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Vegetation Structures Analysis and Management Plan Proposal for the Sungheung Fortress in Buyeo-the Old city of Baekje

백제의 고도(古都) 부여 성흥산성(聖興山城)의 식생구조 및 관리방안

  • Yee, Sun (Department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Korean National University of Cultural Heritage) ;
  • Song, Ho-Kyung (Department of Environment & Forest Resource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이선 (한국전통문화학교 전통조경학과) ;
  • 송호경 (충남대학교 산림환경자원학과)
  • Received : 2011.04.15
  • Accepted : 2011.06.15
  • Published : 2011.06.30

Abstract

Vegetation structure of Sungheung fortress in Buyeo was investigated to suggest a desirable management proposal. Forset communities by phytosociological method were classified into Pinus densiflora community, Quercus serrata community and Quercus aliena community. The importance value of Pinus densiflora, Quercus aliena, Quercus serrata, Quercus variabilis, Castanea crenata, Styrax japonica, Quercus acutissima and Prunus sargentii were 34.81, 13.57, 12.63, 6.73, 6.40, 4.70, 4.54 and 3.65. According to breast diameter analysis results, it is expected that the importance value of Pinus densiflora and Quercus spec. will be continuosly increased. It should be prepared that vegetation management plan over the castle wall should be considered before the repair or restoration of castle wall. Vegetation management around castle wall should be carried out according to the mid or long-term plan and it would be needed to consider the gradual changes from planted Pinus rigida to the historical vegetation of Pinus densiflora.

Keywords

References

  1. 김효정․송호경. 2002. 대전 갑하산과 우산봉의 산림군락 분류. 한국임학회지 91(4):439- 448.
  2. 김효정․이미정․지윤의․이규석․송호경. 2002. 금병산과 적오산의 산림군락분류. 충남대학교 환경문제연구소 20:39-49.
  3. 김효정․이미정․권오원․신동훈․이규석․서병기․송호경. 2004.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7(5) 47-56.
  4. 방영환. 1991. 한국의 성곽. 대원사.
  5. 백종오. 2006. 백제천마산성과 사비도성. 사학지 38(0):69-93.
  6. 부여군지편찬위원회. 2003. 부여군지 제1권-부여의 지리.
  7. 부여군. 2005. 부여 고도 보존을 위한 예비조사.
  8. 송호경․신창남. 1985. 계룡산 삼림군집형과 그의 구조에 관한 연구. 충남대학교 환경연구보고 3(1):19-58.
  9. 오충현․이경재. 1993. 도시 녹지의 생태적 조성 및 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21(1):125-137.
  10. 이규완․오구균. 1995. 광주광역시 도시림의 현존식생과 식생구조. 한국조경학회지 23(2):148-159.
  11. 이경재․조우․최송현. 1992. 도시내 개발대상지의 생태적 경관 구성 계획에 관한 연구. 한학회지 20:39-52.
  12. 이선. 2006. 우리와 함께 살아 온 나무와 꽃-한국전통조경식재. 수류산방.
  13. 정용문․김동석․김광동․이상화․송호경. 2006. 부여군 부소산의 산림군락 구조.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9(1):55-63.
  14. 정용문․권용호․이상화․최재용․송호경. 2007. 공주시 공산성의 산림식생구조. 한국복원녹화기술학회지 10(2):16-25.
  15. 조우. 1995. 도시녹지의 생태적 특성분석과 자연성 증진을 위한 관리모형 : 서울시를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6. 최만봉․오구균․이규완. 1990. 전주시 산성 자연공원의 식생구조 및 관리대책. 한국조경학회지 18(1):41-51.
  17. Braun-Blanquet, J. 1964. Pflanzensoziologie. Grundzuge der Vegetationskunde. Springer-Verlag, New York. 631pp.
  18. Curtis, J. T., and R. P. McIntosh. 1951. An Upland Forest Continuum in the Prairie Forest Border Region of Wisconsin. J. Ecology 32:476- 496. https://doi.org/10.2307/1931725
  19. Dierssen, K. 1990. Einfuhrung in die Pflanzensoziologie. Akademie-Verlag Berlin. 241pp.
  20. Ellenberg, H. 1956. Aufgaben und Methoden der Vegetationskunde. Eugen Ulmer, Stuttgart. 136p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