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베트남전쟁 메모리얼에 나타난 기념문화

A Study on Commemoration Culture of Vietnam War Memorials in Vietnam

  • Lee, Sang-Suk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University of Seoul)
  • 투고 : 2011.03.03
  • 심사 : 2011.05.09
  • 발행 : 2011.06.30

초록

본 연구는 베트남에 있는 베트남전쟁 메모리얼을 대상으로 메모리얼의 유형적 특성, 설계개념 및 내러티브, 입지 및 공간적 특성, 도입요소의 특성, 조경디테일에 나타난 표현 내용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하여 베트남전쟁 메모리얼에 나타난 기념문화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오랜 전쟁으로 인해 베트남전쟁 메모리얼은 군인묘지, 전적지, 전쟁박물관, 비극적 장소, 평화공원 등 10가지 유형으로 다양하게 나타났으며, 이중에서 전통적 양식에 근거한 군인묘지, 장소성을 강조한 전적지와 비극적 장소, 전쟁 승리와 잔혹함을 표현한 전쟁박물관, 평화공원이 특징적인 유형으로 나다났다. 2. 메모리얼에 나타난 주요한 설계개념 및 내러티브는 희생자 추모, 국가에 헌신, 전쟁승리와 저항, 장소적 기념성으로 나타났으며, 국제적인 민간단체의 협력에 의해 만들어진 미라이 평화공원(My Lai Peace Park) 및 한-베 평화공원(Han-Viet Hoa Binh Cong Vien)에서 비극적 사건을 극복하고 평화를 도모하는 개념을 적용하였다. 3. 메모리얼은 비무장지대(Demilitarized Zone: DMZ) 및 전쟁 루트였던 호치민 트레일(Ho Chi Minh Trail), 그리고 베트남을 남북으로 연결하는 주요한 도로인 A1 국도 주변에 위치하고 있으며, 이 밖에 하노이 및 호치민 등 도시에 전쟁박물관 및 모뉴멘트가 조성되었다. 묘지 및 추모 메모리얼에서는 문과 기념탑(또는 제단)을 연결하는 축을 중심으로, 좌우에 묘역이 배치되는 전통적 공간체계를 따랐으며, 전적지 및 비극적 장소에서는 장소성에 지나치게 의존하여 설계를 통한 특정적인 공간 형태보다는 상징적 요소를 도입하여 기념성을 구현하였다. 4. 기념조각 및 기념탑은 베트남 사회주의공화국의 대표적 양식으로 전쟁승리 및 저항정선을 표현하기 위해 보편적으로 사용되었고, 포획한 무기를 전시하고 박물관에 사진 및 모형 등 자료를 전시하여 전쟁의 긴장감과 리얼리티를 보여주고 있으며, 유교 및 불교 등 전통문화에 근거한 상징요소를 도입하여 추모감을 높였다. 5. 기념조각이나 기념벽에 그림을 그리거나 사진을 이용한 사실적 표현을 강조하였다. 또한 상징적 문구로서 자주 사용되고 있는 'TO-QUOC-GHI-CONG 토국기공(士-國-記-功)'에서 전사자의 업적과 국가적 관심을 나타냈으며, 이와 반대로'Quagmire'는 미군 참전용사들이 베트남에서 겪은 혼란스럽고 어려운 전투 상황과 베트남전쟁에 대한 미국사회의 혼돈을 묘사하는 정치사회적인 메타포(metaphor)로서 사용되었다. 베트남전쟁 메모리얼에는 민족주의, 애국주의, 사회주의, 자본주의 등 다양한 이데올로기가 복합되어 있고, 유교 불교 도교 음양오행사상이 잘 나타났다. 한편, 유교적 전통에도 불구하고 베트남전쟁에서 영웅적 여성의 모습을 강조하였으며, 일부 메모리얼에서 베트남전쟁에 대한 국내 외적 갈등이 내포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하여 향후 미국에 있는 베트남전쟁 메모리얼의 설계특성을 연구하여 전쟁에 대한 인식 및 기념문화적 특성에 대한 비교연구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ommemoration culture of Vietnam War Memorials (VWM) in Vietnam. Through site survey, the researcher selected 23 VWM in Vietnam and analyzed 5 categories: memorial type, design concept and narratives, location and spatial form, landscape elements, and content expressed in landscape details.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Because of the long, drawn out Vietnam War, which lasted from 1955 to 1975, VWM were divided into 10 types mainly as soldier cemeteries based on a traditional memorial style, battlefields and places of tragedies considering sense of place, war museums representing victory and atrocity in war, and peace parks promoting reconciliation and peacemaking. 2. The analysis revealed that the main concepts and narratives of VWM were to value the victims of the Vietnam War, remember soldiers' contributions, highlight the victory in war and resistance to the United States, and express a sense of place. Peacemaking applied only to My Lai Peace Park and Han-Viet Hoa Binh Cong Vien, built by international cooperation. 3. Cemeteries and appreciation memorials were designed to follow a traditional memorial space form that highly regard both axis and symmetry. The design concept at battlefields and places where tragedies occurred depended mainly upon a sense of place and used symbolic landscape elements to compensate for the undefined concept. 4. Sculptures and towers were mainly used to highlight war victory and resistance as the representative style of a Socialist country, weapons and pictures exhibited in war museums and battlefield showed the reality and strain of war. Symbolic elements of Buddhism and Confucianism were often introduced as a way to venerate the memory of deceased persons. 5. The state and heroic actions in the Vietnam War were realistically depicted on sculptures and walls. Also, the symbolic phrase, 'TO-QUOC-GUI-CONG' meaning 'our country remember your achievement', were written on the memorial tower and 'Quagmiire' was used to metaphorically represent the difficulties faced by the U.S. military on battlefields during the war and the uncertainly that pervaded U.S. society in those days. 6. In VWM, ideologies like nationalism, patriotism, socialism, capitalism were mixed and traditional cultures like Buddhism, Confucianism, Taoism were inherent. Differing from their Confucianism culture, war heroes, particularly including women, were often described by sculpture, monument, and pictures and the conflict in and outside the country regarding the Vietnam War was shown. Further study will be required to analyze design characteristics of VWM in the u.s. and to understand the difference in commemoration cultures between Vietnam and the U.S.

키워드

참고문헌

  1. 이상석(2005) 경관, 조형 & 디자인. 서울:일조각. pp.86-87.
  2. 이상석(2009) USS애리조나 메모리얼과 히로시마 평화기념공원. 환경과 조경 (254):142-151
  3. 이상석(2010a) 6․25전쟁 기념공간에 나타난 기념적 표현.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8(2):98-108.
  4. 이상석(2010b) 한국전쟁 메모리얼의 설계요소에 나타난 기념성. 한국조경학회지 38(1):12-24.
  5. 고경태(2006.3.21) 아시아, 그 결정판!. 한겨레 21제601호.
  6. Bleakney, Julia(2006) Revisiting Vietnam(Memoirs, Memorials, Museums). New York: Routledge
  7. Bodnar, John(2001) Forward. In Tam Ho Taieds., The Country of Memory. Berkeley, Los Angeles, London: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pp. ix-xi
  8. Gills, John R. (1994) Commemorations (The Politics of National Identity). Princeton(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9. Jorgensen, Karsten(1998) Semiotics in landscape design. Landscape Review 4(1):39-47.
  10. Mayo, James M.(1988) War Memorials as Political. Landscape New York: Praege
  11. Nguyen, Ba Dang, Vu Phuong Nguyen, and Hoang Van Ta(2010) Traditional Vietnamese Architecture. HaNoi: The Gioi Publishers
  12. Potteiger, Matthew and Jamie Purinton(1998) Landscape Narratives. New York: John Wiley & Sons.
  13. Quang Ngai Vestige Sites Management Board(2009) A Look Back Upon Son My. Quy Nnon: Tang Bat Ho TP.
  14. Tam Ho Tai(2001) Faces of Remembrance and Forgetting. In Tam Ho Taieds., The Country of Memory. Berkeley, Los Angeles, London: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pp.167-195.
  15. Tam Ho Tai(2001) Introduction: Situating memory. In Tam Ho Tai eds., The Country of Memory. Berkeley, Los Angeles, London: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pp.1-21
  16. Yoshimura, Valerie Nao(1997). Ruin & Reunions, Planes & Cranes: National Identity and World War II Memorials in France, Japan, and the United States. Kyoto and Tokyo: The 49th Annual Japan-America Student Conference 1-26.
  17. Wagner-Pacifici, Rovin and Barry Schwartx(1991) The Vietnam Veteran Memorial: Commemorating a difficult past. The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97(2):376-420. https://doi.org/10.1086/229783
  18. Whittick, Arnold(1961) Symbols Signs and the irmeaning. Massachusetts: Charles T. Bran ford Company.
  19. http://ko.wikipedia.org/wiki/베트남_전쟁
  20. http://peace.maripo.com/x_pacific.htm
  21. http://travel.webshots.com/photo/2780540260040368265VHTUVR?oldest=true
  22. http://www.mylaipeacepark.org/peacepark_mylai.lasso
  23. http://zine.media.daum.net/h21/view.html?cateid=3000&newsid= 20060321110710965&p=hani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