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 of the Learner's Creativity and Self-Efficacy on the Support Type of the Assistant Teacher in Robot Education

로봇교육에서 보조교사 지원 유형이 학습자의 창의성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송정범 (공주교육대학교부설초등학교) ;
  • 권오성 (공주교육대학교 컴퓨터교육과) ;
  • 고병오 (공주교육대학교 컴퓨터교육과) ;
  • 양권우 (공주교육대학교 컴퓨터교육과) ;
  • 신수범 (공주교육대학교 컴퓨터교육과)
  • Received : 2010.12.01
  • Accepted : 2011.01.05
  • Published : 2011.01.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confirm that how the support type of the assistant teacher changes the students' creativity and self-efficacy in the Robot Education, particularly Robot Edu-Camp. The study objects are 72 elementary students for 8 groups; each group has 9 students, and 4 groups of them have the assistant teachers and others are supported by giving some feedbacks for their questions or some information if they need. The assumption of this study sets up as in the following; there are no differences for the students' creativity and self-efficacy between the supporting of the assistant teachers with making robots and programing together and the giving feedbacks and information if students need. To verify this assumption, we use the nonequivalent control group in the pretest-posttest designs. The result is as in the following. There's no meaningful differences of the students' creativity by the support type of the assistant teachers. But in the self-efficacy, the groups which are giving feedbacks and information if they need have more higher level of achievement than others. The result shows that if the assistant teachers help the students directly, the students' levels of the self-direction, and control are low because they lean on the teachers. This will give you some implications to the follow-up studies about the support type of the assistant teachers in the Robot Education.

이 연구의 목적은 로봇교육 특히, 로봇교육 캠프에서 보조교사가 학습자를 지원하는 유형에 따라서 학습자들의 창의성과 자기효능감에 어떤 변화가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연구의 대상은 캠프 참가자 초등학생 72명을 9명씩 1모둠으로 총 8모둠을 구성하여, 이중 4모둠은 보조교사가 공동 참여, 나머지 4모둠은 필요한 정보나 질문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는 형태로 지원하도록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가설은 보조교사가 학생들의 로봇 제작과 프로그래밍 활동에 지원하는 형태에 따라 학습자의 창의성과 자기효능감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을 것이다로 설정하였다. 이와 같은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이질 통제 집단 전후 검사 설계 방식을 적용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보조교사 지원 유형에 따라 학습자의 창의성은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자기효능감에서는 보조교사가 공동으로 참여한 학생 집단보다 보조교사가 학습자들이 필요한 정보나 질문에 피드백을 제공하는 지원 형태의 학생 집단이 자기효능감에서 높은 성취를 보였다. 이 결과는 보조교사가 직접적으로 학습자들을 도와줄 경우 학습자들은 보조교사에게 의존하여 학습의 과정에서 자기주도성 및 통제감이 떨어지기 때문으로 사료되며, 이 점은 향후 로봇교육에서 보조교사의 지원유형에 관한 후속 연구에 시사점을 제공하리라 판단된다.

Keywords