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스마트폰을 통한 대국민커뮤니케이션 수용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cceptance of Communication for People through Smart Phone

  • 투고 : 2011.06.13
  • 심사 : 2011.08.12
  • 발행 : 2011.08.31

초록

본 연구는 스마트폰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스마트폰이 정부정책을 국민들에게 전달할 수 있는 수단으로 상정하고 그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를 간략하게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스마트폰의 서비스품질인 이동성은 스마트폰을 활용한 정부정책 전달에 대한 태도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개인적합성은 정부정책 전달에 대한 인식도나 유용성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스마트폰 유용성은 정부정책 전달에 대한 유용성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둘째, 스마트폰의 시스템품질인 사용용이성은 정부정책 전달에 대한 인식도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보안성은 정부정책 전달에 대한 인식도와 유용성, 그리고 태도에 부적 영향을 미쳤다. 서비스연결성은 정부정책 전달에 대한 인식도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스마트폰을 활용한 정부정책 전달에 대한 유용성 및 태도는 스마트폰을 활용한 정부정책 전달에 대한 수용의도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to examined the acceptance of communication for people through smart phone focused users of smart phon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smart phone's mobility influenced positively on attitude toward the transmission of government policy. smart phone's personal appropriateness influenced positively on awareness toward the transmission of government policy and usefulness toward the transmission of government policy. And smart phone's usefulness influenced positively on usefulness toward the transmission of government policy. Second, smart phone's ease of use influenced positively on awareness toward the transmission of government policy. smart phone's security influenced negatively on awareness, usefulness, attitude toward the transmission of government policy. smart phone's connectivity influenced positively on awareness toward the transmission of government policy. Third, usefulness and attitude toward the transmission of government policy through smart phone influenced positively on acceptance intention.

키워드

참고문헌

  1. 이성호, "스마트폰과 위치기반서비스를 활용한 서비스산업 혁신전략," SERI 경영노트, 62호, pp. 1-12, 2010.
  2. 권기덕, "스마트폰이 열어가는 미래," CEO Information, 741호, pp. 1-22, 2010.
  3. 김수연, 이상훈, 황현석, "스마트폰 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Entrue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10권, 1호, pp. 29-39, 2011. https://doi.org/10.3923/itj.2011.29.39
  4. 김정기, "청소년과 성인집단의 휴대전화 이용 특성 비교," 한국언론학보, 49권, 3호, pp. 262-290, 2005.
  5. 이용일, "스마트폰 유통에 따른 대학생의 기술 수용의도 및 만족에 관한 연구," 유통경영학회지, 13권, 5호, pp. 93-110, 2010.
  6. 이태민, 전종근, "유비쿼터스 접속성과 상황기반 제공성이 모바일 상거래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경영학연구, 33권, 4호, pp. 1043-1071, 2004.
  7. 진동욱, "모바일 인터넷 서비스 수용의 영향요인에 관한 실증적 연구," 광운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7.
  8. 윤승욱,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수용과 기대가치에 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3.
  9. 이수인, "공보커뮤니케이션의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10. Davis, F. D.,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and user accepta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MIS Quarterly, Vol. 13, pp. 319-340, 1989. https://doi.org/10.2307/249008
  11. Davis, F. D., Bagozzi, R. P., & Warshaw, P. R., "User acceptance of computer technology: A comparison of two theoretical models," Management Science, Vol. 35, pp. 982-1003, 1989. https://doi.org/10.1287/mnsc.35.8.9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