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Perception of Pre-service Science Teachers on the Classes for the Gifted in Science

과학영재 수업에 대한 예비 과학교사들의 인식

  • Received : 2011.03.02
  • Accepted : 2011.06.17
  • Published : 2011.06.30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how pre-service science teachers, who observed classes for the gifted in science, perceive the gifted in science and the education they are getting, and explored what needs to be improved in the classes for the gifted in scienc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pre-service science teachers were negative about the giftedness of the gifted in science. Second, they recognized that various types of classes were not provided. Especially, while theoretical lectures were mostly offered, they recognized that it had a negative influence in developing the potential giftedness of the gifted in science. Third, they were negative about the absence of programs for improving creativity and thinking skills and teaching materials for the gifted in science; however, they were positive about self-directed learning. Fourth, they had a negative opinion on educational facilities and the number of students in classes. Fifth, they recognized that potential giftedness would be developed the most when the lecturer is a professor majoring in the subject. For improvements in the classes for the gifted in science, they referred to revising the distinction focusing on preceding learning, reinforcing teaching methods to improve creative thinking, constructing creative contents regardless of specific grades and curriculum, securing learning materials for the gifted, and the necessity of lecturers specialized in the education for the gifted. Eventually, pre-service science teachers have negative cognitions for the classes for the gifted in science offered by universities, and it was known that they mentioned the necessity of creative educational courses and professional lecturers, not pre-learning for improvements.

이 연구는 과학영재 수업을 관찰한 예비 과학교사들이 과학영재와 과학영재 교육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과학영재 수업에서 개선해야 할 점은 무엇인지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예비 과학교사들은 첫째, 과학영재들의 영재성에 대해 부정적이었다. 둘째, 다양한 형태의 수업이 이루어지고 있지 못하다고 인식하였다. 특히 이론 강의가 가장 많았는데, 이는 과학영재들의 잠재적 영재성 계발에 부정적이라고 인식하였다. 셋째, 창의성 및 사고력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의 부재와 과학영재 수업 교재에 대해서 부정적이었지만, 자기 주도적 학습에는 긍정적이었다. 넷째, 교육시설과 수업인원에 대해 부정적이었다. 다섯째, 강의자가 전공 교수일 때 학생의 잠재적 영재성이 가장 잘 개발될 것으로 인식하였다. 과학영재 수업에서 개선되어야 할 점으로 선행학습 위주의 판별 수정, 창의적 사고력 함양 교수학습의 강화, 특정 학년의 교육과정과 관계없는 창의적 내용으로 구성, 영재교육을 위한 학습 자료의 확보, 영재교육 전문 강사의 필요성을 언급하였다. 이상으로부터 예비 과학교사들은 대학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과학영재 수업에 대해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개선할 점으로 선행학습이 아닌 창의적 교육과정과 전문 강사의 필요성 등을 언급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경진, 권병두, 김찬종, 최승언(2005). 과학영재 학교 과학교사들의 영재교육에 대한 신념과 교수활동 유형.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5(4), 514-525.
  2. 김미숙, 유균상, 서혜애, 유효현, 전미란(2006). 2006 영재교육기관 평가 편람.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3. 김미숙, 이정규, 이희권, 김언주, 맹희주, 이상천, 정경아, 최호진, 한수연(2007). 제1차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 평가 및 중장기 전망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CR2007-66.
  4. 김윤화(2010). 전남지역 교육청 영재교육원 중학생들의 과학영재 교육에 대한 인식 조사.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5. 김홍원(2002). 영재교육 담당 교원의 자질 및 양성, 임용. 한국영재학회 춘계학술세미나 자료집. 67-104.
  6. 김홍원(2003). 영재의 특성과 판별. 중등영재교육 담당자 직무연수. 경상북도 교육연수원.
  7. 박미영(2002). 영재교육에 대한 초등 및 유치원 교사의 인식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8. 박선자(2009). 교육청 영재교육원 중등 과학 담당교사들의 영재성에 대한 인식.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9. 박종석, 오원근, 박종욱, 정병훈(1999). 과학캠프 활동 평가를 통해 추출한 과학 영재프로그램의 적절성 준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9(2), 329-339.
  10. 서혜애, 손연아, 김경진(2003). 영재교육기관 교수∙학습 실태연구. 한국교육개발원 수탁연구CR2003.
  11. 신희선(2009). 과학 관련 특목고에 진학한 과학영재교육원 수료생 부모들의 과학영재교육원에 대한 인식 조사. 석사학위논문. 청주교육대학교.
  12. 심규철, 김현섭(2006). 지역 영재교육원 과학영재 교육 담당 교사의 영재교육에 대한 인식 조사.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4(4), 479-484.
  13. 양태연, 한기순, 박인호(2007).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 수료생들이 인식하는 영재교육의 의미. 영재교육연구, 17(3), 463-493.
  14. 이수남, 오연주(1999). 영재교육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수준. 영재교육연구, 9(1), 63-84.
  15. 정기영, 전미란, 최승언(2008). 과학영재 담당교사의 과학영재 교육에 대한 인식 및 현황 조사연구. 영재와 영재교육, 7(2), 161-177.
  16. 조석희, 박경숙, 김홍원, 김명숙(1996). 영재교육의 이론과 실제. 한국교육개발원 연수자료 MR96.
  17. 조종오(2003). 영재교육에 대한 초등학교 학부모의 인식과 요구. 석사학위논문. 창원대학교.
  18. 최문경, 박정옥(2004). 영재교육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인식. 영재교육연구, 14(4), 125-149.
  19. 최영기, 홍갑주, 이기돈(2009). 국가차원 영재교육에서 과학영재 교육원의 특성화 방안 연구. 과학영재 교육, 1(1), 1-12.
  20. 한국교육개발원(2006). 2006년도 KEDI 영재교육기관 프로그램 운영 평가: 평가보고서(인천 미산초등학교 영재학급). CR2006-55-7, 한국교육개발원.
  21. 홍정민(2009). 과학영재 교육에 대한 중학교 영재교육 대상자의 인식 조사. 석사학위논문. 제주대학교.
  22. 황남식(2007). 초등 과학영재 교육에 대한 학부모 인식. 석사학위논문. 신라대학교.
  23. 황요한, 박종석(2010). 과학영재의 창의성 신장을 위한 CNP 모형의 개발과 적용. 영재교육연구, 20(3), 847-866.
  24. 황정훈(2009). 영재학교, 지역 영재교육원, 일반 학교 과학교사의 과학영재 교육에 대한 인식. 석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25. Brington, C. M. (2001). Internal Factors that Influence Teacher Change: Teachers' Beliefs and Conceptions. Doctori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Virginia.
  26. Cronin-Jones, L. L. (1991). Science teacher beliefs and their influence on curriculum implementation: Two case studie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8(3), 235-250. https://doi.org/10.1002/tea.3660280305
  27. Nespor, J. (1987). The Role of Beliefs in the Practice of Teaching.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19, 317-328. https://doi.org/10.1080/0022027870190403
  28. Pajares, M. F. (1992). Teachers' Beliefs and Education Research: Cleaning Up a Messy Construct.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62(3), 307. https://doi.org/10.3102/00346543062003307
  29. Renzulli, J. & Hartman, R. (1971). Scales for rating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superior students. Exceptional Children, 38, 243-248.
  30. Speer, N. M. (2001). Connecting Beliefs and Teaching Practices: A Study of Teaching Assistants in Reform-Oriented Calculus Courses. Doctori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31. Wang, H. A. (1998). Science Textbook Studies Reanalysis: Teacher's "friendly" Content Analysis Methods? (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No. ED4231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