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Comparison between Korean.Chinese Consumer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omestic Open Market Brand personality, Customer Satisfaction and Brand Loyalty

국내 오픈마켓 브랜드개성과 고객만족, 애호도와의 관계에서 한.중 소비자간 비교에 관한 연구

  • Received : 2011.07.04
  • Accepted : 2011.09.05
  • Published : 2011.09.30

Abstract

At this point in time when the percentage of foreign consumers as well as domestic consumers are being increased in domestic open market users due to the recent interest and promotion on the open market,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lationship between open market brand personality, satisfaction and brand loyalty will be clarified targeting all Korean consumers and Chinese consumers using domestic open market. Second, whether there is difference in the effect of domestic open market brand personality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brand loyalty between Korean consumers and Chinese consumers will be compar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testing the study hypothesis targeting the open market users, in other words targeting all Korean consumers and Chinese consumers, only the ability among brand personality dimensions did not have positive effect on the satisfaction toward open market. Other than that, it could be confirmed that the reliability, sincerity and familiarity, etc are important influence factors in forming satisfaction toward open market. Next, as a result of testing whether there is difference in the effect of domestic open market brand personality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brand loyalty between Korean consumers and Chinese consumers, it was shown as having difference. In other words, the Korean consumers were shown as not having positive significant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bility among brand personality and satisfaction toward open market while all other brand personality dimensions were shown as having positive effect on the satisfaction toward open market. It could be found that if the satisfaction toward open market is high, the brand loyalty toward open market also gets high.

최근 오픈마켓에 대한 관심과 활성화로 국내 오픈마켓 이용고객이 국내 소비자뿐만 아니라 외국인 소비자의 비중이 증가되고 있는 시점에서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 오픈마켓을 이용하는 한국인 소비자와 중국인 소비자 모두를 대상으로 오픈마켓의 브랜드 개성과 고객만족, 애호도와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한다. 둘째, 한국인 소비자와 중국인 소비자간에 국내 오픈마켓의 브랜드 개성이 고객만족, 애호도에 미치는 영향에 차이가 나는지를 비교하고자 한다. 우선, 오픈마켓의 이용고객 즉, 한국인 소비자와 중국인 소비자를 모두 대상으로 한 연구가설을 검증한 결과, 브랜드 개성차원 중 능력만이 오픈마켓에 대한 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그 외 활기, 신뢰, 성실감, 친숙함 등은 오픈마켓에 대한 만족형성에 중요한 영향요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은 한국인 소비자와 중국인 소비자간에 국내 오픈마켓의 브랜드 개성이 오픈마켓에 대한 고객만족과 애호도에 미치는 영향에 차이가 나는지를 검증한 결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한국인 소비자의 경우, 브랜드 개성 중 능력과 오픈마켓에 대한 만족과의 관계에서 긍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외의 브랜드 개성차원은 모두 오픈마켓에 대한 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오픈마켓에 대한 만족이 높으면, 결과적으로 오픈마켓에 대한 애호도도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