., J. L. Theurer, and P. Boyd-Batstone. 2002. A Decade of Literacy Research in th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ERIC Document, ED482897.
  19. Hsu, Tse-chi. 2005. "Research Methods and Data Analysis Procedures Used by Educational Researchers." International Journal of Research & Method in Education, 28(2): 109-133. https://doi.org/10.1080/01406720500256194
  20. OECD. 2010. PISA 2009 Result: What Student Know and Can Do. OECD.
  21. Silverman, R. J. 1987. "How We Know What We Know: A Study of Higher Education Journal Articles." Review of Higher Education, 11(1): 39-59. https://doi.org/10.1353/rhe.1987.0007
  22. Tight, M. 2007. "Higher Education Research as Tribe, Territory and/or Community: A Co-citation Analysis." Higher Education, 55: 593-605.

피인용 문헌

  1. 수학교육연구 및 혼합 연구방법 동향 - 최근 10년간 발표된 국내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 vol.28, pp.3, 2011, https://doi.org/10.7468/jksmee.2014.28.3.3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