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간검지체계 도입을 통한 교통검지체계 설치기준 연구

A Study on Optimal Traffic Detection Systems by Introduction of Section Detection System

  • 김낙주 (한국도로공사 해외사업처) ;
  • 이승준 (한국도로공사 도로교통연구원) ;
  • 오세창 (아주대학교 건설교통공학과) ;
  • 손영태 (명지대학교 교통공학과)
  • 투고 : 2011.05.12
  • 심사 : 2011.06.08
  • 발행 : 2011.06.30

초록

교통검지체계는 도로상에서 교통자료 및 정보수집체계로 이해될 수 있는데, 이는 도로 상에서 교통량, 속도 및 점유율 정보를 수집하여 현 상태에서 도로상의 교통소통정보 즉, 혼잡 또는 비혼잡 등의 교통류상태, 또한 이보다 더 구체적인 내용으로서 LOS A~F로 표현되어지는 교통류 상태의 질 등을 파악하여 현 교통체계가 문제가 있는지 없는지에 관한 판단, 그리고 문제가 있다면 어느 지점(또는 구간)이 문제가 있는지, 그리고 문제의 원인은 무엇인지, 문제로 인해 발생되고 파급된 영향은 어느 정도인지, 또한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은 무엇인지 찾고자하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체계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지점검지체계가 주를 이루고 있는 현재의 교통검지체계는 많은 한계점을 지니고 있으며, 이의 보완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구간검지체계의 이론적 구조 검토, 현장조사를 통한 검지체계별 자료특성 비교, 그리고 최적 구간검지간격 결정을 위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교통정책, 교통관리 및 이용자서비스 측면의 기능강화를 위해 기존 검지체계의 보완을 위한 새로운 교통검지체계 설치기준을 제시하였다.

A traffic detection system can be deemed as a traffic data and information collection system to serve traffic policies, traffic management, and user services. The system plays a crucial role in verifying whether or not the current traffic system has issues or problems by checking out traffic data. In addition, the system does so in finding out a point or a section where an issue or a problem has occurred, if any, and in examining the causes of the issue or problem, the extent of its impact that has occurred and spread, and a method for resolving it. However, the existing point detection system of Korea has too many flaws. In order to fix the flaws, in this paper, the theoretical characteristics of the section detection system were researched in relation to the calculation of travel time. In addition, the travel time of probe cars was obtained by field survey, and it was compared to that of spot and section detection data. Then, simulation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optimal section detection interval. In conclusion, introduction of optimal section detection system was examined in order to achieve the advanced road management including traffic policy, traffic management, and user services.

키워드

참고문헌

  1. 한국도로공사, 지능형 고속도로 운영관리기준 수립(고속도로 FTMS 구축편람 수립연구), 2000.
  2. 한국도로공사, DSRC를 활용한 도로교통정보 검지시스템 실용화 기술개발, 2008. 8.
  3. T. Choe, A. Skabardonis and P. Varaiya, "Freeway perfomance measurement system : operational analysis tool,"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1811, pp.67-75, November 2002. https://doi.org/10.3141/1811-08
  4. SwRI, "Automatic vehicle identification model development initiative system design document, report prepared for transguide," Texas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Southwest Research Institute, San Antonio, TX, 1998.
  5. 한국도로공사, ITS 기술개발 연구(IV) 고속도로 통행시간 예측시스템 개발, 2000. 12.
  6. 강진기, 손영태, 윤여환, 변상철, "비매설식 자동차량인식장치를 이용한 구간교통정보 산출 방법 연구," 한국ITS학회논문지, 제1권, 제1호, pp.22-32, 2002. 12.
  7. F. Dion and H. Rakha, "Estimating spatial travel times using automatic vehicle identification data," TRB 82th Annual meeting CD-ROM, Washington D.C.
  8. 김남선, 이승환, 오영태, "신경망을 이용한 고속도로 여행시간 추정 및 예측모형 개발," 대한교통학회지 논문지, 제18권, 제1호, pp.47-59, 2000. 2.
  9. 이의은, 김정현, "시간처짐현상을 고려한 장거리구간 통행시간 예측모형 개발," 대한교통학회지, 제20권, 제4호, pp.51-61, 2002. 8.
  10. 김재진, "통행시간 정보 제공을 위한 구간 데이터 수집체계의 최적설계 및 운영(연속류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6.
  11. B.J. Gajewski, S.M. Turner, W.L. Eisele and C.H. Spiegelman, "ITS Data Archiving: Statistical Technique for determinig Optimal Aggregation widths for Inductive Loop Detector Speed Data,"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1719, pp.85-93, October 2000. https://doi.org/10.3141/1719-11
  12. 유소영, 노정현, 박동주, "통행시간 추정 및 예측을 위한 루프 검지기 자료의 최적집계 간격 결정," 대한교통학회지, 제22권, 제6호, pp.109-118, 2004. 12
  13. A. Tarko and N.M. Rouphail, "Travel Time Data Fusionin Advance," ASCE Thir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pplications of Advanced Technologies in Transportaion Engineering, Washington D.C., pp.36-42, 1993.
  14. 이현재, "VDS 와 AVI 기반의 최적 통행시간 추정모형 개발," 아주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