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생식과 발생 단원에서 교사가 요구하는 이해와 학생이 인식하는 이해 측면 분석

An Analysis of Understanding Aspects Required by Teachers and Perceived by Students in the 'Reproduction and Genesis' unit

  • 투고 : 2011.02.23
  • 심사 : 2011.06.06
  • 발행 : 2011.06.30

초록

이 연구는 중학교 생식과 발생 단원에서 수업 중 교사가 학생들에게 요구하는 이해와 학생들이 수업을 통해 인식하는 이해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수업 중 학생들에게 하는 질문, 과제 또는 학생 활동을 87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예비 조사하여 Wiggins & McTighe(1998; 2004)가 제시한 이해의 여섯 가지 측면을 토대로 36문항의 선택형 설문을 개발하였다. 이를 90명의 교사와 370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이 요구하는 이해의 측면은 설명 항목이 가장 많았고, 그 다음 해석, 적용, 관점, 공감, 자기지식 순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이 인식하는 이해의 측면은 설명 항목이 가장 많았고, 그 다음 해석, 관점, 적용, 공감, 자기지식 순으로 나타나, 적용이 관점보다 많았던 교사의 경우와 차이를 보였다. 이해의 각 측면에 대한 교사의 성별 간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으나, 학생의 경우 설명과 적용 항목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민감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와 학생 두 집단 간 이해의 측면을 비교한 결과, 설명, 적용, 공감에서 교사가 요구하는 이해와 학생들이 인식하는 이해에 차이를 보였다(p<0.05). 반면, 해석, 관점, 자기지식에서는 교사가 요구하는 이해대로 학생들이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학교 교육의 궁극적인 목적은 교과의 진정한 이해를 기반한 학습자의 전인적 성장에 있다(강현석, 유제순, 2010). 따라서 교사는 자신이 가르치는 교과 내용에 대한 충분한 이해를 토대로 학생들의 이해에 대한 인식을 고려하여 여섯 가지 이해의 측면이 고르게 반영되도록 학습내용을 다양하게 제시함으로써 진정한 이해에 도달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The ultimate goal of instruction is for learners to understand contents they have to learn in class. Therefore, shedding light is needed on the characteristics of understanding required by teachers and perceived by students when class is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understanding. To do this, 87 middle school teachers were requested to write down questions they asked to improve the understanding of learners in 'reproduction and genesis' unit. They were categorized according to Wiggins & McTighe's six aspects of understanding and a questionnaire was developed based on the data. A survey was conducted on 90 teachers and 370 ninth-grade student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teachers demanded explaining, interpreting and perspective a lot, but applying, empathy and self-knowledge were scarcely required. Second, the teachers demanded explaining the most, and the students as well. The next aspect of understanding in both groups was interpreting, followed by perspective, applying, empathy and self-knowledg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opinions of the students according to gender (p<0.05). Third, the students persevered explaining, applying and self-knowledge the same way as the teachers demanded, but not for interpreting, perspective and empathy.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some information to achieve the instruction objectives of understanding successfully.

키워드

참고문헌

  1. 강현석, 유제순(2010). Backward Design을 통한 교육과정 설계: 교과의 진정한 이해를 위한 구상. 교육철학, 40, 1-37.
  2. 김경호(1993). 고등학교 유전학습에 효과적인 교수순서와 교수방법.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 김상달, 이용섭, 최성봉(2005). Klopfer의 교육목표 분류에 따른 제7차 교육과정의 중학교 과학교육 목표 분석-7학년을 중심으로-. 한국지구과학학회지, 26(7), 640-651.
  4. 김성림(1999). 교육적 체험으로서의 이해의 구조 탐색-교실 상황을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사회교육과학연구, 3, 47-76.
  5. 김영신, 이혜숙, 신애경(2007). Bloom의 신 교육 목표분류학에 기초한 초등학교 과학과 수업목표 분석. 초등과학교육, 26(5), 570-579.
  6. 손미자(2004). 초등학교 1∙2학년 교사용 지도서의 이해수준분석 연구-D Perkins의 이해를 위한 교수-학습 모형을 기반으로-.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성정희, 김영수(2000). 초등학생의 호흡 개념 이해에 대한 연구. 초등과학교육, 19(2), 57-74.
  8. 신진걸, 조철기(2008). Bloom의 신 교육목표분류 학에 근거한 지리수업목표의 진술과 평가의 실제.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16(2), 129-144.
  9. 심규철(2006).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 과학과 생명 영역 생식과 발생 단원의 탐구 활동 분석.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4(3), 321-329.
  10. 이혜숙, 김영신(2008). 제7차 초∙중등 생물 교육 과정의 수업목표 분석-Bloom의 신 교육목표분류학에 기초하여.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6(1), 52-62.
  11. 전상학(2002). 중등 과학교육과정의 생식과 발생 영역에 대한 비교 분석.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0(4), 325-335.
  12. 정완호, 차희영(1994). 고등학생들의 유전과 진화에 대한 오개념.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4(2), 179-183.
  13. 채동현, 송광섭(1998). 화산실험유형에 대한 예비 교사들의 선호도 조사-Bloom의 목표분류를 기준으로. 과학교육연구 논문집, 20, 39-54.
  14. 표준국어대사전(2010). 국립국어연구원.
  15. American Association of the Advancement of Science(1989). Science for all American. AAAS Publication, 89-109.
  16. Bloom, B. S. (1956).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 classification of educational goals. Hand Book I: Cognitive Domain. NY: Longman, Green & Co.
  17. Perkins. D. (1999). Teaching and learning for understanding, instructional-design theories and models volume II: A new paradigm of instructional theory (Ed. Charles M Reigeluth), Lawrence Erlbaum Associates, Inc.
  18. Newton, L. D.(2002). Teaching for understanding across the primary curriculum. Buffalo, N.Y. Multilingual Matters.
  19. Taylor, M. F. (1988). How-to-do-it: Hands-on activity for mitosis, meiosis and the fundamentals of heredity. The American Biology Teacher, 50(8), 509-512. https://doi.org/10.2307/4448812
  20. Wiggins, G. P. (1993). Assessing student performance: Exploring the purpose and limits of testing. San Francisco: Jossey-Bass.
  21. Wiggins, G. & McTighe, J. (1998). Understanding by Design. Alexandria, VA: 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22. Wiggins, G. & McTighe, J. (2004). Understanding by Design (2nd ed.). Alexandria, VA: 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23. Wiggins, G. & McTighe, J. (2005). Understanding by Design.(2nd ed.). Alexandria, VA: 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강현석, 이원희, 허영식, 이자현, 유제순, 최윤경 공역(2008). 거꾸로 생각하는 교육과정 개발 - 교과의 진정한 이해를 목적 으로. 서울: 학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