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f relations between a teacher's nursery efficacy and multi-cultural nursery efficacy

교사의 보육효능감과 다문화 보육효능감과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 Received : 2010.11.15
  • Accepted : 2011.02.01
  • Published : 2011.03.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in analyzing factors related to a teacher's nursery efficacy. In order to achieve its purpose, a study includes investigation about levels of 748 teachers' interest and knowledge in a child nursery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eachers' efforts for understanding the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vailability of experience with a child care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 teacher's multi-cultural nursery efficacy and general nursery efficacy. As a result of investigation, a study found out that 4 factors (interest, knowledge, efforts, and experience) are related to nursery efficacy and the fact that a teacher's general nursery efficacy is highly associated with multi-cultural nursery efficacy. For this result, providing information about a child care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supporting general nursery efficacy play a critical role in supporting teachers' competency about a child care from multi-cultural families.

Keywords

References

  1. 구차순(2007). 결혼이주여성의 다문화가족 적응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20, 319-360.
  2. 김갑성(2006). 한국 내 다문화가정의 자녀교육 실태조사 연구, 서울교육대학교 대학원석사학위청구논문.
  3. 김경숙.공진희.이민경(2007). 교사를 통해 본 다문화 가정 유아 부모의 특성과 유치원 교육 참여에 대한 질적 연구, 특수아동교육연구, 9(4), 311-335.
  4. 김신영(2003). 유아교육 현장에서 예비 유아교사들이 인식한 교사들의 어려움, 유아교육연구, 23(2), 27-44.
  5. 김희선(2007). 다문화가족 지원 현황 분석, 한국민족연구원, 현대의 다문화가족, 50-86.
  6. 대통령자문 빈부격차 차별시정위원회(2006). 여성결혼이민자 가족의 사회통합 지원대책 확정, 혼혈인 및 이주자의 사회통합 지원방안. 제74회 국정과제회의.
  7. 통계청(2006). http://www.kostat.go.kr/
  8. 통계청(2009). http://www.kostat.go.kr/
  9. 문순영(2007). 현행법(안)을 통해 본 국제결혼 여성이주민을 위한 사회적 지원체계에 대한 탐색적 연구, 여성연구, 72(1), 109-142.
  10. 박미경.엄정애(2007). 결혼이민자 가정의 유아를 담당하는 교사가 느끼는 어려움, 한국교원교육연구, 24(1), 5-29.
  11. 신란희(2005). 국제결혼 여성의 가족, 일 그리고 정체성: 우즈베키스탄과 필리핀 여성의 생애사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인류학과 석사학위논문.
  12. 설동훈.김윤태.김현미.윤홍식.이혜경.임경택.정기선.주영수.한건수(2005). 국제결혼이주여성실태조사 및 보건복지 지원 정책방안, 보건복지부.
  13. 장안실(2003). 다문화교육이 한국교사교육과정 개혁에 주는 시사점, 교육과정연구, 21(3), 409-431.
  14. 정선희(1997). 다문화 교육에 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실태조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5. 정은희(2004). 농촌지역 국제결혼 가정 아동의 언어 발달과 언어 환경, 언어치료연구, 13(3), 33-52.
  16. 조영달(2006). 다문화 가정의 자녁육 실태 조사, 교육인적자원부 정책연구과제 2006-이슈-3.
  17. 지성애, 정대현, 김경숙, 김현주, 채영란, 김지예(2006). 유치원과 초등학교의 다문화교육 실태와 교사의 인식 비교, 유아교육학논집, 10(4), 351-369.
  18. 최금해(2005). 한국남성과 결혼한 중국 조선족 여성들의 한국에서의 적응기 생활체험과 사회복지서비스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15, 219-224.
  19. 양옥승.임승렬.박은혜.조부경(1997). 유아교사 양성대학 평가, 한국교사교육, 12(1), 30-56.
  20. 오성배(2005). 코시안(Kosian) 아동의 성장과 환경에 관한 사례연구, 한국교육, 32(3), 61-83.
  21. 오성배(2007). 국제 결혼 가정 자녀의 교육기회의 실태와 대안 모색, 인간 연구, 제12호.
  22. 윤형숙(2004). 국제결혼 배우자의 갈등과 적응, 한국사회학회.한국문화인류학회 공동연구, 한국의 소수자, 실태와 전망, 경기도: 한울 아카데미, 321-349.
  23. 이미혜(2004). 다문화 교육에 대한 유치원 교사와 아버지의 인식 및 교육 실제 비교,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임경혜(2004). 국제결혼 사례별로 나타난 가족 문제에 따른 사회복지적 대책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한석실(2007). 다문화시대 유아교사교육의 방향 모색,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4(1), 29-53.
  26. 현정환(2003). 보육실습이 예비보육교사의 보육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학회지, 24(6), 117-131.
  27. 현정환(2008). 보육시설이용 다문화 가정부모의 보육에 대한 기대 및 문제의식에 관한 연구, 한국보육학회지, 8(4), 31-47.
  28. 현정환(2010). 다문화 가정 유아 보육의 지원 전략 수립을 위한 기초적 연구, 한국아동학회지, 31(1), 235-248.
  29. Bandura, A. (1977).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84, 191-215.
  30. Bandura, A. (1986). Social foundations of thought and action: A social cognitive theory, Englewood Cliffs, NJ : Prentice-Hall.
  31. Brown, J. S., Collins, A., & Duguid, P. (1989). Situated cognition and the culture of learning, Educational Researcher, 18(1), 32-42 https://doi.org/10.3102/0013189X018001032
  32. Gollnick, D. M., & Chinn, P. C. (1994). Multicultural education in a pluralistic society (4th ed.), New York: Merrill.
  33. Guyton, E. M. & Wesche, M. V.(2005). "The Multicultural efficacy Scale: Development, Item Selection, and Reliability", Multicultural Perspective, 7(4), 21-29. https://doi.org/10.1207/s15327892mcp0704_4
  34. Korthagen, F. A. J. (2001). Linking Practice and theory: The pedagogy of realistic teacher education,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Seattle, WA.
  35. Ramsey, P.G.(1982). Multicultural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In Jensen, M.A. and Chevalier, Z.W.(Ed.). Issues and advocacy in early childhood, New York: Teachers College Press.
  36. Seefeldt, C.(2005).Social studies for the preschool/primary child, New Jersey: Pearson Merrill Prentice Hall.
  37. 鎌桶雅彦, 桶口辰, 淸水直治(1982). Locus of Control 尺度の作成と信賴性, 妥當性の檢討, 敎育 心理學硏究, 30, 38-43.
  38. 三木知子, 櫻井茂男(1998). 保育專攻短大性の保育者效力感に及ぼす敎育實習の影響, 日本敎育心理學硏究, 46, 203-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