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UCC 뉴미디어아트에 나타난 소통미학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mmunicative Aesthetics in UCC New Media Art

  • 김일권 (전남대학교 시각정보디자인학과) ;
  • 서용덕 (서강대학교 영상대학원)
  • 투고 : 2010.11.25
  • 심사 : 2011.02.09
  • 발행 : 2011.02.28

초록

오늘날 디지털미디어와 인터넷의 발달로 새로운 사회 문화적 영역이 만들어지고 있다. 특히 디지털 편집장비를 이용하여 개인적인 영상 및 콘텐츠를 인터넷상에서 활용 및 전달하고자하는 UCC는 이 시대의 새로운 문화 영역 중 하나이다. 본 논문은 새로운 디지털미디어 시대의 컨텐츠와 사용자와의 관계에서 소통 미학적 연구를 시도함으로서 UCC의 예술로서의 가치, 문화적 가능성과 아울러 미디어 커뮤니케이션의 기능에 나타난 문화적, 예술적, 차원에서 시지각적 의미와 분석을 고찰하고, 개인을 넘어 공동체의 자기표현 과정 등의 구조까지 이해하며 서로 상호 소통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디지털 네트워크의 단편적인 면, 종합적인 면, 등을 고려하여 자유문화의 실현이 어떻게 가능한지, 무분별하게 복제되고, 양산되는 UCC 컨텐츠 내에서의 질적 발전을 열어나가는 의미와 구조를 분석함으로서 UCC 문화 발전에 기여하는 발전방향을 제시하였다.

Today the new social and cultural area is generated by development of digital media and internet. Especially UCC is the new cultural area of this time, UCC is applicated and delivered the individual image and contents by digital equipment. This research tried to study the communication esthetics with the relation of a user. And it study about the function of the media communication, the cultural possibility, the value by art of UCC. From now I have not to see the UCC media technology the level of technical limit and we see it variously the level of cultural and artistic. I study the meaning of them and try the analysis. And I will study about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individual and the community. And I will study also the short aspect and the synthesize aspect of digital network, and how possible the realization of free culture. And I will analyse the meaning and system of UCC contents that product and copy today and then I will suggest that contribute the UCC culture development.

키워드

참고문헌

  1. 오세근, "웹 2.0 경제와 동영상 기반의 UCC 패러다임", 주간기술동향, 1285호, 정보통신연구진흥원, 2007,
  2. 김영석, 디지털 미디어와 사회, 나남, 1999.
  3. 강장묵, UCC 나비와 유비쿼터스 태풍, 커뮤니케이션붘스(주), 2008.
  4. http://www.hani.co.kr/arti/culture/religion/207267.htm
  5. 최혜실, 방송통신 융합시대 문화예술의 진화, 나남출판사, 2006.
  6. 황지연, 성지환, "융합시대 사회문화 트렌드와 UCC 활용전망", 정보통신정책, 401호, pp. 26-55. 2006,
  7. 앤드류 샤피로,"테크놀러지와 통제혁명", 김명준 역, pp. 49, 커뮤니케이션북스, 2001.
  8. 성지환, 황지연, "융합시대 사회문화 트렌드와 UCC 활용전망", 정보통신정책, 401호. pp. 50 2006 .
  9. 윤준수, 인터넷과 커뮤니케이션 패러다임의 대전환, 커뮤니케이션북스, 1998.
  10. 로렌스 레식, 자유문화 인터넷 시대의 창작과 저작권 문제, 이주명 옮김, 필맥, 2005.
  11. 김영한, You, UCC, 랜덤하우스, 2007.
  12. 김인자, 적응심리, 정민사, 1984.
  13. 오세인, 영상매체란 무엇인가, 커뮤니케이션북스, 2004.
  14. 유선실, "국내 UCC 시장 현황", 정보통신정책, , 제 19권 15호, pp. 36-39, 2007.
  15. 차배근, 매스커뮤니케이션 효과이론, 나남, 1986.
  16. 발터 벤야민, 문예이론, 반성안 역, 민음사, 2006
  17. 오연호, 상호작용성의 두차원과 인터넷저널리스트의 변천, 커뮤니케이션이론 Vol. 2,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