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Improvement of GPS Relative Positioning Accuracy by Using Crustal Deformation Model in the Korean Peninsula

GPS상대측위 정확도 향상을 위한 한반도 지각변동모델 개발

  • 조재명 (성균관대학교 건설환경시스템공학과) ;
  • 윤홍식 (성균관대학교 사회환경시스템공학과) ;
  • 이미란 (성균관대학교 건설환경시스템공학과)
  • Received : 2011.04.19
  • Accepted : 2011.06.21
  • Published : 2011.06.30

Abstract

As of 2011, 72 Permanent GPS Stations are installed to control DGPS reference points by the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in South Korea. As the center of the Earth's mass continues to move, the coordinates of the permanent GPS stations become inconsistent over time. Thus, a reference frame using a set of coordinates and their velocities of a global network of stations at a specific period has been used to solve the inconsistency. However, the relative movement of the permanent GPS stations can lower the accuracy of GPS relative positioning. In this research, we first analyzed the data collected daily during the past 30 months at the 40 permanent GPS stations within South Korea and the 5 IGS permanent GPS stations around the Korean Peninsula using a global network adjustment. We then calculated the absolute and relative amount of movement of the GPS permanent stations. We also identified the optimum renewal period of the permanent GPS stations considering the accuracy of relative GPS surveying. Finally, we developed a Korean a Korean crustal movement model that can be used to improvement of accuracy.

우리나라의 GPS상시관측소는 1995년 국토지리정보원내에 최초로 설치된 이후, 2011년 현재 72개가 측량과 항법의 기준점으로 설치되어 활용되고 있다. GPS의 기준좌표계는 지심좌표계로써 그 중심은 1년에 약 1mm내외로 극히 작지만 끊임없이 움직이고 있기 때문에 특정 시간에 고정된 좌표계와 GPS데이터로써 그 좌표를 설정하고 있다. 한 국가 내에서 측량과 지도제작 목적으로 사용되는 GPS상시관측소는 상대적인 측량의 기준이기 때문에 국가적인 규약에 따라서 특정 시간대의 좌표계를 설정하여 사용하는 것이 혼란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지심의 변화가 아닌 지각변동에 의한 GPS상시관측소간 기선의 상대적인 변화는 GPS상대측위의 정확도를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 우리나라는 비교적 안정된 지각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판단되어 왔기 때문에 지각변동에 따른 국가 기준점의 성과 갱신을 고려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GPS상시관측소 중 40개와 우리나라 주변의 국제 GPS상시관측소 5개를 선정하여 30개월간의 일별 GPS 데이터에 대하여 정밀기선해석을 실시하고, 전세계 130개 IGS GPS상시관측소망과 결합 조정함으로써 우리나라 GPS상시관측소의 연간 변동량을 계산하였다. 이로부터 우리나라 지각변동량의 특성을 분석하고 GPS상시관측소 사이의 상대적인 변동량을 계산하여 GPS상대측위의 기준점 역할수행을 위한 GPS상시관측소의 성과갱신 주기를 분석하고 정밀 GPS상대측위를 위한 한반도 지각변동모델은 개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박관동 (2007), 한반도 지각변동 연구, 발간등록번호 1-1500714-000054-01, 국토해양부 국토지리정보원.
  2. 박필호, 최위찬, 안용원, 임형철, 박종욱, 조정호 (2001), 남한 지역 GPS 지각속도와 신기지구조의 예비적 해석, 한국지질학회지, 제37권, 제3호, pp. 455-464.
  3. 송동섭, 윤홍식 (2006), GPS로 추정한 지각변동 속도 및 판거동 모델과의 비교, 대한토목학회지, 제26권, 제5D호, pp. 877-884.
  4. 윤홍식 (2000), 지각변동 파라메터의 정밀계산을 위한 2차원 필터링 기법의 적용, 한국측량학회지, 제18권, 제1호, pp. 75-83.
  5. 윤홍식 (2000), 최소자승 스펙트럼 분석을 통한 GPS 상시 관측소의 안정성 평가, 한국측량학회지, 제18권, 제4호, pp. 379-386.
  6. 윤홍식, 황진상 (2002), 초장기선 해석을 위한 GPS데이터 처리 소프트웨어의 위치 결정 알고리즘 비교, 대한토목학회지, 제22권, 제3-D호, pp. 571-582.
  7. 조재명 (2005), GPS상시관측소 데이터의 정밀해석 및 한반도 지각변동량 추정, 박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pp. 76-121.
  8. Choi, J. H. and Sato, H. (1997), Horizontal Strain of the Crust in Korea inferred from Geodetic Data, Journal of Geodetic Data, Journal of Geodetic Society of Japan, Vol. 43, No. 3, pp. 159-180.
  9. King, R. W. and Bock, Y. (2003) Documentation for the GAMIT GPS Analysis Software, release 10.1, MIT, Cambridge.
  10. Leick, A. (2004), GPS Satellite Surveying, 3rd ed., John Wiley & Sons, Inc., pp. 13-15.

Cited by

  1. Long-Term GNSS Analysis for Local Geodetic Datum After 2011 Tohoku Earthquake vol.71, pp.01, 2018, https://doi.org/10.1017/S0373463317000595
  2. GPS 정밀단독측위 성과의 보정을 위한 기준시점 조정모델 개발 vol.30, pp.3, 2011, https://doi.org/10.7848/ksgpc.2012.30.3.249
  3. Long-term analysis of tropospheric delay and ambiguity resolution rate of GPS data vol.30, pp.6, 2012, https://doi.org/10.7848/ksgpc.2012.30.6-2.673
  4. Estimation of the Crustal Deformation Caused by Earthquake and Its Use in Updating Published Coordinates of Geodetic Control Points - A Case Study of the 2011 Tohoku Earthquake’s Impact in Sout vol.33, pp.6, 2015, https://doi.org/10.7848/ksgpc.2015.33.6.485
  5. GNSS 자료처리 S/W에 따른 정확도 분석 vol.19, pp.6, 2011, https://doi.org/10.5762/kais.2018.19.6.628
  6. GNSS를 활용한 한반도 동남권 지역의 지각 변동 파라미터 분석 vol.38, pp.6, 2011, https://doi.org/10.7848/ksgpc.2020.38.6.697
  7. Decaying Post-Seismic Deformation Observed on the Korean Peninsula Following the 2011 Tohoku-Oki Earthquake vol.21, pp.13, 2021, https://doi.org/10.3390/s211344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