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s of the Emotional Suppression and Burnout on the Job Satisfaction among Physical Therapists

물리치료사의 정서억제와 직무탈진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 Bae, Won-Sik (Department of Physical Therapy, Sanggye Paik Hospital) ;
  • Lee, Geon-Cheol (Department of Physical Therapy, Kyungnam College University of Information & Technology) ;
  • Oh, Hye-Won (Department of Occupational Therapy, Woosuk University)
  • 배원식 (상계백병원 물리치료실) ;
  • 이건철 (경남정보대학교 물리치료학과) ;
  • 오혜원 (우석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Received : 2011.01.22
  • Accepted : 2011.04.14
  • Published : 2011.05.31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 of emotional suppression and burnout on the job satisfaction. Methods: We distributed questionnaires to 216 physical therapists and collected completed questionnaires from 193. We analyzed the data using frequency analysis, independent t-tests, analysis of variance. and multiple regression. Resul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were 62.7% male, 43.5% less 30 years old, 31.6% working over 10 years in the hospital. 27.1% participants treated 31 patients or more a day, most(85.5%) participants were regular staff members. 2) Emotional Suppression, exhaustion and diminished self-efficacy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on the job satisfaction, the job satisfaction negatively related with the diminished self-efficacy, exhaustion but positively related with the emotional supression. Their power of explanation regarding job satisfaction was 31.2%. Conclusion: These results showed that diminished self-efficacy was importantly influenced on the job satisfaction. So this result of the study means that we must improve the stratege for keeping efficient management.

Keywords

References

  1. 김광점, 정명숙. 감정노동과 상사와의 감성지능이 간호사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병원경영학회지. 2006;11(4):1-18.
  2. 김남수. 종합병원 응급실 의사와 간호사의 탈진(Burn-out) 요인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2.
  3. 김연희. 병원 종사자의 적응적 직무수행 관련 요인. 인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0.
  4. 김태우. 보험사 종업원의 고객지향성이 관계 질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5.
  5. 김희승, 김명자, 유소영 등. 가정전문간호사의 직접 간호업무 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 여성건강간호학회지. 2004;10(3):261-5.
  6. 문제강, 송보경, 황병용. 서울특별시 공공의료기관 물리치료사의 직무 만족도에 관한 조사연구. 대한물리치료학회지. 2010;22(2):61-8.
  7. 박선욱. 종합병원 물리치료사의 임파워먼트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인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0.
  8. 박재산. 병원 행정인력이 인지하는 조직 직무특성, 임파워먼트,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간의 관련성. 보건행정학회지. 2004;14(1):65-88.
  9. 박형숙, 강은희. 중환자실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대처에 관한 연구. 대한간호학회지. 2007;37(5):810-21.
  10. 신강현. 일반직 종사자를 위한 직무소진 척도(MBI-GS)에 대한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2003;16(3):1-17.
  11. 심재훈, 김윤신, 윤태영. 물리치료사의 임파워먼트와 직무만족, 직무몰입과의 관계.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2008;15(3):70-9.
  12. 안소윤, 김원중, 허영배. 물리치료사의 근무실태와 직무만족 및 직장애착. 대한물리치료학회지. 2002;14(4):253-64.
  13. 안준수. 호텔종사원의 감정노동이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대학원 논문집. 2003;31:154-74.
  14. 윤혜진, 이주은, 홍완수. 병원 영양사 소진과 직무만족요인 및 상관관계 연구. 대한영양사협회지. 2010;16(3):195-207.
  15. 이경희, 정병옥. 물리치료사의 전문직 자아개념과 직무만족과의 관계 연구. 대한물리치료학회지. 2009;21(3):109-18.
  16. 이명규. 부적 정서 조절 기법의 효과성 비교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0.
  17. 이은경. 정서억제와 주관적 안녕감: 문화비교.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009;23(1):131-46.
  18. 이현아, 이기학. 전문상담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요인과 직무만족도, 심리적 소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2009;6(1):83-102.
  19. 이혜련, 김봉환. 직업 상담원의 소진현상과 작업환경과의 관계. 한국 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004;16(4):597-611.
  20. 이형수, 송화경, 김한나 등. 전남동부지역 물리치료사의 근무환경 및 직무만족도 조사연구. 대한물리치료학회지. 2005;17(1):80-95.
  21. 최원주. 병원간호사의 성격과 감정조절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인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0.
  22. 허창구, 신강현, 양수현. 직장-가정 갈등이 직무탈진 및 가정만족에 미치는 영향: 성차에 따른 다집단분석. 한국심리학회지. 2010;15(1):103-28.
  23. Adelman PK. Emotional labor and emotional wellbeing.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Michigan, Ann Arbor. 1989.
  24. Cherness C. Staff burnout: Job stress in the human services. California. Sage Publications. 1987.
  25. Gross JJ, John OP. Individual difference in two emotion regulation processes: Implications for affect, relationships, and well-being. J Per Soc Psychol. 2003;85(2):348-62.
  26. Gross, JJ, Levenson RW. Hiding feeling: The acute effects of inhibiting negative and positive emotion. J Abnorml Psychol. 1997;106(1):95-103.
  27. Judge TA, Thoresen CJ, Bono JE et al. The job satisfaction-job performance relationship: A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review. Psychological Bulletin. 2001;127(3):376-407.
  28. Locke EA. The case of job satisfaction. In: Dunnete MD, eds, Handbook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Chicago, Rand Mcnall, 1976:45.
  29. Pine AM, Aronson E. Career Burnout: Causes and Cures. New York: Free Press, 1988.
  30. Schaufeli WB, Taris TW. The conceptualization and measurement ot burnout: Common ground and world apart. Work & Stress. 2005;19(3):256-62. https://doi.org/10.1080/02678370500385913
  31. Schaufeli WB, Enzmann D. The burnout companion to study and practice: A critical analysis. Philadelphia, PA. Taylor & Francis. 1998.
  32. Spector PE. Measurement of human service staff satisfaction: Development of the job satisfaction survey. Ame J Com Psychol. 1985;13(6):693-712. https://doi.org/10.1007/BF00929796
  33. Yoshimasu KY, Kodama H, Sasazuki S et al. Job strain, Type A behavior pattern, and the prevalence of coronary artherosclerosis in Japanese working men. J Psycho Res. 200;49(1):77-83. https://doi.org/10.1016/S0022-3999(00)0014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