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역사교과서와 한국전쟁 사진의 변화

History Textbooks and Changes of Korean War Photographs

  • 김형곤 (동명대학교 언론영상광고학부)
  • 투고 : 2011.01.11
  • 심사 : 2011.05.23
  • 발행 : 2011.06.28

초록

한국전쟁이 발발한 지 60년의 세월이 흘렀다. 현재 젊은 세대의 한국전쟁에 대한 인식은 그 이전 세대와 다르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인식 차이의 원인을 밝히기 위해 고등학교 역사교과서에 실린 한국전쟁 관련 사진들이 시대에 따라 어떻게 변화해 왔는지를 살펴보고자 했다. 사진에 대한 분석 결과, 7차 교육과정 이전에 발간된 역사교과서에 실린 한국전쟁 사진들은 정전론(正戰論)의 입장에 서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북한군의 기습 남침으로 시작된 전쟁에서 불굴의 의지로 공산주의 세력의 침입을 막은 한국군의 전쟁 행위는 평화를 지키기 위해 정당화될 수 있는 것이다. 반면에 "한국 근현대사"의 한국전쟁 사진들이 보여주는 전쟁에 대한 기억은 반전론(反戰論)의 입장과 유사함을 알 수 있었다. 전쟁으로 인해 남과 북 모두 많은 인명 피해와 경제적 손실을 입었고, 이러한 전쟁은 남북을 막론하고 정당화될 수 없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차이가 세대별로 달라지는 한국전쟁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만들어낸 원인 중 하나가 되었을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Korean War photographs in Korean history textbooks. This paper deals with the ways of describing Korean War in history textbooks. The Korean War photographs adopted in this study, using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nalysis. The photographs analyzed for this study were in the 6 different textbooks in high school level. This paper focuses on how photographs of the textbooks help students create various memories about Korea War. The photographs of the textbooks, before the 7th Educational Process, decribe Korean War as victorious war. Meanwhile, the Korean War photographs in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textbook emphasize traumas of the war.

키워드

참고문헌

  1. 조선일보, 기억의 정치: "김일성에 전쟁 책임" 60대 이상 70%, 20대는 42%, 2010. 6. 25.
  2. 박삼헌, "일본중학교 후소샤 판 역사교과서의 삽화분석: 근대화에 대한 역사인식을 중심으로", 일본역사연구, 제27집, pp.155-177, 2008.
  3. 이재원, "프랑스 역사교과서와 전쟁의 재구성: 양차 대전과 식민지 전쟁의 기억과 전수", 프랑스사연구, 제16호, pp.99-129, 2004.
  4. 이용재, "기억의 의무와 역사교육: '알제리전쟁'과 프랑스의 역사교과서", 서양사론, 제77호, pp.73-99, 2002.
  5. 위클리경향, '역사인식'이란 무엇인가, 2010. 1. 5.
  6. B. Zelizer, "From the Image of Record to the Image of Memory: Holocaust Photography, then and now," In B. Brennen & H. Hardt(Eds.), Picturing The Past(pp.98-121), Urbana: University of Illinos Press, 1999.
  7. M. Griffin, "The Great War Photographs: Constructing Myths of History and Photojournalism," In B. Brennen & H. Hardt (Eds.), Picturing The Past(pp.123-157), Urbana: University of Illinos Press, 1999.
  8. V. Goldberg, The Power of Pphotography: How Photographs Changed our Lives, New York: Abbeville Press, 1991.
  9. 김영나, "워싱턴 DC 내셔널 몰의 한국전 참전용 사기념물과 전쟁의 기억", 서양미술사학회 논문집, pp.7-31, 2002.
  10. 이근우, 고교 교과서에 비친 박정희, 매일경제, 2009. 10. 23.
  11. M. Joly, L'image et les Signes, 1994, 이선영 역, 이미지와 기호, 동문선, 2004.
  12. 강인철, "전쟁의 기억, 기억의 전쟁", 창작과 비평, 108, pp.340-356, 2000.
  13. 김영수, 기록자와 해설자: 조선일보와 뉴욕타임스의 사진 비교, 미디어연구소,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