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 of e-PBL based Scientific Writing Program for the Science Gifted Children on Creativity and Scientific Attitude

e-PBL을 활용한 과학 독서 논술 프로그램이 초등과학영재의 창의성 및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 Received : 2011.04.17
  • Accepted : 2011.04.28
  • Published : 2011.04.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science gifted children's creativity and scientific attitude development by e-PBL based scientific writing program. This program is composed of 4 instructions (13 hours), and its learning contents are made up to guide reading the related science books and understanding the contents through mind map to find out a solution by themselves, also, making an independent problem into group issue and setting up the plan for solution through small group cooperative learning, finally, performing activities like writing, presentation, evaluation and discussion according to the plan for solution. To examine the effect of creativity and scientific attitude by the program, 40 students of elementary science gifted children group in the Busa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were selected for an experimental group. The review result is that, Firstly, the program affected positively creativity improvement of elementary science gifted children, Secondly, the program affects positively scientific attitude improvement of them as well. In conclusion, the program affects positively their creativity and scientific attitude.

Keywords

References

  1. 강인애(1998). 문제중심학습(Problem-Based Learning): 또 하나의 구성주의적 교수 학습 모형. 구성주의 교육학. 서울: 교육과학사.
  2. 김득호, 강경희, 박현주(2009). 과학영재교육원 운영에 대한 서울시과학영재교육원 교사들의 고려사항.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9(1), 90-105.
  3. 김미숙, 서혜애(2005). 영재교육 강화 사업성과 지표 평가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4. 김미숙, 전미란(2005). 영재의 리더십 육성을 위한 기초연구 및 프로그램 개발 I: 영재 리더십의 사회적 기대와 구성요인 분석.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5. 김현정, 김상달, 이상균(2009). 고등학교 지구과학 수업에서 e-PBL의 효과.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2(1), 23-32.
  6. 권치순(2005). 초등과학 영재교육의 방향과 과제. 과학교육, 24(2), 192-201.
  7. 문종성(2008). 초등 과학영재의 창의력 신장을 위한 과학수사 PBL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한국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박문영, 이면우(2007). 과학자를 소재로 한 초등과학영재 프로그램 개발. 초등과학교육, 25(5), 507-521.
  9. 박영관(2009). e-PBL을 활용한 과학수업이 초등학생의 과학적 창의력 및 정의적 성향에 미치는 영향.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서혜애, 손현아, 김경진(2003). 영재 교육 기관 교수-학습 실태 분석.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
  11. 우종옥, 강심원, 김승훈(2003). 창의적인 교사, 창의적인 학생, 창의력 교육 연구, 6(2), 5-31.
  12. 이경화(2009). SIGT 프로그램을 통해 살펴본 영재 창의성 교육프로그램의 특성과 전망. 영재와 영재교육, 8(2). 31-51.
  13. 이경숙(2004). 초등학교에서 활용 가능한 과학 영재 판별 도구 개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이용섭, 이순연, 김대성, 정상영, 백호정, 조용남, 김묘정(2010). 초등학교 과학과의 자유탐구를 위한 PBL의 이론과 적용. 부산 : 으뜸출판사.
  15. 이은경(2010). 과학 영재들의 문제해결과정에서 나타나는 탐구적 글쓰기 및 언어적 상호작용의 특성에 대한 사례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6. 조연순(2006). 문제중심학습의 이론과 실제. 서울 : 학지사.
  17. 최은열, 문성환(2010). 초등학생의 창의성 신장을 위한 PBL 기반 과학영재프로그램 개발. 교과 교육연구, 14(2), 411-431.
  18. Barrows, H. & Myers, A.(1993). Problem based learning in secondary schools. Unpublished monograph. Springfield, II. : Problem Based Learning Institute ,Lanphier High school, and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Medical School.
  19. Barrows, H. S. (1994). The tutorial process. Springfield, IL: Southen Illinois Unversity School of Medicine.
  20. Barrows, H. S., & Tarnblyn, R. M.(1980). Problem-based learning; An approach to medical education. NY; Springer Publishing Company.
  21. Delisle, R.(1997). How to use problem-based learning in the classroom. Alexandria, IV: ASCD.
  22. IMSA(2001).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problem-based learing and other instructional approaches?[Online] Available:https://www3.imsa.edu/.
  23. Mayer, R. E.(1999). Problem solving. In Runco, M.A. & Pritzker, S. R. (Ed). Encylopedia of Creatibity (pp. 295-300). CA: Academic Press.
  24. Wheatley. G. H.(1989). Instructional Methods for the Gifted. In Excellence In Educationg. The Gif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