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roduction of Globally Harmonized System for Agrochemical Products

농약제품을 위한 GHS 제도 도입

  • 정상희 (호서대학교 안전성평가센터) ;
  • 박철범 (호서대학교 안전성평가센터) ;
  • 한범석 (호서대학교 안전성평가센터) ;
  • 강창수 (호서대학교 안전성평가센터) ;
  • 정미혜 (국립농업과학원 농자재평가과) ;
  • 성하정 (호서대학교 안전성평가센터)
  • Received : 2011.06.01
  • Accepted : 2011.06.20
  • Published : 2011.06.30

Abstract

The use of chemical products to enhance and improve life is a widespread worldwide practice. In spite of the benefits of these products, there is the potential of chemicals for adverse effects to people or the environment. The globally harmonized system (GHS) of classifying and labeling chemicals that was recommended by the United Nations in 2003, has been introduced globally since 2008. Compare to the classification criteria of agricultural formulations today, classification criteria of GHS is different partly. One pictogram is removed and 3 pictograms are introduced newly. The classification criteria of GHS will be changed preferentially and implemented gradationally to hazard products.

인류 생활 수준의 증진 및 향상을 위해 화학제품의 사용이 세계적으로 널리 확대 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화학제품은 많은 이점을 가지고 있는 반면에 사람과 환경 약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어서, 안전한 사용을 위한 제도를 각국에서 시행하고 있다. 2003년 UN에서 권고된 화학물질의 분류기준과 표시방법을 전세계적으로 통일하기 위한 GHS는 2008년부터 각국에서 도입하도록 권고되었다. 기존의 농약분류체계와 표시방법과 가장 많이 달라지는 것은 물질분류기준이다. 그리고, 그림문자가 표시방법이 정사각형에서 마름모형으로 변화되었고, 3종이 추가되고 1종이 폐지되었다. 따라서, 기존의 농약분류 및 표시제도와 GHS를 면밀한 비교평가와 선진국의 도입방향의 조사를 바탕으로, 우선적으로 물질분류기준변경을 하면서 유독성제품부터 부분적으로 시행하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Garcia, E.G., M.A., Bussacos and F.M. Fischer (2008) Harmonization and toxicological classification of pesticides in 1992 in Brazil and the need to foresee the impacts from the forthcoming introduction of GHS, Cien Saude Colet, 13 Suppl 2:2279-2287. https://doi.org/10.1590/S1413-81232008000900032
  2. Groot R., P. Brekelmans, J. Herremans and J. Meulenbelt (2010) The changes in hazard classification and product notification procedures of the new European CLP and Cosmetics Regulations, Clin Toxicol (Phila). 48(1):28-33. https://doi.org/10.3109/15563650903376097
  3. Miyagawa M. (2010) Globally harmonized system of classification and labelling of chemicals (GHS) and its implementation in Japan, Nippon Eiseigaku Zasshi., 65(1):5-13. https://doi.org/10.1265/jjh.65.5
  4. Rother, H.A. (2008) South African farm workers' interpretation of risk assessment data expressed as pictograms on pesticide labels, Environ Res., 108(3):419-427. https://doi.org/10.1016/j.envres.2008.07.005
  5. UNECE (2011) http://live.unece.org/trans/danger/publil/ghs/histback_e.html
  6. Yu IJ, CH Lim, HS Hwang, DW Lee, MS Hwang, JB Lee, OS Chung, K Kwon, JY Choi, K Kim and G Chung (2005) Korean initiative of GHS activities, Ind Health, 43(4):709-711. https://doi.org/10.2486/indhealth.43.709
  7. Yu IJ, DS Kim, CH Lim, JY Choi, JB Lee, OS Chung, KO Kwon, JH Yum, YN Kim, WK Kuk and K Kim (2007) Update on implementation of GHS in Korea and revision of industrial safety and health act in relation to GHS, Ind Health, 45(6):721-729. https://doi.org/10.2486/indhealth.45.721
  8. 국가 GHS 전문가 작업반 (2005) 화학물질의 분류.표지에 관한 세계조화시스템 (GHS) - 국가공식번역본 초안 - p.3.
  9. 국립환경과학원 (2008) 유독물 등의 분류기준 및 표시방법에 대한 규정, 국립환경과학원고시 제2008-26호.
  10. 노동부(2008) 화학물질의 분류.표시 및 물질안전보건자료에 관한 기준, 노동부고시 제2008-29호.
  11. 노동부(2009) 화학물질의 분류.표시 및 물질안전보건자료에 관한 기준, 노동부고시 제2009-68호.
  12. 농촌진흥청 (2011) 농약, 원제 및 농약활용기자재의 표시기준, 농촌진흥청 고시 제 2011-12호.
  13. 농촌진흥청 (2010) 농약관리법령 및 고시.훈령집, 대한민국.
  14. 임정남 (1999) 농약의 안전성과 작물보호, 서론, 농업과학기술원, 대한민국.
  15. 정미혜, 유아선, 박경훈, 김병석, 이희동, 이제봉, 권오경 (2008) 국내에서 농약에 대한 급성경구독성등급법 적용 및 GHS 체계 도입 제안, 농약과학회지 12(2):141-1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